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사상과 신앙
Ⅰ. 불교 정책
1. 불교의 성격
(1) 현세 구복적 : 비보사찰, 원탑의 건립
(2) 호국적 : 연등회, 팔관회, 대장경 조판
T) 사원은 왕실이나 권무네족의 후원 하에 막대한 농장을 소유하였다.
2. 당대의 신앙관
(1) 귀족
(2) 일반인 : 기복 신앙, 향도(토속, 불교, 풍수지리설 융합)
3. 태조의 숭불 정책
(1) 사원 건립 : 불교 적극 지원
(2) 불교에 대한 국가의 지침 제시 : 훈요십조, 팔관회
(3) 법왕사, 왕륜사, 개태사
4. 광종의 정책
(1) 승과 제도 : 교승 - 수좌, 승통까지 / 선승 - 선사, 대선사 까지
(2) 국사(혜거)·왕사(탄문) 제도
(3) 교종 우대 - 화엄종(균여), 귀법사(성상융회사상)
(4) 승록사 설치 - 승계 임명, 승정 담당
(5) 법안종 도입
(6) 천태학 강조 (의통, 제관) - 교종이면서 대중성
(7) 교종은 교종대로, 선종은 선종대로 각각 통합한 뒤 다시 선교의 대립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5. 성종의 억불책 : 최승로 등 유학자 등용, 팔관회·연등회 일시 폐지
6. 현종 : 연등회·팔관회 부활, 현화사 건립, 초조대장경(거란의 침입), 법상종, 화엄종
7. 문종 : 별사전 지급, 흥왕사 건립
Ⅱ. 불교 통합 운동, 천태종
1. 초기
(1) 교종, 선종의 병립 : 화엄종(의상)·법상종 성행, 선종 관심
(2) 종파 수습 노력
1) 교종의 통합 : 화엄종의 본찰 - 귀법사 (균여 - 분열된 종파 수숩에 노력)
2) 선종의 통합 : 법안종 중심
(3) 천태학 부흥
1) 의통 : 중국 천태종의 13대 교조
2) 제관
a.「천태사교의」
b. 불교 이론들의 차이를 조화시키기 위한 화쟁사상 제시
(4) 구산 선문의 성행으로 탑비 미술이 발달
(5) 관촉사 석불조성 - 왕실의 권위 과시 soy한국사
2. 중기 (문벌귀족)
(1) 화엄종, 법상종이 융성 - 교종
1) 법상종 (유상사상): 인주 이씨 - 불교의식에 치중
2) 화엄종 (화엄사상): 의천의 흥왕사 중심으로 발전 (호화로운 불교의식 폐단 개선에 노력) - 법상종 견제, 흡수
(2) 의천(대각국사)의 교단 통합운동
1) 원효의 화쟁 사상 - 원효에 화정국사 칭호
2) 교종 통합 : 화엄종 중심
3) 천태종 창시 : 교종 중심으로 선종 통합 (국청사) - 정치적 통합성격(법상종 의식), 숙종의 후원
4) 사상적 바탕 : 교관겸수, 법화경
* 교관겸수
A. 교학의 수련을 중심으로 선을 포용
B. 성상겸학 : 성(본질)과 상(표상)의 차이를 인정
C. 내외겸학 : 안(선종)과 밖(교종)이 어우러져야 온전
D. 지관 : 집념을 중지, 지혜로 사물을 관조
5) 송·요·제 등 불경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속장경을 간행 (cf. 속장경은 외세침입과 무관)
6) “내적으로만 깨치려는 경향이 강하다.”
7) 천태사교의 주, 석림사림, 원종문류
8) 한계: 불교의 폐단, 정치적 경향 → 이론적 차원에 머물음
cf. 신편제종교장총록 - 속장경을 간행할 때 만든 불서 목록 - 의천
☞ 대각국사 문집
“말과 형상을 떠나면 미혹에 빠지고 말과 형상에 집착하면 진실을 미혹케 된다. ~ 교리를 배우는 이는 내적인 것을
버리고 외적인 것을 구하는 일이 많고 참선하는 사람은 밖의 인연을 잊고 내적으로 밝히기를 좋아한다.
둘다 편벽된 집착이고 양극단에 치우친 것이다.”
☞ “교(敎)를 닦으면서 관(觀)을 폐하거나 관에 치우쳐 교를 버리는 것은 모두 편집에서 나온 것이므로 교종의 승려도
내관(內觀)을 닦아야 하며 선종의 승려 역시 교리(敎理)를 익히지 않으면 안 된다.“
"관을 배우지 않고 경만 배우면 비록 오주의 인과를 들었더라도 삼중의 성덕에는 통하지 못하며 경을 배우지 않고 관만 배우면 비록 삼중의 성덕을
깨쳤으나 오주의 인과를 분별하지 못한다. 그런즉 관도 배우지 않을 수 없고 경도 배우지 않을 수 없다."
[대각국사 의천 초상화] [영통사 대각국사비]
천태종 |
고려 중기 - 문벌귀족시기 |
의천 |
교종(화엄종) 중심으로 선종 통합 |
교관겸수, 지관 |
문벌 귀속 |
국청사 |
조계종 |
고려 중기 - 무신집권기 |
지눌 |
선종 중심으로 교종 통합 |
정혜쌍수, 돈오점수, 실천 |
무신정권 |
송광사 |
Ⅲ. 결사 운동, 조계종
[고려] 17-1. 고려시대 불교의 결사 운동, 조계종 (지눌, 혜심, 충지, 요세, 백련결사, 수선사, 정혜쌍수, 돈오점수, 보우, 지공, 혜근, 백련사, 지눌 초상화) - 보기 클릭
Ⅳ. 대장경의 간행
1. 간행 배경
(1) 의미 - 대장경은 경전을 총칭하는 말
1) 경 : 부처가 설법한 것 - 근본 교리
2) 율 : 윤리조항, 생활규범
3) 논 : 이론과 해석을 집대성
(2) 배경 - 불교 사상 체계화, 외적 격퇴 염원 soy한국사
2. 초조대장경
(1) 조판 목적 : 현종 때 거란 침입 (2차), 대장경 간행 → 문종 때 완성
(2) 조판과 보관 : 대구 팔공산 부인사 ➝ 불탐 (소실)
[초조대장경]
3. 교장 (속장경)
(1) 목적 : 의천 중심 흥왕사에서 초조대장경 보완
(2) 불서 목록 작성 : 신편제종교장총록 을 만듦
(3) 교장도감 설치 - 흥왕사
(4) 속장경도 소실
4. 재조대장경 (팔만대장경)
(1) 불경전집, 송과 거란 등 여러 장경을 대조하여 만듦
(2) 목판인쇄술 발달
(3) 관련 인물 : 수기
(4) 최우 집권시, 강화도에 대장도감 설치 (여러 장소에서 만들어짊)
(5) 몽골 침입 때 - 초조대장경 소실로 고종때 다시 만든 것
(6) 현재 - 합천 해인사 (조선 세조 15c, 장경판전)
[해인사 재조대장경 팔만대장경]
cf. 유네스코 : ‘고려 대장경판, 제경판’, ‘조선 왕실 의궤’, ‘화성 성역 의궤’
초조대장경 |
현종~선종 |
거란 격퇴, 교리 정리 |
대구 부인사 보곤 중 소실 (일부가 일본 남선사에 있음) |
교장(속장경) |
선종~숙종 |
교리정리, 장소(주석서)모음 |
흥왕사 보관 중 소실 (일부가 일본 동대사에 있음) |
재조대장경 |
고종(최우) |
몽골 격퇴, 교리 정리 |
강화도에서 판각, 해인사에 보존 |
Ⅰ. 도교의 성행
1. 특징 : 불로장생, 현세 구복
2. 기능 : 나라의 안녕과 왕실의 번영
3. 내용
(1) 구요당 건립
(2) 초제 거행 : 하늘에 제사 지내는 초제가 성행
(3) 도관의 건립 : 예종 때 도교 사원인 복원궁 처음 건립
(4) 수경신 - 잠을 자지 않고 새우는 풍습
4. 한계
(1) 일관된 체계 부재
(2) 교단의 미성립
Ⅱ. 풍수지리설
1. 특징 : 미래의 길흉화복을 예언하는 도참사상이 더해짐
2. 영향
(1) 초기
1) 풍수지리 중시 : 비보사찰이 건립
2) 개경·서경 명당설 : 북진정책 (묘청)
(2) 중기 이후
1) 한양 명당설
2) 한양 건설 추진 : 문종이 남경으로 승격
3) 장원정 건립 - 예성강 변
4) 남경 건설 - 「답산가」,「삼각산명당기」,「신지비사」
(3) 문헌 : 도선비기, 해동비록
T) 선종은 도교행사를 금지하였다? (X)
cf) 민간신앙 - 숭천사상 / 산천 사상 / 성황신앙 / 동신사(개경), 동명성제사(서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