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고려] 17. 고려시대 종교, 고려 불교 (승록사, 천태종, 제관, 의천, 대장경, 교관겸수, 초조대장경, 재조대장경, 속장경, 팔만대장경, 영통사 대각국사비, 의천 초상화), 고려 풍수지리설, 고려 ..

by 소이나는 2012. 5. 11.
반응형

 

 

 

불교 사상과 신앙


Ⅰ. 불교 정책

 

 1. 불교의 성격

  (1) 현세 구복적 : 비보사찰, 원탑의 건립

  (2) 호국적 : 연등회, 팔관회, 대장경 조판

  T) 사원은 왕실이나 권무네족의 후원 하에 막대한 농장을 소유하였다.


 2. 당대의 신앙관

  (1) 귀족

  (2) 일반인 : 기복 신앙, 향도(토속, 불교, 풍수지리설 융합)


 3. 태조의 숭불 정책

  (1) 사원 건립 : 불교 적극 지원

  (2) 불교에 대한 국가의 지침 제시 : 훈요십조, 팔관회

  (3) 법왕사, 왕륜사, 개태사


 4. 광종의 정책

  (1) 승과 제도 : 교승 - 수좌, 승통까지   /  선승 - 선사, 대선사 까지

  (2) 국사(혜거)·왕사(탄문) 제도

  (3) 교종 우대 - 화엄종(균여), 귀법사(성상융회사상)

  (4) 승록사 설치 - 승계 임명, 승정 담당

  (5) 법안종 도입

  (6) 천태학 강조 (의통, 제관) - 교종이면서 대중성

  (7) 교종은 교종대로, 선종은 선종대로 각각 통합한 뒤 다시 선교의 대립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5. 성종의 억불책 : 최승로 등 유학자 등용, 팔관회·연등회 일시 폐지

  

6. 현종 : 연등회·팔관회 부활, 현화사 건립, 초조대장경(거란의 침입), 법상종, 화엄종

  

7. 문종 : 별사전 지급, 흥왕사 건립

  

Ⅱ. 불교 통합 운동, 천태종

 

 1. 초기

  (1) 교종, 선종의 병립 : 화엄종(의상)·법상종 성행, 선종 관심

  (2) 종파 수습 노력

   1) 종의 통합 : 화엄종의 본찰 - 귀법사 (균여 - 분열된 종파 수숩에 노력)

   2) 종의 통합 : 법안종 중심

  (3) 태학 부흥

   1) 의통 : 중국 천태종의 13대 교조

   2) 제관

     a.「천태사교의

     b. 불교 이론들의 차이를 조화시키기 위한 화쟁사상 제시

  (4) 구산 선문의 성행으로 탑비 미술이 발달

  (5) 관촉사 석불조성 - 왕실의 권위 과시                                             soy한국사 


 2. 중기 (문벌귀족)


  (1) 화엄종, 법상종이 융성 - 교종

   1) 법상종 (유상사상): 인주 이씨 - 불교의식에 치중

   2) 화엄종 (화엄사상): 의천의 흥왕사 중심으로 발전 (호화로운 불교의식 폐단 개선에 노력) - 법상종 견제, 흡수


  (2) 의천(대각국사)의 교단 통합운동

   1) 원효의 화쟁 사상 - 원효에 화정국사 칭호

   2) 교종 통합 : 화엄종 중심

   3) 천태종 창시 : 교종 중심으로 선종 통합 (국청사) - 정치적 통합성격(법상종 의식), 숙종의 후원

   4) 사상적 바탕 : 교관겸수, 법화경

     * 교관겸수

        A. 교학의 수련을 중심으로 선을 포용

        B. 성상겸학 : 성(본질)과 상(표상)의 차이를 인정

        C. 내외겸학 : 안(선종)과 밖(교종)이 어우러져야 온전

        D. 지관 : 집념을 중지, 지혜로 사물을 관조

    5) 송·요·제 등 불경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속장경을 간행 (cf. 속장경은 외세침입과 무관)

    6) “내적으로만 깨치려는 경향이 강하다.”

    7) 천태사교의 , 석림사림, 원종문류

    8) 한계: 불교의 폐단,  정치적 경향 → 이론적 차원에 머물음

    cf. 신편제종교장총록 - 속장경을 간행할 때 만든 불서 목록 - 의천


   ☞ 대각국사 문집

      “말과 형상을 떠나면 미혹에 빠지고 말과 형상에 집착하면 진실을 미혹케 된다. ~ 교리를 배우는 이는 내적인 것을

       버리고 외적인 것을 구하는 일이 많고 참선하는 사람은 밖의 인연을 잊고 내적으로 밝히기를 좋아한다.

       둘다 편벽된 집착이고 양극단에 치우친 것이다.”


   ☞ “교(敎)를 닦으면서 관(觀)을 폐하거나 관에 치우쳐 교를 버리는 것은 모두 편집에서 나온 것이므로 교종의 승려도

       내관(內觀)을 닦아야 하며 선종의 승려 역시 교리(敎理)를 익히지 않으면 안 된다.“ 

 

       "관을 배우지 않고 경만 배우면 비록 오주의 인과를 들었더라도 삼중의 성덕에는 통하지 못하며 경을 배우지 않고 관만 배우면 비록 삼중의 성덕을

        깨쳤으나 오주의 인과를 분별하지 못한다. 그런즉 관도 배우지 않을 수 없고 경도 배우지 않을 수 없다."

 

 



 
[대각국사 의천 초상화]                   [영통사 대각국사비]


천태종

고려 중기 -

문벌귀족시기

의천

교종(화엄종) 중심으로 선종 통합

교관겸수, 지관

문벌 귀속

국청사

조계종

고려 중기 -

무신집권기

지눌

선종 중심으로 교종 통합

정혜쌍수, 돈오점수, 실천

무신정권

송광사








Ⅲ. 결사 운동, 조계종

     [고려] 17-1. 고려시대 불교의 결사 운동, 조계종 (지눌, 혜심, 충지, 요세, 백련결사, 수선사, 정혜쌍수, 돈오점수, 보우, 지공, 혜근, 백련사, 지눌 초상화)  - 보기 클릭


Ⅳ. 대장경의 간행

 

 1. 간행 배경

  (1) 의미 - 대장경은 경전을 총칭하는 말

   1) : 부처가 설법한 것 - 근본 교리

   2) : 윤리조항, 생활규범

   3) : 이론과 해석을 집대성

  (2) 배경 - 불교 사상 체계화, 외적 격퇴 염원                                             soy한국사 


 2. 초조대장경

  (1) 조판 목적 : 현종 때 거란 침입 (2차), 대장경 간행 → 문종 때 완성

  (2) 조판과 보관 : 대구 팔공산 부인사 ➝ 불탐 (소실)

  
 [초조대장경]

 3. 교장 (속장경)

  (1) 목적 : 의천 중심 흥왕사에서 초조대장경 보완

  (2) 불서 목록 작성 : 신편제종교장총록 을 만듦

  (3) 교장도감 설치 - 흥왕사

  (4) 속장경도 소실


 4. 재조대장경 (팔만대장경)

  (1) 불경전집, 송과 거란 등 여러 장경을 대조하여 만듦

  (2) 목판인쇄술 발달

  (3) 관련 인물 : 수기

  (4) 최우 집권시, 강화도에 대장도감 설치 (여러 장소에서 만들어짊)

  (5) 몽골 침입 때 - 초조대장경 소실로 고종때 다시 만든 것

  (6) 현재 - 합천 해인사 (조선 세조 15c, 장경판전)


 
 [해인사 재조대장경 팔만대장경]
 


 cf. 유네스코 : ‘고려 대장경판, 제경판’, ‘조선 왕실 의궤’, ‘화성 성역 의궤’


초조대장경

현종~선종

거란 격퇴, 교리 정리

대구 부인사 보곤 중 소실 (일부가 일본 남선사에 있음)

교장(속장경)

선종~숙종

교리정리, 장소(주석서)모음

흥왕사 보관 중 소실 (일부가 일본 동대사에 있음)

재조대장경

고종(최우)

몽골 격퇴, 교리 정리

강화도에서 판각, 해인사에 보존






도교, 풍수지리 사상


Ⅰ. 도교의 성행

 1. 특징 : 불로장생, 현세 구복 

 2. 기능 : 나라의 안녕과 왕실의 번영 

 3. 내용

  (1) 구요당 건립

  (2) 초제 거행 : 하늘에 제사 지내는 초제가 성행

  (3) 도관의 건립 : 예종 때 도교 사원인 복원궁 처음 건립

  (4) 수경신 - 잠을 자지 않고 새우는 풍습

 4. 한계

  (1) 일관된 체계 부재

  (2) 교단의 미성립

  

Ⅱ. 풍수지리설

 1. 특징 : 미래의 길흉화복을 예언하는 도참사상이 더해짐 

 2. 영향

  (1) 초기

    1) 풍수지리 중시 : 비보사찰이 건립

    2) 개경·서경 명당설 : 북진정책 (묘청)

  (2) 중기 이후

    1) 한양 명당설

    2) 한양 건설 추진 : 문종이 남경으로 승격

    3) 장원정 건립 - 예성강 변

    4) 남경 건설 - 「답산가」,「삼각산명당기」,「신지비사」

  (3) 문헌 : 도선비기, 해동비록


  T) 선종은 도교행사를 금지하였다?   (X)


cf) 민간신앙 - 숭천사상 / 산천 사상 / 성황신앙 / 동신사(개경), 동명성제사(서경)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22. 고려시대 서예, 고려시대 그림, 고려시대 음악 (고려시대 예술, 천산대렵도, 관음보살도, 부석사 조사당 벽화, 탄연 글씨)  (0) 2012.05.13
[고려] 21. 고려 청자, 고려 공예, 고려 종(범종) - (수원 용주사 종, 삼강청자, 은입사, 청자 전사 연화문 표주박 모양 주자, 청자 상감 운학문 매병, 나전 국당초문 염주 함, 청동제 은입사 포류..  (2) 2012.05.12
[고려] 20. 고려시대 건축, 고려시대 조각, 고려 불상, 고려 석탑, 고려 승탑 (갑사 승탑, 개성 만월대, 경천사 10층 석탑, 고달사지 승탑, 고려 불상, 고려 석탑, 고려 승탑, 고려시대 건축, 고려시..  (0) 2012.05.12
[고려] 19. 고려시대 문학 (향가, 한문학, 패관문학, 가전체문학, 경기체가)  (0) 2012.05.12
[고려] 18. 고려시대 과학기술 (고려 천문학, 사천대, 태의감, 직지심체요절, 상정고금예문, 화통도감, 고려 인쇄술, 고려 무기 제도, 개성 첨성대, 신기전, 고려 누전선, 고려 배)  (5) 2012.05.12
[고려] 17-1. 고려시대 불교의 결사 운동, 조계종 (지눌, 혜심, 충지, 요세, 백련결사, 수선사, 정혜쌍수, 돈오점수, 보우, 지공, 혜근, 백련사, 지눌 초상화)  (0) 2012.05.11
[고려] 16. 고려시대 유학의 발달, 고려시대 역사서 편찬 (고려 유학, 고려 성리학, 삼국사기, 삼국유사, 동명왕편, 제왕운기, 개성 성균관, 국자감, 7재, 양현고, 9재학당, 안향, 고려 과거제도, ..  (2) 2012.05.11
[고려] 15. 고려시대 경제 활동 (고려 화폐, 고려 고리대, 건경직파법, 시비법, 이앙법, 고려 농업, 고려 수공업, 관청 수공업, 경시서, 소금전매제, 장생고, 고려 교통로, 고려 강화도 개간, 활구,..  (0) 2012.05.11
[고려] 14. 고려의 산업, 재정 (중농정책)  (0) 2012.05.10
[고려] 14-2. 고려시대 수취체제 (조세, 공납, 공부, 역, 잡세)  (0) 2012.05.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