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학 연구의 확대
1. 17세기 이후의 역사 지리
(1) 이수광 (광해군, 1614) = 지봉유설 - 중국과 대등 (중국, 일본, 유럽 내용)
(2) 홍여하
1) 휘찬려사 (인조, 1639) = [기자 → 마한 → 신라]가 정통국가 : 삼한 정통론 / 편년체
2) 동국통감제강 (현종 1672) - 편년체, 왕권 강화를 강조, 붕당 정치의 폐지를 역설, 남인 사이에 가장 추앙
(3) 유계 (현종, 1667) = 여사제강 - 서인의 북벌론을 합리화, 고려가 북방 민족에게 항전한 사실 강조 / 강목체
(4) 허목 (현종, 1667) = 동사 - 남인 입장, 자연환경, 풍속, 인성의 독자성을 강조, [단군 ~ 삼한]
2. 18·19세기의 역사학 연구 - 실증주의 중시, 민족주의적 사관
(1) 홍만종 = 동국역대총목 - [단군 → 기자 → 마한 → 통일 신라]가 정통국가 : 단군 정통론
(2) 임상덕 = 동사회강 - 여사제강을 계승, 단군과 기자에 대한 고증 첨가
(3) 이익 - 중국 중심의 역사관에서 벗어나려함
(4) 안정복 (남인)
1) 동사강목
a. 동사회강에 영향 받음
b. [고조선~고려 말]까지 역사 = 독자적 정통론 체계화 = [단군 조선 - 기자 조선 - 마한 - 통일 신라 - 고려]
☞ 종래 중국 중심의 역사관을 탈피
2) 열조통기 - 태조 ~ 영조의 역사 서술한 편년체
3) 이익의 의식을 계승
4) 성리학적 사관
5) 고증 사학의 토대 마련
(5) 이긍익 = 연려실기술
1) 야사를 참고로 왕조의 정치사를 실증적, 객관적 입장에서 서술, 정치. 문화
2) 백과사전식
3) 기사본말체
4) 동이족 자부심, 양명학적
(6) 한치윤 = 해동역사 - 민족사 인식의 폭을 넓힘, 외국 자료 인용 (500여권)
(7) 이종휘
1) ‘동사’
a. 단군, 기자, 삼한, 후조선(위만)을 본기로 하고 세가, 열전, 연표, 지를 두어 사대적 명분을 뒤집는
본격적인 기전체형식
b. 체계적 정리는 아니고 고조선사를 중심으로 삼국 시대를 연결시키는 국사의 맥락을 추적하는 입장의 서술
c. 단군-기자·마한-고구려의 삼한 정통론적 입장을 취했으면서도, 단군 - 부여 - 고구려의 연결성도 존중하여,
고구려는 단군의 혈통, 세력과 기자의 문화를 동시에 계승하였음을 주장
c. 대종교에 영향
d. 부여, 발해를 우리 역사로 인식
2) 신채호 - 조선 후기 역사가 중 가장 주체적인 사람은 이종휘이다.
(8) 유득공
1) 발해고 - 발해사 “부여씨가 망하고 고씨가 망한 후 ~ 대씨가 북방을 점령~”
2) 서얼, 규장각 검사관
(9) 김정희 = 금석과안록 -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
3. 국토에 대한 연구
(1) 지리서
1) 역사 지리서
가. 한백겸 = 동국지리지 (1615) - 고대 지명을 새롭게, 고구려의 발상지가 만주라는 것 입증
나. 정약용 = 아방강역고 - 백제의 첫 수도가 서울, 발해의 중심지가 백두산의 동쪽이라는 견해
다. 한진서 = 해동역사지리고(1823) - 고증학
라. 신경준 (영조)
a. 강계고 - 동국지리지를 발전시킴
b. 여지고, 도로고
마. 영조 때 = 여도지서 - 전국 지리지
2) 인문
가. 이중환 (영조) = 택리지 - 환경, 물산, 풍속, 인심 서술
나. 지승 = 허목 - 풍토가 인성에 영향을 준다.
(2) 지도
1) 서양식 지도 전래
a. 곤여만국전도 (마테오리치) : 세계 지도 - 이광정, 권희가 가져옴
b. 직방외기, 양의현람도, 곤여전도, 천형도, 구라파국여지도
2) 정상기 (영조) = 동국지도 - 최초로 100리척 사용
cf. 정상기 - 경세치용학파 / 「인자비감」,「농포문답」,「심의설」,「도령편」
3) 김정호 = 대동여지도 (1861)
a. 10리마다 눈금표시
b. 산맥 하천 포구 도로망의 표시가 정밀
c. 목판으로 인쇄
d. 분첩절첩식으로 구성
cf) 김정호 3대 지리지 - 대동지지, 동여도지, 여도비지
4) 도로고 / 산수경 / 산경표
5) 요계관방도 (1706) - 군사·요새 표시
6) 청구도 (1834) - 김정희
|
조선 전기 |
조선 후기 |
목적 |
행정·군사적 |
경제·문화적 |
지도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동국지도(양성지) 천하도 |
대동여지도 동국지도 (정상기) 청구도 |
지리서 |
동국여지승람 팔도지리지 |
택리지 아방강역고 |
4. 언어에 대한 연구
(1) 음운학
1) 신경준 = 훈민정음운해
2) 유희 = 언문지
(2) 어휘
1) 이성지 - 재물보
2) 권문해 - 대동운부군옥
3) 정약용 - 아언각비
4) 이의봉 - 고금석림 (방언과 해외언어 정리)
5. 백과사전의 편찬
1) 이익 - 성호사절 (영조) : 천지, 만물, 경사, 인사, 사문의 5개 부분으로 정리
2) 이덕무 - 창장관전서 (정조) : 시문 전집으로 중국의 역사, 풍속, 제도 소개
3) 서유구 - 임원경제지 (헌종) : 농업의 경제, 경영 정리
4) 이규경 - 오주연문장전산고 (헌종) : 우리나라, 중국, 외국의 고금, 사물에 대해 고증학적 방법으로 소개
→ 역사, 천문, 지리, 의학, 농업, 광업, 화폐 항목 들을 변증설로 취해 해설
5) 영·정조 국가사업 - 동국문헌비고 (홍봉한) : 왕명으로 지리, 정치, 경제, 문화를 체계적으로 정리 (한국 내용)
6) 이수광 - 지봉유설 (광해군) : 중국에 다녀온 후 천문, 지리, 군사, 관제, 유럽, 중국, 일본의 내용 소개
(백과사전 효시)
7) 김육 - 유원총보
8) 권문해 - 대동운부군옥
cf) 전기 - 의방유취, 악학궤범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대사회 연표 (개항) (3) | 2009.11.02 |
---|---|
조선 후기의 문화, 예술 (문학, 음악, 그림, 건축, 공예) (5) | 2009.11.02 |
한국의 세계 유산 (4) | 2009.11.01 |
조선 후기의 과학 기술 (1) | 2009.11.01 |
[조선시대] 실학 (0) | 2009.10.31 |
농업 중심의 실학파 (정약용, 홍대용 등) (0) | 2009.10.30 |
상공업 중심의 실학파 (북학파) (0) | 2009.10.30 |
[조선 후기] 성리학의 변화 (양명학의 수용) (1) | 2009.10.29 |
[조선후기] 경제, 무역, 시장 (1) | 2009.10.29 |
[조선후기] 서민 경제 (1) | 2009.10.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