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성장
1. 고려 전기의 문학
(1) 향가
1) 초기 : 광종 때 균여가 지은 보현십원가 11수가 「균여전」에 전해짐
2) 보현십원가 - 불경을 향가로 풀이
3) 중기 - 예종 때 현화사의 낙성식에서 향가를 짓게 함, 하지만 향가는 한시에 밀리기 시작
(2) 한문학
1) 성종이후 성행 ➝ 박인량, 정지상, 김황원, 정습영
2) 독자적 모습
2. 중기의 문학 - 당·송의 한문학 숭상 경향 = 사대성, 보수성
3. 무신 집권기
(1) 초기 수필 형식 저술
1) 낭만적, 현실 도피적 경향
2) 이인로 - 파한집 (한가로움을 깨뜨리는 뜻)
3) 임춘 - 국순전 = 술을 의인화 “출렁대고 넘실거림이 만경창파와 같아 맑게 해도 맑지 않고, ~”
(2) 최씨 무신 집권기
1) 현실을 제대로 표현
2) 이규보, 최자
(3) ‘죽림고회’결성
☞ “날마다 서하 임춘과 북양 오세양의 무리와 더불어 금란의 사귐을 맺어 꽃피는 아침이나 달 밝은 저녁이면
같이 어울리지 않은 적이 없었으니 세상에서는 죽림고회라 하였다.” - 파한집
☞ <고려사> - 중기
「그때에 이인로, 오세재, 임춘, 조통, 황보항, 함순, 이담지 등이 스스로 한때의 준걸이라 하여 맺어 벗이
되어 칠현이라고 일컫고 매양 모여서 술 마시고 시를 지어서 곁에 사람이 없는 것과 같았다. 오세재가
사망하자, 이담지가 이규보에게 이르기를 “자네가 빈자리를 메울 수 있겠는가.”하니 “칠현이 어디 조정의
관직이기에 그 결원을 메우는가?”라고 하였다.」
4. 후기의 문학
(1) 신진 사대부와 민중이 주축, 자주의식, 전통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려는 경향
(2) 한문학의 발달 - 세련, 자유로운 문장체
1) 패관 문학 - 민간 구전을 한문으로 기록 = 이규보「백운소설」/ 이제현「역옹패설」/ 수이전 (박인량) - 효시
2) 가전체 문학 - 이규보 「국선생전」(술) / 이곡 「죽부인전」(대) / 청강사자현부전 - 거북이 /
임춘 「공방전」(돈) / 정시자전 - 지팡이
3) 한시
a. 이규보 「동명왕편」
☞ 이규보 「최초의 금속 활자본 상정고금예문의 인쇄 사실을 전하고, 고구려 계승 의식을 드러낸 저술을 남겨
“천하로 하여금 우리나라가 본래 성인이 살던 곳임을 알게 하려 한다.”라고 밝혔다.」
b. 진화 = 문학적 자신감 “송은 쇠퇴하고 북방 오랑캐(금)는 미개하다”
T) 담긴 사상과 유사한 것 = 조선시대 서거정의 동문선
c. 이곡 = 부패상 읊
(3) 국문학
1) 경기체가 - 신진사대부 ➝ 한림별곡, 관동별곡, 죽계별곡
2) 시가 문학 - 전원생활의 모습 ‘어부가’
3) 장가(속요) - 민중 - 청산별곡, 가시리, 쌍화점 (자유분방)
전기 |
향 가 |
보현십원가(균여) |
화엄경 내용을 향가로, 불교 |
중기 |
당 송 |
최충, 김부식 |
사치, 향락, 전통문화와 괴리 |
후기 |
경기체가(별곡) |
한림별곡, 죽계별곡, 관동별곡 |
신진 사대부 |
시 가 |
어부가 |
전원의 한가로움 | |
속요(장가) |
청산별곡, 쌍화점, 만전춘 |
서민의 감정 | |
수 필 |
파한집(이인로), 보한집(최자), 역옹패설(이제현) |
자유로운 문체 | |
설 화 |
국순전(임춘), 국선생전(이규보), 죽부인전(이곡) |
사물 의인화 |
초기 |
중기 |
무신 |
원 |
말기 |
자주적, 주체적 (최승로, 김심언, 박인량) |
사대적, 보수적 (최충, 김부식) |
위축 |
성리학 전래 ➝실천적 기능 (이규보, 이승휴) |
진취적 |
관학 (국자감, 향교) |
사학 12도 관학 진흥 (7재, 양현고) |
|
관학 진흥 (문묘, 성균관) |
성균관 |
고구려 계승 (7대실록, 고금록) |
신라 계승 (삼국사기) |
고구려 계승 (동명왕편) |
고조선 계승 (삼국유사, 제왕운기) |
성리학적 유교 (사략) |
독자적 |
당의 시, 송의 산문 |
낭만, 현실도피 수필 |
민중 - 장가, 속요 신진사대부 - 경기체가, 패관문학 | |
구삼국사 5조 정적평 (최승로) 7대실록 (황주량) |
가락국기 (김양감) 편년통재 속편년통제(홍관) 해동비록 상정고금례 편년통록(김관의) |
동명왕편 해동고승전 (각훈) |
삼국유사 (야사) 제왕운기 (발해) 천추금경록(정가신) 본조편년강목(민지) 사략(이제현, 성리학적) |
신라 중기 |
신라 후기 |
조선초기 |
조선 중기 |
조선 후기 |
20세기 초 |
자주적 (독자, 주체)
김대문 (고승전, 한산기, 화랑세기. 계림잡전) |
중국모방 최치원(계원필경 토황소격문, 중산복궤집) |
자주적 동문선(서문) 고려국사 (정도전) 동국사략 (권근) 조선왕조실록 고려사 동국통감 (서거정) |
사대적 이이(기자실기) 박상(동국사략)
|
자주적 박지원(양반전, 호질) 발해고 (유득공) 동사 (이종휘) 동사강목 (안정복) 연려실기술 (이긍익) 해동역사 (이긍익) 동사 (허목) - 남인 입장 |
한국통사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 (박은식) 조선상고사 (신채호) 조선사연구초 (신채호) 조선사연구 (정인보) |
soy한국사
<문제>
1. 고려후기에 관리들의 기이한 행적과 서민들의 풍속, 감정이 실려 있는 설화 문학이 발달하였다.
2. 삼국유사(충렬왕) 비슷한 시기의 상황 - 만권당에 조맹부와 이제현이 학문을 교류하였다. (충선왕) : 원 간섭기
3. 당송문학 숭상 경향 시기 - 법상종이 발달, 서경 길지설퇴색, 남경 길지설이 대두 (고려 중기 보수적 성향)
4. 삼국사기 - 왕명을 받아 편찬, 본기 28권, 지9권, 열전 10권으로 구성
5. 13세기에 편찬된 향약구급방은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의학 서적이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