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왕 중심의 통치 체제 정비
1. 태조 (1392~1398)
(1) 3대 정책 - 숭유 억불, 중농억상, 사대교린
(2) 국호 제정 : 조선
(3) 한양 천도 (1391)
1) 한강의 수로 교통, 풍수상 명국, 국로의 중심
2) 한강 정비 - 경복궁, 종묘, 관아 등 설치
(4) 정도전
1) 왕도 정치를 바탕으로 재상 중심 정치 주장 ➝ 실현방안 : 경연제도 실시
“임금으로 하여금 올바른 경지에 들게 하여야 한다.”
2) 통치 규범 마련 : 조선경국전(조선 최초 법전, 경국대전의 모체), 경제문감 등 민본적 통치 규범 마련
3) 통치 이념 확립 : 불씨잡변으로 불교 비판,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확립(‘심기리편’ - 성리학 우월성), 척불론
4) 대명 정책 : ‘진도’(진법서)를 편찬 (요동 정벌 추진)
5) 조선 건국 초기에 문물제도를 갖추는 데 크게 공헌
6) 대간, 간관
7) 기타 저서 - 금남야인, 금남잡영, 금남잡제, 소재동기, 심문천답, 학자지남도,
삼봉집, 납씨가, 문덕공, 고려국사
cf) 권근 (1352~1409) 저서 - 입학도설, 오경천견록, 사서오경구절
(5) 병권 일원화
1) 사병 혁파 - 중방 폐지
2) 삼군도총제부를 의흥삼군부로 개편
(6) 도평의사사에서 정책 결정 - 재상 중심
(7) 사대 외교
(8) 제1차 왕자의 난 (1398) - 태조가 방석을 세자로 책봉하자 방원이 방번과 방석을 죽이고 정도전을 제거
* 정도전
☞ 호 삼봉(三峰), 자 종지(宗之), 본관 (봉화) 1362 - 진사, 태상박사 (21세) 1363 - 충주목의 사록에 임명 1371 - 신돈이 주살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개경으로 돌아옴 (30세) 1374 - 공민왕이 시해되자, 친원파 권신 이인임의 미움을 삼 1375 - 명을 협공하기 위해 입국한 북원 사신의 목을 베겠다고 저항해 나주로 귀양 (우왕시절) 1377 - 유배 풀림 1383 - 함경도 함주막에서 이성계를 만나 혁명을 결의 후 김포로 돌아옴 1384 - 성균관 대사성 1388 - 토지개혁 건의 1389 - 창왕 폐위 1392 - 개국공신 1397 - 불씨 잡변 1398 - 제1차 왕자의 난에 태종 이방원에게 암살
|
T) 조선 태조 때에는 고구려의 천문도를 바탕으로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돌에 새겼다.
2. 정종 (1398~1400)
(1) 개경 천도, 도평의사사를 의정부로 개편
(2) 2차 왕자의 난 (방간의 난, 1400) - 방간이 박포와 방원에게 도전 ➝ 실패
(3) 관제 개혁
1) 도평의사사 폐지, 의정부 설치
2) 삼군부 설치 - 중추원을 삼군부로 개칭
3) 승정원 설치
3. 태종 (1400~1418)
(1) 왕권의 강화, 국왕 중심의 통치 체제 정비
1) 공신 세력 제거
2) 6조 직계제 실시 - 재정·군기·인사권을 6조에 귀속 (cf 이전에는 사평부, 승추부, 상서사에서 장악) → 의정부 약화
3) 대신, 외척 견제 - 사간원 독립 (∵ 최초로 독립된 간쟁기구)
4) 사병혁파
(2) 국가 재정 기반 안정
1) 양전 사업 - 토지 대장인 양안 작성 (20년마다)
2) 호적 작성 - 3년마다
3) 호패법 실시 - 16세 이상 남자에게 호패 소지 (농민 일탈을 막기 위한 것)
4) 사원 정리 - 사원전 몰수 (242개는 제외)
5) 노비 변정 사업 - 억울한 노비 해방 → 양인 수 증가 (노비변정도감 설치)
(3) 군사력 강화
(4) 악법 제정 - 서얼 차대법,, 삼가 금지법 - 과부, 서자의 출세 재가를 막음
(5) 신문고 설치 - 병조 주관, 실효성은 없음
cf. 신문고 - 연산군 폐지 → 영조 부활
(6) 삼사를 ‘사평부’로 개칭 / 의흥삼군부를 ‘승추부’로 개편
(7) 8도제 확립
(8) 유교 이념 법제화
1) 서얼금고법 제정 - 서얼에게는 현직을 금한다.
2) ‘자녀안’ 작성
a. 양반가문의 품행이 나쁜 여자의 이름을 적어두는 명부
b. 경제육전에는 자녀안에 양반의 정처로 3번 결혼한 여자를 올리게 함
cf) 세종 - 사헌부 담당 → 성종 - 품행 나쁜 여자로 확대
(9) 기타 정비
1) 주자소 - 계미자 주조
2) 5부 학당 - 동서남북중
3) 사섬서 - 저화 (종이지폐)
(10)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4. 세종 (1418~1450)
[조선] 3-1. 세종 대왕의 업적 (집현전, 의창제, 의정부 사서제, 훈민정음, 쓰시마 정벌, 6진 개척) - 보기 클릭
5. 문종, 단종
(1) 왕권 약화
(2) 재상 중심의 정치 - 김종서, 황보인 ➝ 수양대군이 김종서 등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름
(3) 이징옥의 난 (단종 1453) - 함길도 조절제사 이징옥이 대금황제라 칭하고 반란
6. 세조 (1455~1468, 수양대군) - 왕권 강화
(1) 계유정난 (1453) - 사육신과, 김종서, 김시습 등 생육신을 제거 (→ 훈구파 형성 시작)
(2) 6조 직계제 부활
(3) 경국대전 편찬 시작 - 호전·형전 간행
(4) 집현전 폐지 - 사육신 제거 계기 (성삼문, 박팽년, 이개, 하유지, 유성원, 유응부 등)
(5) 유향소 폐지 - 이시애가 지역 차별에 반발 난을 일으켰고, 유향소가 이를 후원하였다며 폐지
(6) 토지제
1) 직전법 실시 - 현직만 과전의 수조권 지급
2) 둔전 설치
3) 공해전을 국용전으로 편입
(7) 인지의·규형 발명 - 토지 측량기구
(8) 팔방통보 주조
(9) 호패제도, 호적 제도 강화 - 황간 제도 시행 / 면리제 / 오가작통법
(10) 국방 강화 - 5위제, 진관 체제(일원적 군사체계 강화), 보법의 제정
(11) 원상제 실시 - 한명회, 신숙주 등이 승정원에 주재하고 국가 중대사를 담당
(12) 불교 진흥
1) 간경도감 설치 (1461) - 월인석보 편찬
2) 원각사 건립 (1464)
(13) 원상제 실시 - 한명회, 신숙주 등이 임명
(14) 편찬 - 국조보감, 팔도지리지, 동국통감, 사시찬요, 정관정요주
(15) 내수사 설치 - 이조의 아문, 토지 겸병 soy한국사
☞ “상왕(단종)이 어려서 무릇 조치하는 바는 모두 대신에게 맡겨 논의 시행하였다. 지금 내가 명을 받아
왕통을 계승하여 군국 서무를 아울러 모두 처리하며, 조종의 옛 제도를 모두 복구한다.”
7. 성종 (1469~1494, 예종 사망후)
(1) 경국대전 반포
(2) 홍문관 설치 (옥당) - 집현전을 계승 (관원 모두에게 경연관을 겸하게 함), 예문관에서 홍문관을 분리
(3) 유교 정치 이념 강화
1) 사림파 등용 - 김종직, 김굉필, 김일손 등 (훈구파 견제) → 삼사, 문학직에 포진
2) 유향소 부활 - 향촌질서 확립
3) 도첩제 폐지 - 승려의 출가 금지 → 산간 불교화
4) 간경도감 폐지
5) 삼사의 기능 강화
가. 홍문관의 기능 강화
a. 언관화 (言官化), 언론기관
b. 경연 중 의견 표시
c. 홍문록 장석
d. 대간 탄핵권 인정
e. 이조·병조의 낭관으로도 임명
나. 대간 기능 강화
a. '차차‘시행 - 간단한 서식의 상소문
b. '원의제‘시행 - 언론의 합의된 의견
c. 불문언근(不問言根)
d. 홍문관 기능 강화
6) 독서당(호당) 부활
(4) 관수 관급제 - 국가가 농민에게 직접 조세를 거둔 후 다음 관리들에게 녹봉을 현물로 지급
(5) 동국통감, 동문선, 동국여지승람, 악학궤범
(6) 편찬
1) 경국대전
a. 6전 - 이·호·예·병·형·공
b. 통일적 체계, 추상적 조문
c. 우리 고유의 양법을 성문화
2) 국조오례의 - 5례 기록
3) 삼국사절요 - 단군 ~ 삼국, 편년체, 서문(서거정)
4) 동문선 - 시문을 모아 편찬, 자주성 (서거정)
5) 동국여지승람
6) 동국통감 (서거정, 이극돈) - 고조선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편찬한 역사서
7) 악학궤범 (성현, 유자광) - 음악의 원리와 역사, 악기, 무용 등을 망라하여 정리한 음악서
cf) 훈구를 견제하기 위해 사림 주용 (훈구`사림 세력이 균형을 이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