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교육 진흥 운동
Ⅰ. 조선 교육회
1. 일제하의 식민지 교육
- 철저한 식민지 교육, 낮은 취학률 (일본의 1/6)
(1) 1910년대 (무단통치기)
1) 제1차 조선 교육령 (1911) - 천황에 충성하는 신민양성, 실업교육에 중점
2) 교육 연한 단축
3) 교육 내용의 변화
a. 보통학교 - 역사·지리 과목 폐지
b. 고등보통학교 - 한국 역사·지리 교육 X
4) 사립학교 규칙 (1911) - 탄압
5) 개정사립학교 규칙 (1915)
6) 서당규칙 (1918)
(2) 1920년대 (문화통치기)
1) 제2차 조선교육령
2) 목표
a. 표면적 - '일시동민‘, ’내선일체‘
b. 실제 - 무차별 동화
3) 교육 연한 연장
4) 조선어 과목, 조선지리·역사 교육
5) ‘시립학교규칙’(1929) 개정
6) 복선제도입
(3) 1930년대 이후
1) 언론사 폐간
2) 제3차 조선 교육령 (1938)
가. 교명변경
a. 보통학교 → 심상소학교
b. 고등보통학교 → 중학교
c. 여자고등보통학교 → 고등여학교
나. 국어, 국사는 선택과목
☞ 제1조 소학교는 국민 도덕의 함양과 보통의 지능을 갖게 함으로써 충량한 황국 신문을 육성하는데 있다.
제13조 소학교의 교과목은 수신·일어·산술·국사·지리·이과·직업·도화이다.
조선어는 선택과목으로 한다.
3) 제3차 조선교육령 변경 (1941)
4) 초등학교령 (1941)
5) 제4차 조선교육령 변경 (1943) - 전시비상조치령 : 군사체계화, 조선어, 조선사 폐지
2. 민족 교육 운동의 전계
(1) 민족 교육사관
1910 - 어려움
1920 - 야학, 항일 사상
1931 (만주사변) 이후 - 말살정책으로 위축
(2) 조선 교육회 창설 - 한규설, 이상재 (1920)
3. 민립 대학 설립 운동 (1922)
(1) 배경 - 조선 교육회 → 총독부에 요구
(2) 전개 - ‘한민족 1천만이 한 사람씩 1원씩’ - 모금운동
(3) 실패 - 일제의 방해, 자연 재해
(4) 일본의 무마책
1) 연희 전문학교, 보성전문학교, 이화학당 - 대학 승격 노력
2) 일제 방해 - 경성 제국대 설립 (1924)
cf) 조선 교육령
1차 (1911) |
무단통치 |
사립학교 억제, 일본어 학습강요 한국인의 교육 보통, 실업, 전문 기술 교육으로 한정 |
2차 (1922) |
문화통치 |
사범학교, 대학교육 교육시설을 3면 1교로 확대 |
3차 (1938) |
중일전쟁 |
황국 신민화 교육 강화, 내선일체 우리말 우리역사에 대한 교육 금지 |
4차 (1943) |
태평양전쟁 |
수업연한 단축, 학도병제 학생을 토목공사와 전쟁물자 채집에 동원 |
Ⅱ. 농촌 계몽 운동
1. 배경 - 3.1운동, 식민지 교육
2. 전개 과정
1920 - 언론사 중심, 한글 보급 중심
1930 전 후 - 청년, 문맹퇴치, 농촌계몽
3. 문맹 퇴치 운동 전개
(1) 문자 보급 운동 - 조선일보 “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 (1926), 문맹퇴치
(2) 브나로드 운동 (계몽) = "민중속으로“
- 동아일보 (1932) - 우리 글, 미신타파, 구습제거, 근검절약
(3) 일제 탄압
Ⅲ. 과학 대중화 운동
1. 배경
(1) 한국인을 위한 과학 교육 부재, 교육기관 부재
(2) 과학 진흥의 필요성 인식
(3) 열강의 과학 기술 진흥
(4) 안창남의 고국 방문 기행
2. 전개
(1) 민족 언론의 활동
(2) 1924 - 발명학회, 과학 문명 보급회
(3) 발명학회
1) 김용관
2) ‘과학의 날’, ‘과학조선’
3) 과학 지식 보급회 조직, 지부 설치
Ⅳ. 종교 활동
1. 개신교 - 신사참배 거부, 의술, 학교, 한글, 미신타파, 애국 계몽운동, 신사참배거부
2. 천주교 - 사회산업, 의민단, ‘경향’발행
3. 천도교
(1) 제2의 3.1운동 계획 - 자주독립 선언문 발표, 동학
(2) 잡지 - ‘개벽’, ‘어린이’, ‘학생’
(3) 동학 → 천도교
(4) 어린이날 제정
(5) 조선농민사 (1925)
(6) 기관지 - 만세보
4. 대종교
(1) 항일투쟁 - 민족주의, 단군숭배, 나철, 오기호
(2) 중광단 - 북로군정사 → 청산리 대첩, 항일운동
5. 불교
(1) 사찰령, 승려법
(2) 조선불교 유신회, 한용운(불교유신론)
6. 원불교
(1) 박중빈 (1916)
(2) 개간, 저축운동, 새 생활 운동 (남녀평등, 허례허식 폐지)
7. 유교 - 박은식 , 유교 구신론 (1909)
8. 종교계 인사들의 변질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족 문화 수호 운동 (한국사의 연구) (1) | 2009.11.17 |
---|---|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 (0) | 2009.11.17 |
현대사회 연표 (0) | 2009.11.16 |
일제시대의 문예활동 (1) | 2009.11.16 |
일제시기 사회의 변화 (민족 유일당 운동, 형평운동) (0) | 2009.11.15 |
일제시대 경제적 저항 운동 (2) | 2009.11.14 |
항일운동 (2) | 2009.11.13 |
항일 독립 전쟁 (0) | 2009.11.13 |
대한민국 임시정부 (0) | 2009.11.12 |
비밀 결사 운동, 3.1 운동 (2) | 2009.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