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과 활동
Ⅰ.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1. 대한 국민회의 (1919, 2월) - 연해주, 손병희 (대통령), 이승만 (국무총리)
2. 한성 정부 - 국내, 이승만 집정관 총재 / 이동희 국무총리 (1919. 4월)
3. 대한 민국 임시정부 - 상해, 민주 공화제, 이승만 국무총리 추대 (1919. 4월), 이동녕 - 의정원 의장
Ⅱ. 임시 정부의 통합 (1919)
1. 수립 - 상하이
2. 임시정부의 체제
(1) 대통령 지도 체계 - 민주 공화제
(2) 3권 분립
1) 의정원 - 입법
2) 법원 - 사법
3) 국무원 - 행정
3. 헌정 지도 체제의 변천
1차 개현 |
1919 |
이승만 |
대통령 지도제, 3권 분립 유지 |
2차 개헌 |
1925 |
김구 |
국무령 중심의 내각 책임제 (법원 조항 삭제) |
3차 개헌 |
1927 |
국무위원 |
집단지도 체제 (가장 긴 기간) |
4차 개헌 |
1940 |
김구 |
주석 중심의 강력한 지도체제 |
5차 개헌 |
1944 |
김구, 김규식 |
주석, 부주석제, 사법권 조항 부활 |
Ⅲ. 임시 정부의 전개
1. 1차 개헌 (1919)
* 대통령제 이승만, 3권 분립 유지
2. 국민 대표 회의 소집 (1923)
(1) 배경 - 파리강화 회의에 제출한 ‘독립청원서’
(2) 원인
1) 독립운동에 대한 노선 갈등
2) 이승만의 ‘위임통치안’ 제출 - 독립 운동가 분노 → 이승만 탄핵 → 박은식 대통령 선출 (1925)
3) 임시정부의 개편 필요성 대두 - 이동휘가 레닌의 자원금 유용혐의로 탈퇴
(3) 소집 : 신채호, 박용만
(4) 결과 → 내부 분열
1) 창조파 - 신채호, 문창범
2) 개조파 - 안창호, 이동휘
(5) 이후의 임시정부
1) 대통령제에서 국무령제로 개현 (1925)
2) 창조파는 ‘한’정부 조직 - 연호 : 기원 → 실패
T) 국민대표회의 후 상해 임시정부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X) ☞ 분열
개 조 파 |
(1) 상해 1) 임시정부 내 개조파 a. 안창호 등 서북파 - 임시정부 인정 → 개조 : 대독립당 건설 b. 민족주의, 실력 양성론 2) 상해파 (고려 공산당) a. 이동휘, 윤자영 - 임시정부 인정 → 개조 : 민족 혁명당 건설 b. 공산주의, 무장 독립론
(2) 서간도 (서로군정서, 한족회) 1) 김동산, 이진산 - 임시정부 인정 → 개조 2) 민족주의, 무장독립론
|
창 조 파 |
(1) 북경 (북경 군사 통일회) 1) 박용만, 신숙, 신채호 - 임시정부, 불신임 → 신조직 : 위원제정부 2) 민족주의, 무장독립론
(2) 상해, 노령 1)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 a. 김만겸 - 임시정부, 불신임 → 민족 혁명당 건설 b. 공산주의, 무장투쟁론 2) 대한 국민회파 a. 문창범 - 임시정부, 불신임 → 신조직 : 위원제 정부 b. 공산주의 , 무장투쟁론
(3) 통일당 (천도교) - 신숙, 이민창
|
2. 2차 개헌 (1925)
(1) 국무령 중심, 내각 책임제 채택
(2) 유일당 운동
1) 대독립당 북경 촉성회 조직 (1926)
2) 한국독립당 관내 촉성회 연합회 (1926)
3. 3차 개헌 (1927)
(1) 국무위원의 집단지도 체제
(2) ‘이당치국’방침
“대단결한 당의 완성시 최고권력은 그 당에 있는 것으로 한다.”
(3) 한국독립당 (1930) - 한국독립당 + 한국혁명당 → 신한독립당, 조선혁명당
(4) 의혈투쟁
4. 이동시기 (1932 ~ 1940)
* 상해(1919) → 항저우(1932) → 난징(1935) → 한커우(1937) → 창사 (1937) → 광저우 (1938)
→ 류저우(1938) → 꾸이양(1939) → 치강(1939) → 충칭(1940)
(1) 대일전선통일동맹(1932)
(2) 장교육성 (1934)
(3) 조선민족 혁명당 (1935)
(4) 한국 국민당
(5) 중일전쟁(1937)
(6) 군사위원회 설치(1937)
(7)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1937)
(8)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1939)
(9) 서안에 군대 파견 (1939)
5. 4차 개헌, 충징 임시정부 (1940)
(1) 주석제
(2) 한국광복군총사령부(1940)
(3) 한국독립당 (1940)
(4) 대한민국 건국 강령 (1941)
1) 삼균주의 (조소앙)
2) 건국 : 복국 + 민주공화국
(5) 조선민족혁명당 합료 (1942)
(6) 한국광복군
1) 선전포고 (1941)
2) 영국군과 합동작전 - 인도, 미얀마
3) 국내 정진군 편성 - 미국 전략 정보국과 합작
4) 방송공작
Ⅳ. 임시 정부의 활동 내용
(1) 국내 통치 시도
1) 연통제 (1919) : 비밀 연락 조직 - 도군면 - 독판, 군감, 면감을 조직
2) 교통국 (1919)
(2) 군자금 지원
1) 만주 - 이륭 양행
2) 부산 - 백산 상회 (안희제)
(3) 문화사업
1) 독립신문
2) 사료편찬소 - 한일 사료집 간행
(4) 외교활동
1) 국제회의에 대표파견 - 김규식 (신한청년단)
2) 구미 위원부 설치 - 이승만
3) 만국사회당 대회 - 조소앙 파견
4) 쑨원의 ‘광동정부’와 연계(1922)
5) 러 소비에트 정부와 연계 - 한로공수동맹 (1920)
(5) 군사
1) 대한민국 육군임시군제
a. 육군무관학교
b. 비행사 양성소 (샌프란시스코)
2) 만주무장부대 포섭 - 서로·북로 군정서
3) 참의부, 광복군사령부
4) 한국광복군(충칭)
Ⅴ. 의의 - 자유주의, 공화주의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제시기 사회의 변화 (민족 유일당 운동, 형평운동) (0) | 2009.11.15 |
---|---|
민족 교육 진흥운동 (0) | 2009.11.15 |
일제시대 경제적 저항 운동 (2) | 2009.11.14 |
항일운동 (2) | 2009.11.13 |
항일 독립 전쟁 (0) | 2009.11.13 |
비밀 결사 운동, 3.1 운동 (2) | 2009.11.11 |
[국사] 국권의 피탈과 민족의 수난 (일제의 통치 변화) (0) | 2009.11.11 |
일제치하 민족 경제의 변화 (토지조사사업, 산미증식계획, 병참기지화 정책) (0) | 2009.11.11 |
[구한말] 문예, 종교의 새경향 (1) | 2009.11.10 |
독립운동 (0) | 2009.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