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일이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1969년 11월)존경하시는 대통령 각하 옥체 안녕하시옵니까? 저는 제품(의류) 계통에 종사하는 재단사입니다. 각하께선 저들의 생명의 원천이십니다. 혁명 후 오늘날까지 저들은 각하께서 이루신 모든 실제를 높이 존경합니다. ~저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쌍문동 208번지 2통 5반에 거주하는 22살 된 청년입니다. 직업은 의류계통의 재단사로서 5년의 경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의 직장은 시내 동대문구 평화시장으로써 의류전문 계통으로썬 동양 최대를 자랑하는 것으로 종업원은 2만 여명이 됩니다. ~ 근로기준법에 해당이 되는 기업체임을 잘 압니다. 그러나 저희들은 근로기준법의 혜택을 조금도 못 받으며 더구나 2만 여명을 넘는 종업원의 90%이상이 평균 연령 18세의 여성입니다. 기준법이 없다고 하더라도 인간으로써 어떻게 여자에게 하루 15시간의 작업을 강요합니까? 미싱사의 노동이라면 모든 노동 중에서 제일 힘든(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노동으로 여성들은 견뎌내지 못합니다. ~ 근로기준법이란 우리나라의 법인 것을 잘 압니다. ~ 이런 휴식으로썬 아무리 강철같은 육체라도 곧 쇠퇴해 버립니다. 일반 공무원의 평균 근무시간 일주 45시간에 비해 15세의 어린 시다공들은 일주 98시간의 고된 작업에 시달립니다. 저희들의 요구는 1일 14시간의 작업시간을 단축하십시오. 1일 10시간 - 12시간으로, 1개월 휴일 2일을 일요일마다 휴일로 쉬기를 희망합니다. 건강진단을 정확하게 하여 주십시오. 시다공의 수당 현 70원 내지 100원을 50%이상 인상하십시오. 절대로 무리한 요구가 아님을 맹세합니다.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요구입니다. 기업주 측에서도 충분히 지킬 수 있는 사항입니다.<2> 현대 사회의 변화Ⅰ. 인구의 변화 1. 광복 직전 - 2,600만 정도 2. 해방 후 - 해외 귀환 인구가 주로 남한에 집중되어 인구 압력을 가중시켰다.3. 휴전 직후 (1) 베이비 붐 : 출산율이 6.3명 (2) 서울에서 지방으로 인구가 이주하여 지방 양반체제가 약화 (피난)4. 1960년대 - 출산율 감소, 비율 변화, 핵가족화, 남녀 성차별cf) 62년 해외이주법 제정 - 이주 활성화 위해 (외화 취득)5. 연령별 인구구성의 변화 - 60년대 피라미드형 → 90년대 종 모양 → 2000년대 고령화6. 해외 이주 : 하와이 이주(1902) ➝ 만주, 일본(일제시대) ➝ 해외이주법 (1962)➝ 독일 간호사•광부, 남미 농업 이민 ➝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이민 (90년대 이후, 교육, 환경)Ⅱ. 산업화와 도시화Ⅲ. 농촌 사회의 변화1. 60년대 - 4H운동 : 머리, 가슴, 손, 건강 - 사회 문제를 해결 2. 70년대 (새마을 운동) (1) 근면, 자조, 협동정신(2) 농촌사회 생활환경 개선에 중점 - 모범농촌과 모범농민 육성, 지붕개량, 경지 정리 ➝ 쌀의 자급자족이 가능(3) 초기에는 농민의 자발성보다 관 주도의 성향이 두드러졌다.(4) 환경개선사업에서 출발하여 점차 정신계발•영농기반조성사업 등이 추가(5) 도시 새마을운동의 촉진을 위한 10대 구심사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소이 한국사, soy블로그, 임엉이라더루봉미, 교육, 사회, 역사, 현대,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업- 소비절약의 실천, 준법질서의 정착, 시민의식의 계발, 새마을청소의 일상화, 시장새마을운동의 전개,도시녹화, 뒷골목 정비, 도시환경 정비, 생황오물 분리수거, 도시후진지역의 개발☞ 새벽종이 울렸네. 새 아침이 밝았네. 너도나도 일어나 새마을을 가꾸세. 살기 좋은 내 마을 우리 힘으로 만드세.초가집도 없애고 마을 길도 넓히고 푸른 동산 만들어 알뜰살뜰 가꾸세. 살기 좋은 내 마을 우리 힘으로 만드세.Ⅳ. 노동 계층의 확대와 노동 운동1. 노동 계층의 확대2. 노동 환경- 고통 3. 노동 운동(1) 전태일 분신 사건 (70) - 청계천 평화시장 재단사 전태일(2) YH사건 (79) - 가발 생산 업체 생존권보장 (김경숙 사망) “수출 실적이 높으면 나라도 더욱 발전할 수 있고 선진국 대열에서게 된다는 초등학교 시절의 배운 것을 더듬으며 우리는 더욱 더 잘사는 나라를 기대하며 열심히 일해 왔습니다만 뜻하지 않은 폐업 공고에 놀라지 않을 수 없습니다. ~ 오갈 데 없는 저희들을 무엇을 먹고 어디서 살란 말입니까? 동생들의학비와 부모님들의 비싼 약값은 어떻게 해야 된단 말입니까?”(3) 87년 - 전국적 노동운동(4) 91년 - 국제 노동기구 (ILO) 기본 조약 비준(5) 95년 - 전국 민주 노동조합 총연맹 결성(6) 98년 - 노사정 위원회 발족Ⅴ. 여성 운동1987 – 남녀 고용 평등법2001 – 여성부2004 – 성매매금지법2008 – 호주제 폐지Ⅵ. 사회 보장 정책 1. 소외 계층 문제의 발생 2. 1970년대 - 의료보험제도가 널리 보급되지 않아 의료비가 국민들의 커다란 부담3. 정부의 대책- 국민연금법, 의료 보험 제도 확대, 고용 보험 제도 국민 연금제도, 국민 건강 보험법,남녀 차별 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국민 기초 생활 보장법4. 국민연금제도 시작 (1988) ➝ 모든 국민 가입 (1999)Ⅶ. 시민 운동의 성장 1. 계기 - 6월 민주 항쟁 이후 NGO가 늘어남 2. 시민운동 단체 (NGO)cf) 80년대 중반 이후 ‘공해추방’이란 말이 널리 사용되기 시작.Ⅷ. 의식주 생활의 변화 1. 의생활(1) 50년대 - 플레어스커트, 타이트 스커트, 맘보바지, 생계를 책임지는 여성 대폭 증가.(2) 60년대 - 미니 스커트 / 군사정권 - 남성은 작업복 스타일의 ‘재건복’, 여성은 ‘신생활복’(3) 70년대 - 미니, 맥시, 판탈롱, 핫팬츠 (73년 - 장발, 미니스커트 단속)(4) 80년 이후 - 캐주얼 웨어2. 식생활 3. 주생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