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3. 국왕 중심의 통치 체제 정비 - 조선 국왕의 업적 (태조, 정도전, 정종, 태종, 문종, 단종, 세종, 세조, 수양 대군 , 성종, 6조 직계제, 호패법, 신문고 제도, 이징옥의 난, 계유정난, 경국..

by 소이나는 2012. 5. 14.
반응형

 

 

 

 

국왕 중심의 통치 체제 정비

 

 1. 태조 (1392~1398)

  (1) 3대 정책 - 숭유 억불, 중농억상, 사대교린

  (2) 국호 제정 : 조선

  (3) 한양 천도 (1391)

     1) 한강의 수로 교통, 풍수상 명국, 국로의 중심

     2) 한강 정비 - 경복궁, 종묘, 관아 등 설치

  (4) 정도전

     1) 왕도 정치를 바탕으로 재상 중심 정치 주장 ➝ 실현방안 : 경연제도 실시

        “임금으로 하여금 올바른 경지에 들게 하여야 한다.”

     2) 통치 규범 마련 : 조선경국전(조선 최초 법전, 경국대전의 모체), 경제문감 등 민본적 통치 규범 마련

     3) 통치 이념 확립 : 불씨잡변으로 불교 비판,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확립(‘심기리편’ - 성리학 우월성), 척불론

     4) 대명 정책 : ‘진도’(진법서)를 편찬 (요동 정벌 추진)

     5) 조선 건국 초기에 문물제도를 갖추는 데 크게 공헌

     6) 대간, 간관

     7) 기타 저서 - 금남야인, 금남잡영, 금남잡제, 소재동기, 심문천답, 학자지남도,

                    삼봉집, 납씨가, 문덕공, 고려국사    

     cf) 권근 (1352~1409) 저서 - 입학도설, 오경천견록, 사서오경구절

  (5) 병권 일원화

   1) 사병 혁파 - 중방 폐지

   2) 삼군도총제부를 의흥삼군부로 개편

  (6) 도평의사사에서 정책 결정 - 재상 중심

  (7) 사대 외교

  (8) 제1차 왕자의 난 (1398)  - 태조가 방석을 세자로 책봉하자 방원이 방번과 방석을 죽이고 정도전을 제거


* 정도전

 

☞ 호 삼봉(三峰), 자 종지(宗之), 본관 (봉화)

 1362 - 진사, 태상박사 (21세)

 1363 - 충주목의 사록에 임명

 1371 - 신돈이 주살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개경으로 돌아옴  (30세)

 1374 - 공민왕이 시해되자, 친원파 권신 이인임의 미움을 삼

 1375 - 명을 협공하기 위해 입국한 북원 사신의 목을 베겠다고 저항해 나주로 귀양 (우왕시절)

 1377 - 유배 풀림

 1383 - 함경도 함주막에서 이성계를 만나 혁명을 결의 후 김포로 돌아옴

 1384 - 성균관 대사성

 1388 - 토지개혁 건의

 1389 - 창왕 폐위

 1392 - 개국공신

 1397 - 불씨 잡변

 1398 - 제1차 왕자의 난에 태종 이방원에게 암살

 

  T) 조선 태조 때에는 고구려의 천문도를 바탕으로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돌에 새겼다.



 2. 정종 (1398~1400)

  (1) 개경 천도, 도평의사사를 의정부로 개편

  (2) 2차 왕자의 난 (방간의 난, 1400) - 방간이 박포와 방원에게 도전 ➝ 실패

  (3) 관제 개혁

   1) 도평의사사 폐지, 의정부 설치

   2) 삼군부 설치 - 중추원을 삼군부로 개칭

   3) 승정원 설치

  

 3. 태종 (1400~1418)


  (1) 왕권의 강화, 국왕 중심의 통치 체제 정비

   1) 공신 세력 제거

   2) 6조 직계제 실시 - 재정·군기·인사권을 6조에 귀속  (cf 이전에는 사평부, 승추부, 상서사에서 장악) → 의정부 약화

   3) 대신, 외척 견제 - 사간원 독립 (∵ 최초로 독립된 간쟁기구)

   4) 사병혁파

  (2) 국가 재정 기반 안정

   1) 양전 사업 - 토지 대장인 양안 작성 (20년마다)

   2) 호적 작성 - 3년마다

   3) 호패법 실시 - 16세 이상 남자에게 호패 소지 (농민 일탈을 막기 위한 것)

   4) 사원 정리 - 사원전 몰수 (242개는 제외)

   5) 노비 변정 사업 - 억울한 노비 해방 → 양인 수 증가 (노비변정도감 설치)

  (3) 군사력 강화

  (4) 악법 제정 - 서얼 차대법,, 삼가 금지법 - 과부, 서자의 출세 재가를 막음

  (5) 신문고 설치 - 병조 주관, 실효성은 없음

     cf. 신문고 - 연산군 폐지 → 영조 부활

  (6) 삼사를 ‘사평부’로 개칭  / 의흥삼군부를 ‘승추부’로 개편

  (7) 8도제 확립

  (8) 유교 이념 법제화

    1) 서얼금고법 제정 - 서얼에게는 현직을 금한다.

    2) ‘자녀안’ 작성

      a. 양반가문의 품행이 나쁜 여자의 이름을 적어두는 명부

      b. 경제육전에는 자녀안에 양반의 정처로 3번 결혼한 여자를 올리게 함

      cf) 세종 - 사헌부 담당 → 성종 - 품행 나쁜 여자로 확대

  (9) 기타 정비

   1) 주자소 - 계미자 주조

   2) 5부 학당 - 동서남북중

   3) 사섬서 - 저화 (종이지폐)

  (10)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4. 세종 (1418~1450)

      [조선] 3-1. 세종 대왕의 업적 (집현전, 의창제, 의정부 사서제, 훈민정음, 쓰시마 정벌, 6진 개척)  - 보기 클릭

 5. 문종, 단종

  (1) 왕권 약화

  (2) 재상 중심의 정치 - 김종서, 황보인 ➝ 수양대군이 김종서 등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름

  (3) 이징옥의 난 (단종 1453) - 함길도 조절제사 이징옥이 대금황제라 칭하고 반란

 





6. 세조 (1455~1468, 수양대군) - 왕권 강화

  (1) 계유정난 (1453) - 사육신과, 김종서, 김시습 등 생육신을 제거 (→ 훈구파 형성 시작)

  (2) 6조 직계제 부활

  (3) 경국대전 편찬 시작 - 호전·형전 간행

  (4) 집현전 폐지 - 사육신 제거 계기 (성삼문, 박팽년, 이개, 하유지, 유성원, 유응부 등)

  (5) 유향소 폐지 - 이시애가 지역 차별에 반발 난을 일으켰고, 유향소가 이를 후원하였다며 폐지

  (6) 토지제

     1) 직전법 실시 - 현직만 과전의 수조권 지급

     2) 둔전 설치

     3) 공해전을 국용전으로 편입

  (7) 인지의·규형 발명 - 토지 측량기구

  (8) 팔방통보 주조

  (9) 호패제도, 호적 제도 강화 - 황간 제도 시행 / 면리제 / 오가작통법

  (10) 국방 강화 - 5위제, 진관 체제(일원적 군사체계 강화), 보법의 제정

  (11) 원상제 실시 - 한명회, 신숙주 등이 승정원에 주재하고 국가 중대사를 담당

  (12) 불교 진흥

      1) 간경도감 설치 (1461) - 월인석보 편찬

      2) 원각사 건립 (1464)

  (13) 원상제 실시 - 한명회, 신숙주 등이 임명

  (14) 편찬 - 국조보감, 팔도지리지, 동국통감, 사시찬요, 정관정요주

  (15) 내수사 설치 - 이조의 아문, 토지 겸병                                             soy한국사 

  ☞ “상왕(단종)이 어려서 무릇 조치하는 바는 모두 대신에게 맡겨 논의 시행하였다. 지금 내가 명을 받아

       왕통을 계승하여 군국 서무를 아울러 모두 처리하며, 조종의 옛 제도를 모두 복구한다.”


7. 성종 (1469~1494, 예종 사망후)

  (1) 경국대전 반포

  (2) 홍문관 설치 (옥당) - 집현전을 계승 (관원 모두에게 경연관을 겸하게 함), 예문관에서 홍문관을 분리

  (3) 유교 정치 이념 강화

   1) 사림파 등용 - 김종직, 김굉필, 김일손 등 (훈구파 견제) → 삼사, 문학직에 포진

   2) 유향소 부활 - 향촌질서 확립

   3) 도첩제 폐지 - 승려의 출가 금지 → 산간 불교화

   4) 간경도감 폐지

   5) 삼사의 기능 강화

     가. 홍문관의 기능 강화

       a. 언관화 (言官化), 언론기관       

       b. 경연 중 의견 표시

       c. 홍문록 장석

       d. 대간 탄핵권 인정

       e. 이조·병조의 낭관으로도 임명

     나. 대간 기능 강화

       a. '차차‘시행 - 간단한 서식의 상소문

       b. '원의제‘시행 - 언론의 합의된 의견

       c. 불문언근(不問言根)

       d. 홍문관 기능 강화

    6) 독서당(호당) 부활

  (4) 관수 관급제 - 국가가 농민에게 직접 조세를 거둔 후 다음 관리들에게 녹봉을 현물로 지급

  (5) 동국통감, 동문선, 동국여지승람, 악학궤범

  (6) 편찬

   1) 경국대전

       a. 6전 - 이·호·예·병·형·공

       b. 통일적 체계, 추상적 조문

       c. 우리 고유의 양법을 성문화

   2) 국조오례의 - 5례 기록

   3) 삼국사절요 - 단군 ~ 삼국, 편년체, 서문(서거정)

   4) 동문선 - 시문을 모아 편찬, 자주성 (서거정)

   5) 동국여지승람

   6) 동국통감 (서거정, 이극돈) - 고조선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편찬한 역사서

   7) 악학궤범 (성현, 유자광) - 음악의 원리와 역사, 악기, 무용 등을 망라하여 정리한 음악서

 

   cf) 훈구를 견제하기 위해 사림 주용 (훈구`사림 세력이 균형을 이룸)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7. 조선 군사조직, 군역제도 (양인 개병제, 보법, 봉족, 5위, 갑사, 내삼청, 영진군, 제승방략, 속오군, 잡색군, 내금위)  (13) 2012.05.15
[조선] 6. 양반 중심의 향촌 사회 (유향소, 경재소, 향청, 경저리)  (0) 2012.05.15
[조선] 5-1. 참고) 고려와 조선의 정치 조직 비교 표  (0) 2012.05.14
[조선] 5. 조선 지방 행정조직 (관찰사, 임기제, 상피제, 향리, 수령, 유수관, 조선 촌락, 조선 8도)  (5) 2012.05.14
[조선] 4. 조선 중앙 정치 조직 (조선 관직, 당상관, 당하관, 참상관, 참하관, 윤대, 구언, 경연, 대간, 양사, 경관직, 숭문원, 교서관, 권당, 한품서용제, 외관직, 행수법, 의정부, 6조, 한성부, 삼..  (4) 2012.05.14
[조선] 3-1. 세종 대왕의 업적 (집현전, 의창제, 의정부 사서제, 훈민정음, 쓰시마 정벌, 6진 개척)  (0) 2012.05.13
[조선] 2. 근세 사회의 성립, 전개 (고려의 멸망, 조선 건국, 신진사대부, 위화도 회군, 급진개혁파, 온건개혁파, 단심가, 하여가, 원천석, 과전법)  (0) 2012.05.13
[조선] 1. 근세사회 (조선 전기 연표)  (0) 2012.05.13
[고려] 22. 고려시대 서예, 고려시대 그림, 고려시대 음악 (고려시대 예술, 천산대렵도, 관음보살도, 부석사 조사당 벽화, 탄연 글씨)  (0) 2012.05.13
[고려] 21. 고려 청자, 고려 공예, 고려 종(범종) - (수원 용주사 종, 삼강청자, 은입사, 청자 전사 연화문 표주박 모양 주자, 청자 상감 운학문 매병, 나전 국당초문 염주 함, 청동제 은입사 포류..  (2) 2012.05.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