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역 제도와 군사 조직
(1) 중앙군
1) 2군 6위
a. 2군 : 친위 부대 → 응양군 - 무신기 ‘반주’, 용호군(친위대) (현종)
b. 6위 : 수도경비 (좌우위, 신호위, 흥위위), 금오위(경찰),
천우위(의장), 감문위(궁문수비), 국경방어
2) 직업군인 편성, 군인전을 받고 역은 세습 되었다.
3) 폐단 : 군인전도 지급 못 받자 몰락 (cf. 현종 때 군인전 폐지)
4) 중방
a. 2군 6위의 상장군(정3품), 대장군(종3품)의 합좌기구
b. 영의 지휘관 - 장군(정4품), 중랑장, 낭장, 별장, 산원, 교위
c. 역할 : 무신난 후, 정중부와 이의민 때 정치적 역할
d. 하부 기구 : 각 영의 부대장인 장군(정4품)의 합의 기구로 장군 방 등이 있다.
5) 선군
a. 군호연립(계승)하지 못하여 새로 선발하는 제도
b. 주 대상 = 백정과 천민
(2) 지방군
1) 주현군 (의무군) - 현종 9년
a. 치안 - 정용군, 보승군
b. 일품군(추역군) - 노역에 종사(공역, 노동)하는 부대로 향리가 지휘
c. 5도에 배치, 치안, 노역, 방비
d. 병농일치 - 농민 중심, 예비군적
2) 주진군
a. 우군, 좌군, 초군(상비군)
b. 양계에 배치
c. 둔전을 둠
d. 병마사, 방어사, 진장 - 북계 : 보창, 동계 : 연새군
e. 상비군 직접 지휘 - 도령(중랑장) → 토착세력이 임명
3) 군인전을 받지 않았다.
cf) 1. 전투부대의 핵심은 보승과 정용이었다.
2. 보승은 중앙군, 지방군에 모두 있었다.
3. 중앙, 지방군의 부대편성 - 1領은 1000명의 군인으로 조직
(3) 특수군
1) 광군 : 거란 방어 (뒤에 주현군의 모체) (정종)
2) 별무반
a. 여진 정벌 위해 숙종 대 윤관이 주장
b. 신기군(기병), 신보군(보병), 항마군(승병)
cf) 도탕군, 경궁군, 정노군, 발화군
3) 삼별초 : 몽고에 항쟁 (좌,우, 신의군) (최우)
4) 연호군 : 양민, 천민으로 구성된 혼성부대→ 홍건적, 왜구
|
통일신라 |
발해 |
고려 |
합의기구 |
화백 |
정당성 |
도병마사 |
감찰기관 |
사정부 |
중정대 |
어사대 |
중앙군 |
9서당 |
10위 |
2군 6위 |
국립대학 |
국학 |
주자감 |
국자감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