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의 통치 체제
1. 성격
(1) 초기 : 부족적
1) 지배 집단의 성장 : 고구려, 백제의 5부 / 신라의 6부가 중앙의 지배 집단
2) 왕권의 미약
(2) 후기 : 행정적
1) 관등제의 정비
2) 왕권의 강화
2. 귀족 합의 기구
(1) 기능 : 왕권 견제
(2) 고구려 제가회의, 백제의 정사암 회의, 신라의 화백회의
* 제가회의 “감옥이 없고 제가들이 논의하여 사형 ~ 처자는 몰수해 노비로 한다.”
3. 관직 체계의 운영
(1) 신분제에 의하여 제약
(2) 신라 : 골품 제도와 결합
4. 지방 통치
(1) 초기 : 성·촌 단위 개편 ➝ 한계 : 자치가 유지
(2) 후기
1) 부·방·주 단위로 개편 - 광역 행정구역
2) 말단 행정에는 촌주 (중앙에서 파견한 것 아님)
(3) 군사적 성격 - 행정과 일원적 조직 (X- 분리)
(x- 각 부의 귀족들은 중앙 왕실에 예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자 관리를 거느리고 자신의 영역을 지배하였다.)
고구려 |
백제 |
신라 |
통일신라 |
발해 | |
관 등 |
10여 관등(형, 사자) |
16관등 (솔, 덕) |
17관등(찬, 나마) |
||
중앙관제 |
내평, 외평, 주부 |
6좌평, 22부(중국식) |
병부 등 10부 |
집사부 등 14부 |
3성6부 (중국식) |
수 상 |
대대로 (막리지) |
상좌평(내신좌평) |
상대등(선출) |
시중, 중시 (임명) |
대내상 |
수 도 |
5부(고국천왕) |
5부 |
6부 |
||
지 방 |
5부(욕살), 성(처려근지, 도사) |
5방(방령) → 아래 군장 |
5주(군주) |
9주(총관➝도독) |
15부 62주 |
특수구역 |
3경제 (국내성, 평양성, 한성) |
22담로 (무령왕) (웅진시대) |
2소경 (동원경, 중원경) |
5소경 (사신) |
5경제 (지방문화 보급) |
군사제도 |
대모달, 말객 (지휘) |
방령, 군장 |
서당, 6정 |
9서당, 10정 |
10위, 대장군 |
합의제도 |
제가회의 |
정사암 회의 |
화백 회의 |
정당성 |
* 고려 (도병마사, 도평의사사) ➝ 조선 (의정부, 비변사)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 15. 삼국시대 신분제도 (하호) (2) | 2012.04.29 |
---|---|
[삼국] 14. 삼국의 군사제도 (고구려 백제 신라의 군사제도, 5부 5방) (0) | 2012.04.29 |
[삼국] 13. 신라의 통치체제 (신라 중앙 관제, 신라 지방 조직) (3) | 2012.04.29 |
[삼국] 12. 백제의 통치체제 (백제 중앙관제, 백제 지방조직, 6좌평, 22담로) (0) | 2012.04.29 |
[삼국] 11. 고구려의 통치체제 (고구려의 중앙관제, 지방조직, 5부 5부, 욕살) (0) | 2012.04.28 |
[삼국] 9. 신라의 삼국통일과 부흥운동 (백제의 멸망, 고구려의 멸망, 백제 부흥운동, 고구려 부흥운동, 검모잠, 흑지상지, 복신, 도침, 고연무, 기벌포전투, 매소성전투) (1) | 2012.04.28 |
[삼국] 8. 삼국 간의 경쟁과 대외관계 (고구려, 백제, 신라의 대외관계 - 수당전쟁, 살수대첩, 을지문덕, 오언시, 여당전쟁) (0) | 2012.04.28 |
[삼국] 7. 삼국 비교 표 (고구려, 백제, 신라 비교 표) (6) | 2012.04.27 |
[삼국] 6. 신라 (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 내물왕, 소지왕,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 무열왕, 눌지왕, 지증왕, 진평왕, 선덕여왕, 진덕여왕, 신라 비석, 임신서기석, 영일냉수리비, 황초령.. (2) | 2012.04.27 |
[삼국] 5. 백제 (초고왕, 고이왕, 근초고왕, 침류왕, 비유왕, 개로왕, 문주왕, 동성왕, 무령왕, 성왕, 의자왕, 칠지도) (4) | 2012.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