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의 내정 간섭
1. 일본 원정 : 정동행성 (원정 준비기관) ➝ 태풍으로 실패
T) 두 차례 실시된 원의 일본 원정에 군대와 물자의 제공을 강요받았다. (충렬왕 때)
2. 영토의 상실
(1) 쌍성총관부 설치 (1258~1356) : 원 고종 말년 화주(양흥)에 설치 : 철령 이북의 땅을 직속령으로 편입
(➝ 이후에 공민왕이 회복)
(2) 동녕부 설치 (1270~1290) : 자비령 이북의 땅 차지, 서경에 동녕부 설치 (➝ 충렬왕 때 폐지)
(3) 탐라총관부 설치 (1273~1301) : 목마장 경영
3. 영토의 수복
1) 충렬왕 : 동녕부, 탐라총관부
2) 공민왕 : 쌍성총관부
4. 관제의 개편 (원의 강요)
(1) 부마국 : 원의 공주와 결혼, 원 황제의 부마가 되었다.
cf. 원의 공주가 데려온 시중 ‘겁령구’의 횡포가 심함
(2) 관제의 격하
1) 2성인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합쳐 첨의부로
2) 6부를 4사로 통합 → 전리사(이부·예부), 판도사(호부), 군부사(병부), 전법사(형부) / 공부는 폐지
3) 도병마사 ➝ 도평의사사(독자적, 최고 상설기구)
4) 중추원 ➝ 밀직사 (➝ 조선 : 승정원, 삼군부)
(3) 호칭 격하
짐 ➝ 고 / 폐하 ➝ 전하 / 태자 ➝ 세자 / ~조·종 ➝ ~왕 / 선지 ➝ 왕지 / 상서 ➝ 판서 /
시랑 ➝ 총랑 / 사 ➝ 유 / 주 ➝ 정/
T) 13세기 후반 2군 6위는 중앙 상비군으로의 면모를 거의 상실하였다.
5. 원의 내정 간섭과 수탈
(1) 원의 내정 간섭 제도
1) 심양왕 제도 : 남만주 심양 일대에 포로, 유민 고려민 통치하기 위해 설치 (실제로는 고려왕을 견제)
2) 독로화 제도 : 고려의 세자가 북경에 인질 후 돌아와 왕이 되었다.
(2) 원의 내정 간섭 기구
1) 정동행성 : 일 원정 준비 기구 ➝ 연락소, 고려 내정 감독의 성격, 의례적 행사를 담당
cf) 몽고인으로 임명되어야 할 평장정사, 우좌승, 참지정사는 비워두는 게 보통이었다.
2) 순마소 : 반원 인사 색출, 개경 치안 담당 = 감찰기관 (➝ 조선 : 의금부)
3) 만호부 : 5개의 만호부, 천호부 등 십진법에 따른 군사 편제가 영향력을 행사 (국방, 치안)
4) 다루가치 : 감찰관 파견, 내정간섭, 공물 징수 감독
(3)몽골의 수탈
1) 결혼도감 : 처녀들 뽑아감 (원종 1272) - 과부처녀추고별감이라 함 (cf. 조혼이 유행)
2) 응방 : 매 징벌 ➝ 해동청 사육
3) 자주성의 손상, 통치 질서의 와해
(4) 지방제도
1) 5도 - 안렴사 파견 → cf. 려말 도관찰 출척사로 변경, 상설관청 - 경락사 설치
2) 양계 - 병마사 → 도절제사 →도관찰출척사 (‘도’의 성격으로 변화)
(5) 기타
1) 판도사 (➝ 조선 : 호조)
2) 군부사 (➝ 조선 : 병조)
6. 원 간섭기의 사회 변화
(1) 친원 세력의 대두
(2) 풍속의 교류
1) 몽골풍 : 변발, 복장 등
2) 고려양 : 음악, 예절, 무용, 병, 고려아청, 고려만두 등이 원에 전해짐
(3) 만권당 (충선왕) : 원나라(연경)에 학문연구소를 설치 (조맹부, 이제현) ➝ 문화, 학문의 교류 (X- 개경에 설치)
cf) 조맹부 - 송설체로 유명
(4) 권문세족의 성장
(5) 성리학의 수용으로 유학 발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