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고려] 11-1. 원의 내정 간섭 (정동행성, 쌍성총관부, 탐라총관부, 동녕부, 부마국, 도평의사사, 심양왕제도, 독로화제도, 순마소, 만호부, 밀직사, 다루가치, 만권당 , 고려양, 몽골풍, 응방, 결혼..

by 소이나는 2012. 5. 9.
반응형

 

 

 

 

 

 

의 내정 간섭

 

 1. 일본 원정 : 정동행성 (원정 준비기관) ➝ 태풍으로 실패

    T) 두 차례 실시된 원의 일본 원정에 군대와 물자의 제공을 강요받았다. (충렬왕 때)


 2. 영토의 상실

  (1) 쌍성총관부 설치 (1258~1356) : 원 고종 말년 화주(양흥)에 설치 : 철령 이북의 땅을 직속령으로 편입

                                     (➝ 이후에 공민왕이 회복)

  (2) 동녕부 설치 (1270~1290) : 자비령 이북의 땅 차지, 서경에 동녕부 설치 (➝ 충렬왕 때 폐지)

  (3) 탐라총관부 설치 (1273~1301) : 목마장 경영






 3. 영토의 수복

  1) 충렬왕 : 동녕부, 탐라총관부

  2) 공민왕 : 쌍성총관부


 4. 관제의 개편 (원의 강요)

  (1) 부마국 : 원의 공주와 결혼, 원 황제의 부마가 되었다.

      cf. 원의 공주가 데려온 시중 ‘겁령구’의 횡포가 심함

  (2) 관제의 격하

   1) 2성인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합쳐 첨의부

   2) 6부를 4사로 통합 → 전리사(이부·예부), 판도사(호부), 군부사(병부), 전법사(형부) / 공부는 폐지

   3) 도병마사 ➝ 도평의사사(독자적, 최고 상설기구)

   4) 중추원 ➝ 밀직사  (➝ 조선 : 승정원, 삼군부)

  (3) 호칭 격하

     짐 ➝ 고 / 폐하 ➝ 전하 / 태자 ➝ 세자 / ~조·종 ➝ ~왕 / 선지 ➝ 왕지 / 상서 ➝ 판서 /

     시랑 ➝ 총랑 / 사 ➝ 유 / 주 ➝ 정/

  T) 13세기 후반 2군 6위는 중앙 상비군으로의 면모를 거의 상실하였다.



 
5. 원의 내정 간섭과 수탈

  (1) 원의 내정 간섭 제도

   1) 심양왕 제도 : 남만주 심양 일대에 포로, 유민 고려민 통치하기 위해 설치 (실제로는 고려왕을 견제)

   2) 독로화 제도 : 고려의 세자가 북경에 인질 후 돌아와 왕이 되었다.

  (2) 원의 내정 간섭 기구

   1) 정동행성 : 일 원정 준비 기구 ➝ 연락소, 고려 내정 감독의 성격, 의례적 행사를 담당

      cf) 몽고인으로 임명되어야 할 평장정사, 우좌승, 참지정사는 비워두는 게 보통이었다.

   2) 순마소 : 반원 인사 색출, 개경 치안 담당 = 감찰기관  (➝ 조선 : 의금부)

   3) 만호부 : 5개의 만호부, 천호부 등 십진법에 따른 군사 편제가 영향력을 행사 (국방, 치안)

   4) 다루가치 : 감찰관 파견, 내정간섭, 공물 징수 감독

  (3)몽골의 수탈

   1) 결혼도감 : 처녀들 뽑아감 (원종 1272) - 과부처녀추고별감이라 함 (cf. 조혼이 유행)

   2) 응방 : 매 징벌 ➝ 해동청 사육

   3) 자주성의 손상, 통치 질서의 와해

  (4) 지방제도

   1) 5도 - 안렴사 파견 → cf. 려말 도관찰 출척사로 변경,  상설관청 - 경락사 설치

   2) 양계 - 병마사 → 도절제사 →도관찰출척사 (‘도’의 성격으로 변화)

  (5) 기타

   1) 판도사  (➝ 조선 : 호조)

   2) 군부사  (➝ 조선 : 병조)

 

6. 원 간섭기의 사회 변화

  (1) 친원 세력의 대두

  (2) 풍속의 교류

   1) 몽골풍 : 변발, 복장 등

   2) 고려양 : 음악, 예절, 무용, 병, 고려아청, 고려만두 등이 원에 전해짐

  (3) 만권당 (충선왕) : 원나라(연경)에 학문연구소를 설치 (조맹부, 이제현) ➝ 문화, 학문의 교류   (X- 개경에 설치)

   cf) 조맹부 - 송설체로 유명

  (4) 권문세족의 성장

  (5) 성리학의 수용으로 유학 발전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14-1.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토지소유 (역분전, 과전법, 녹과전, 시정 전시과, 개정 전시과, 별정 전시과, 경정 전시과, 한인전, 공음전)  (3) 2012.05.10
[고려] 13. 고려시대 백성들의 생활 (향도, 자모정식법, 흑창, 의창, 상평창, 제위보, 혜민국, 동서대비원, 구급도감, 고려 여성지위, 고려시대 상속)  (6) 2012.05.10
[고려] 12. 중세의 사회, 고려의 사회 (고려 신분제도, 문벌귀족, 신진사대부, 호적제도, 남반, 고려 백정, 권문세족, 천자수모법, 일천즉천, 조인규, 솔거노비)  (4) 2012.05.09
[고려] 11.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홍건적의 난, 왜구의 침입, 최영, 최무선, 정지, 이성계, 박위, 이방실)  (0) 2012.05.09
[고려] 11-2. 고려의 원 간섭기 개혁정치 (충렬왕, 충선왕, 충목왕, 충혜왕, 공민왕, 정치도감, 전민변정도감, 쌍성총관부 회복)  (3) 2012.05.09
[고려] 10. 고려시대 대외 관계의 변화 (거란, 여진, 몽골, 삼별초, 강조, 처인성, 김윤후, 만부교사건, 강동의 역, 서의, 천리장성, 7대실록, 윤관, 별무반, 강감찬, 귀주대첩, 강동6주, 천리장성, ..  (0) 2012.05.08
[고려] 9. 무신 정권 시대 (무신정변, 최충헌, 교정도감, 최우, 정방, 서방, 도방, 김보당의 난, 조위총의 난, 만적의 난, 최광수의 난, 이연년의 난, 망이 망소이의 난)  (1) 2012.05.08
[고려] 8. 고려시대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 (이자겸의 난,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0) 2012.05.08
[고려] 7. 고려의 군역제도 (고려 군사제도, 고려 군사조직, 2군 6위, 주현군, 주진군, 연호군)  (6) 2012.05.07
[고려] 6. 고려의 지방행정조직 (5도 양계, 감무, 향리, 왕경)  (0) 2012.05.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