귀족 문화의 발달
Ⅰ. 문학의 성장
1. 고려 전기의 문학
(1) 향가
1) 초기 : 광종 때 균여가 지은 보현십원가 11수가 「균여전」에 전해짐
2) 보현십원가 - 불경을 향가로 풀이
3) 중기 - 예종 때 현화사의 낙성식에서 향가를 짓게 함, 하지만 향가는 한시에 밀리기 시작
(2) 한문학
1) 성종이후 성행 ➝ 박인량, 정지상, 김황원, 정습영
2) 독자적 모습
2. 중기의 문학 - 당·송의 한문학 숭상 경향 = 사대성, 보수성
3. 무신 집권기
(1) 초기 수필 형식 저술
1) 낭만적, 현실 도피적 경향
2) 이인로 - 파한집 (한가로움을 깨뜨리는 뜻)
3) 임춘 - 국순전 = 술을 의인화 “출렁대고 넘실거림이 만경창파와 같아 맑게 해도 맑지 않고, ~”
(2) 최씨 무신 집권기
1) 현실을 제대로 표현
2) 이규보, 최자
(3) ‘죽림고회’결성
4. 후기의 문학
(1) 신진 사대부와 민중이 주축, 자주의식, 전통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려는 경향
(2) 한문학의 발달 - 세련
1) 패관 문학 - 민간 구전을 한문으로 기록 = 이규보「백운소설」/ 이제현「역옹패설」/ 수이전 (박인량) - 효시
2) 가전체 문학 - 이규보 「국선생전」 / 이곡 「죽부인전」 / 청강사자현부전 - 거북이 / 공방전 (임춘) - 돈
3) 한시 - 이규보 「동명왕편」/ 진화 = 문학적 자신감 “송은 쇠퇴하고 북방 오랑캐는 미개하다” / 이곡 = 부패상 읊
(3) 국문학
1) 경기체가 - 신진사대부 ➝ 한림별곡, 관동별곡, 죽계별곡
2) 시가 문학 - 전원 생활의 모습 ‘어부가’
3) 장가(속요) - 민중 - 청산별곡, 가시리, 쌍화점 (자유분방)
전기 |
향 가 |
보현십원가(균여) |
화엄경 내용을 향가로, 불교 |
중기 |
당 송 |
최충, 김부식 |
사치, 향락, 전통문화와 괴리 |
후기 |
경기체가(별곡) |
한림별곡, 죽계별곡, 관동별곡 |
신진 사대부 |
시 가 |
어부가 |
전원의 한가로움 | |
속요(장가) |
청산별곡, 쌍화점, 만전춘 |
서민의 감정 | |
수 필 |
파한집(이인로), 보한집(최자), 역옹패설(이제현) |
자유로운 문체 | |
설 화 |
국순전(임춘), 국선생전(이규보), 죽부인전(이곡) |
사물 의인화 |
초기 |
중기 |
무신 |
원 |
말기 |
자주적, 주체적 (최승로, 김심언, 박인량) |
사대적, 보수적 (최충, 김부식) |
위축 |
성리학 전래 ➝실천적 기능 (이규보, 이승휴) |
진취적 |
관학 (국자감, 향교) |
사학 12도 관학 진흥 (7재, 양현고) |
|
관학 진흥 (문묘, 성균관) |
성균관 |
고구려 계승 (7대실록, 고금록) |
신라 계승 (삼국사기) |
고구려 계승 (동명왕편) |
고조선 계승 (삼국유사, 제왕운기) |
성리학적 유교 (사략) |
독자적 |
당의 시, 송의 산문 |
낭만, 현실도피 수필 |
민중 - 장가, 속요 신진사대부 - 경기체가, 패관문학 | |
구삼국사 5조 정적평 (최승로) 7대실록 (황주량) |
가락국기 (김양감) 편년통재 속편년통제(홍관) 해동비록 상정고금례 편년통록(김관의) |
동명왕편 해동고승전 (각훈) |
삼국유사 제왕운기 천추금경록(정가신) 본조편년강목(민지) 사략(이제현) |
신라 중기 |
신라 후기 |
조선초기 |
조선 중기 |
조선 후기 |
20세기 초 |
자주적 (독자, 주체)
김대문 (고승전, 한산기, 화랑세기) |
중국모방 최치원(계원필경) |
자주적 동문선(서문) 고려국사 (정도전) 동국사략 (권근) 조선왕조실록 고려사 동국통감 (서거정) |
사대적 이이(기자실기) 박상(동국사략)
|
자주적 박지원(양반전, 호질) 발해고 (유득공) 동사 (이종휘) 동사강목 (안정복) 연려실기술 (이긍익) 해동역사 (이긍익) |
한국통사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 (박은식) 조선상고사 (신채호) 조선사연구초 (신채호) 천흐당시화 (신채호) 조선사연구 (정인보) |
<문제>
1. 고려후기에 관리들의 기이한 행적과 서민들의 풍속, 감정이 실려 있는 설화 문학이 발달하였다.
2. 삼국유사(충렬왕) 비슷한 시기의 상황 - 만권당에 조맹부와 이제현이 학문을 교류하였다. (충선왕) : 원 간섭기
3. 당송문학 숭상 경향 시기 - 법상종이 발달, 서경 길지설퇴색, 남경 길지설이 대두 (고려 중기 보수적 성향)
4. 삼국사기 - 왕명을 받아 편찬, 본기 28권, 지9권, 열전 10권으로 구성
5. 13세기에 편찬된 향약구급방은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의학 서적이다.
|
1. 예술의 특성 - 귀족, 불교
2. 건축
(1) 전기
1) 궁궐 - 개성 만월대의 궁궐터
2) 사원 - 현화사, 흥왕사
3) 강릉 객사문 - 가장 오래된 최고의 문
(2) 후기
1) 주심포식 건물 (공포가 기둥 위에만) - 전기에 주로 유행
- 안동 봉정사 극락전(가장 오래)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8작지경, 단층) /
예산 수덕사 대웅전 (배흘림양식, 맞배지붕형식)
2) 다포식 건물 (기둥사이에도 공포가 있음) - 후기 원의 영향
- 성불사 응진전, / 석왕사 응진전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 대웅전>
<성불사 응진전>
3. 석탑
(1) 특징 - 다양, 다각 다층탑, 자연스러운 모습, 기단의 보편화, 삼국의 전통 계승
(2) 전기
1) 불일사 5층 석탑 - 고구려
2) 무량사 5층 석탑 - 백제
3) 헌화사 7층 석탑 - 신라
4) 월정사 8각 9층 석탑 - 송
(3) 후기 = 경천사 10층 석탑 - 원
cf) 송 - 보현사 8각 13층 석탑 / 금산사 6각 다층 석탑 / 원각사지 6각 7층 석탑
cf) 이형석탑 - 주리사 4사자 석탑 / 신륵사 다층 전탑 / 원형석탑
<불일사 5층 석탑>
<무량사 5층 석탑>
<헌화사 7층 석탑>
<월정사 8각 9층석탑>
<경천사 10층 석탑>
4. 승탑
(1) 선종 유행과 관련
(2) 팔각 원당형의 승탑
- 구례 연곡사지 북부도 / 공주 갑사 승탑 / 여주 고달사지 승탑(원종 대사 혜진탑, 신라 양식, 선종) /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
(3) 특수 형태의 승탑
1) 정토사 홍법 국사 실상탑 - 팔각 원당형을 유지하며 탑신이 구형
2) 법천사 지광 국사 현묘탑 - 평면이 사각형
3)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
4) 신륵사 보제존자 승탑
< 공주 갑사 승탑 >
<고달사지 승탑>
<정토사 흥법국사 실상탑>
<법천사 지광국사 현묘탑>
5. 불상
(1) 분야별 특징
1) 재료 - 석불, 금동불, 철불
2) 자유분방한 제작 기법
(2) 불상별 특징
1) 전통 양식 - 부석사 소조 아미타여래 좌상 : 신라 양식 계승
2) 대형 철불 - 광주 춘궁리 철불
3) 대형 석불 -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지역특색) / 안동 이천동 석불
4) 마애석불 - 북한산 구기리 마애석가여래좌상
5) 동불상 - 영탑사 금동삼존불
<부석사 소조 아미타여래 좌상>
<광주 춘궁리 철불>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안동 이천동 석불>
Ⅲ. 청자, 공예
1. 공예 발전
2. 자기 공예
(1) 순수 비색 청자 - 11세기, 중국에서 극찬
(2) 고려도경 - 송나라 사신 서긍이 전한 견문록 (인종1123) - 이자겸, 김부식, 벽란도, 고려자기, 고려 모시 소개
(3) 삼강 청자
1) 독창적 기법
2) 삼강법 - 나전칠기, 은입사 공예에서 응용 ➝ 표면을 파낸 자리에 백토·흑토를 메워 무늬를 냄
3) 청자 산지 - 전라 강진, 부안
4) 원 간섭기 - 북방 가마의 기술이 도입되며 빛깔도 퇴조 ➝ 분청사기로 바뀜
cf) 조선 - 경기 광주 사옹원 분원
cf) 순수 청자 ➝ 양각·음각 ➝ 삼강청자
3. 금속 공예
(1) 불구 중심
(2) 은입사 기술 (송의 영향)
1) 청동기 표면을 파내고 실처럼 만든 은을 채워 무늬를 장식
2) 청동 향로, 버드나무, 동물 무늬를 새긴 청동 정병이 대표작
4. 나전 칠기 공예 - 경함, 화장품갑, 문방구
5. 범종의 제작
1) 신라 시대의 양식 계승 (cf. 신라 - 상원사, 성덕대왕 종)
2) 수원 용주사 종 / 해남 대흥사 탑산사 종 / 천안 청흥사 종
Ⅳ. 서예, 그림, 음악
1. 서예
(1) 전기
1) 왕희지체, 구양순체 (장단설)
2) 신품 4현 = 유신, 탄연, 최우, (신라시대의 김생)
3) 잡과에 ‘서업’을 둘 정도로 중시
(2) 후기
1) 조맹부의 송설체 (원 간섭기)
2) 이암 (cf. 이암 - 농상집요 소개)
2. 그림
(1) 전기 - 이령 「예성강도」, 이광필 - 그림이 전해지지는 않음
(2) 후기 - 「천산대렵도」 - 원대 북화가 영향
(3) 불화
1) 지상보살도, 관음보살도
2) 혜허 - 관음보살도(양류관음상)
(4) 사경화 - 불교 경정을 필사하거나 인쇄할 때 그림으로 설명
(5) 사찰 벽화 -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사천왕상, 보살상
3. 음악, 가면극
(1) 향악 (속악)
1) 고유 음악
2) 동동, 한림별곡, 대동강
(2) 당악
(3) 아악
1) 송에서 수입 - 대성악
2) 연주 - 제례 때
(4) 가면극, 산대극 - 처용무
* 중국에서 전래된 문화
1. 당 ➝ 통일신라 1) 나전칠기 = 고려에는 송으로 수출 2) 풍수지리설 - 도선
2. 송 ➝ 고려 전기 1) 대성악(아악) - 궁중 음악 2) 은입사 - 청동에서 은 무늬 3) 출판술 - 대장경 4) 도자기 기술 - 순수 청자에 영향 5) 월정사 8각 9층 석탑 - 다각 다층
3. 원 ➝ 고려 후기 1) 성리학 - 안향 2) 송설체 - 조맹부 (이암이 능했음) 3) 수시력 (충선왕) 4) 농상집요 - 이암이 소개 5) 목화 - 문익점 6) 화약 - 최무선 (화통도감) 7) 천산대렵도 - 공민왕, 북화의 영향 8) 경천사 10층 석탑 - 라마교 9) 다포식 건물 - 성불사 석왕사의 응진전 10) 임제종 - 보우가 전래
|
* 참고 - 삼국의 예술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 발해의 예술) - 보기 클릭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전기의 정치조직 (중앙 조직, 지방행정조직) (2) | 2009.10.21 |
---|---|
조선 전기 국왕 중심의 통치 (태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성종) (2) | 2009.10.21 |
조선초기 군역제도와 군사조직 (3) | 2009.10.20 |
근세 사회로의 전환 (조선) (1) | 2009.10.20 |
조선시대 연표 (1) | 2009.10.20 |
[고려] 과학기술 (4) | 2009.10.20 |
[고려] 불교, 도교, 풍수지리설 (2) | 2009.10.19 |
[고려] 유학, 역사서의 편찬, 과거제도, 음서제도 (2) | 2009.10.19 |
[고려] 경제 활동 (귀족, 상업, 농업, 무역) (1) | 2009.10.19 |
고려의 경제 정책 (1) | 2009.10.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