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삼국시대] 13. 삼국의 경제 (고구려 경제, 백제 경제, 신라 경제, 하호, 진대법, 녹읍)

by 소이나는 2019. 1. 30.
반응형


<4> 고대의 경제생활


Ⅰ. 삼국의 경제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1. 농업 중심의 경제생활 - 왕토 사상 : 모든 국토는 왕토(토지국유제론) → 관료에게는 수조권만, 백성은 경작권만

  cf) 백성 토지가 없는 것은 아님 : 자영토지(민전), (토지사유제론) (→ 전 시대에 존재)

  (1) 토지 소유 - 호민 계층의 대토지 소유 : 하호가 공급

     * 하호 - 신분상 양인이나 호민에 예속된 존재

 (2) 토지 종류

  1) 녹읍 - 수조권 + 노동력 징발권

  2) 식읍(식봉) - 수조권 + 노동력 징발권 → 고려 O → 조선 X


2. 정복 전쟁과 수탈 – 포로를 노비로 줌, 공을 세운 사람에게 일정한 토지와 농민을 식읍으로 주었다.

  * 식읍 : 국가에서 왕족, 공신 등에게 준 토지와 가호 (조세를 수취하고 노동력을 징발할 권리 부여)

 

3. 수취 제도


(1) 종류

 1) 조세 - 재산의 정도에 따라 → 호를 3등급으로 나누어 조를 거두었으나 세의 부담이 더 컸다. → 곡물, 포

 2) 공부 - 지역 특산

 3) 역 - 노동력, 징발

    a. 신역 - 특정 인신을 정기적으로 역부과

    b. 요역 - 불특정 민호에게 수시로 역 부과 → 대가지불 X

   T) 경제적 분화에 따라 호등에 따른 차등적 수취가 있었다.

   T) 삼국은 조세를 토지세 중심으로 부과하였다? (X) ☞ 호, 사람 수 기준, 노동력 기준


(2) 토지 측량 단위

 1) 고구려 : 경무법 (頃畝法) = 밭이랑 기준

 2) 백 제 : 두락제 (斗落制) = 파종량(풍흉차 등) 기준

 3) 신 라 : 결부법 (結負法) = 수확량기준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3) 조세

 1) 고구려

   a. 조 : 매 호 마다 조 - 상호 1섬, 중호 7말, 하호 5말

   b. 세 : 개인은 인두세(人頭稅)로 베나 곡 - 5필, 5섬

     “세는 포목 5필에 곡식 5섬이다. 조는 상호가 1섬이고, 그 다음이 7말이며 하호는 5말을 낸다.” – 수서

 2) 백제 : ‘조’로 쌀 - ‘세’로 쌀, 명주, 베

    “세는 포목, 비단 실과 삼, 쌀을 내었는데, 풍흉에 따라 차등을 두어 받았다.” – 주서

 3) 신라 : 당의 조(租, 조세), 용(庸 노동력), 조(調 특산물)를 모방


(5) 공납 : 특산물


(6) 역 : 15세 이상의 남자 동원 (ex. 영천 청제비, 남산 신성비)

    “설씨녀는 율리 민가의 여자다. ~ 진평왕 때에 그 아버지가 나이가 많았는데도 정곡을 방어하는 당번이 되었다. ~불초의 몸으로써 그대 아버님의 병역을 대신해 주기 바라오. ~ 어버지가 “어린 딸을 주어 그대 아내로 삼고 싶다.”라고 하였다. ~ 그녀의 아비가 말하기를 “정해진 3년 기한이 넘었으니 다른 이에게 시집가거라.” 하였다.”  복무기간은 3년으로 추정되고, 대신 군대에 갈 사람이 있으면 면제될 수 있었다. 늙어도 군역이 있었다.


4. 농민 경제

 (1) 농민 생산력 증대 (시책과 궁휼 정책), 저수지

 (2) 진대법 : 곡식 주거나 빌려 줌 (고구려 고국천왕)

    “내외 관청에 명하여 홀아비, 과부, 고아, 그리고 늙고 병들었거나 가난하고 궁핍하여 스스로 살아가지 못하는 자들을 조사하여 진휼하도록 하였다. 또 관리에게 명하여 매년 봄 3월부터 가을 7월까지 관청의 곡식을 내어 백성의 식구가 많고 적음에 따라 나누어 줌에 차등을 두고, 겨울 10월에 관청에 갚게 하는 상설 규정을 만드니 내외가 기뻐하였다.” – 삼국사기


5. 농법

(1) 철제 농기구 발달, 가축 이용, 지력 회복, 황무지 개간 농업 생산력 증대, 경작지 확대

    cf) 지배층만 철제 농기구 소유 (보급을 사용하기도 함)

(2) 고구려 : 4세기 보습 사용

(3) 백제 : 4~5세기 - 철제 농기구 개량, 다루왕 : 논, 구수왕 : 제방

(4) 신라 : 5~6세기, 우경 보급 (지증 마립간)

(5) 일반적으로 자경지경작

(6) 무전민은 용작(노동력을 파는 것)을 하기도 하였다.

 

6. 수공업

(1) 노비 이용 – 무기, 장신구

(2) 장인 이용 – 무기, 비단

(3) 관청 수공업이 주류

 

7. 상업

(1) 시장 설치 - 소지마립간

(2) 지증왕(508) 때 시장 감독관청인 동시전(東市典)설치

 

8. 대외 무역

(1) 고구려 : 남북조, 북방 민족 (장수왕)

(2) 백제 : 남중국, 왜

(3) 신라 : 한강 진출 후 당항성이용중국과직접교류

(4) 수출 : 마직물, 금은세공품, 주옥, 삼, 모피

(5) 수입 : 비단, 장식, 서적, 약재

(6) 공무역 발달 - 왕실, 귀족

T) 삼국의 국제 무역은 낙랑군이 소멸된 4세기 이후에 발달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삼국의 대외 무역]

 

Ⅱ. 귀족의 경제

 

1. 귀족의 경제 기반

(1) 토지와 노비 소유, 유리한 생산조건

(2) 녹읍

 1) 관료 귀족에게 준 토지

 2) 조세, 노동력, 공물 모두 수취

    (일정지역의 수조권과 부역 징발권을 부여한 토지)

    ☞ 백성들에게 부역 징발 가능

 3) 통일신라기 관료에 대한 복무의 대가

(3) 식읍 : 왕족, 공신에게 준 토지와 가호

  cf) 녹읍과 식읍의 차이는 대상의 차이

 

2. 귀족의 농민 수탈 : 소작, 고리대

  “고위 관리인 구도∙일구∙분구 등 3인을 내쫓아 서인(서인)으로 삼았다. ~ 탐욕스럽고 ~ 즉시 매질하여 때리기 ~ 왕은 이를 듣고 그들을 죽이려고 하다가 동명왕의 옛 신하이므로 차마 죽이지 못하고 내쫓는데 그쳤다.”- 삼국사기

  “대가(大家)들은 경작을 하지 않고 하호들은 부세를 바치며 노비와 같다.” – 위략, 삼국지

 

3. 귀족의 생활 : 풍성 화려

 

[안악3호분의 고구려 귀족 저택의 주방 모습]

 

 

. 농민의 경제

1. 농민의 경제적 처지 : 척박한 토지, 소작

2. 영농 기술의 발달 : 철제농기구, 우경

3. 농민에 대한 수취

 (1) 조세 공물부담, 노동력제공

 (2) 전쟁에 동원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농업기술의 변천

 

1) 신석기 : 농경의 시작 (자연섭리)

2) 청동기 : 농경 본격화, 저습지, 벼농사

3) 철기(삼한) : 저수지 축조 (벽골제, 대제지)

4) 신라 : 우경

5) 고려시대 : 우경에 의한 깊이갈이(심경법)의 일반화, 제초작업, 지력향상, 남부 일부 지역 윤작법 보급, ‘농상집요’ (원나라), 휴경지 감소, 이앙법

6) 조선전기 : 시비법, 휴경하지 않고 매년 토지 경작(휴경지 소멸), ‘농사직설’, 남부 일부 이모작, ‘사시찬요’

7) 조선후기 : 광작, 상품작물, ‘농가집성’, ‘임원경제지’, ‘색경’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시대] 18. 삼국의 학문 [남북국시대] 13. 통일신라 학문, 발해 학문 (이두, 한자 보급, 태학, 경당, 국학, 독서삼품과, 주자감, 고구려 학문, 백제 학문, 신라 학문)  (0) 2019.02.05
[삼국시대] 17. 삼국 도교, 풍수지리설 [남북국시대] 12. 통일신라 도교, 발해 도교 (고구려 도교, 백제 도교, 신라 도교, 삼국 풍수지리설, 사신도, 도참신앙, 산수무늬벽돌, 금동대향로, 사택지..  (0) 2019.02.04
[남북국시대] 11. 통일신라 불교, 발해 불교 (원효 대사, 의상 대사, 김교각, 대승기신론소, 십문화쟁론, 화쟁사상, 정토종, 점찰법회, 화엄종, 일즉다다즉일, 화엄일승법계도, 혜초, 원측, 진표)  (0) 2019.02.03
[삼국시대] 15. 삼국의 문화 [남북국시대] 11. 통일신라의 문화, 발해의 문화  (0) 2019.02.01
[남북국시대] 10. 통일신라 경제, 발해 경제 (민정문서, 신라장적, 관료전, 정전, 연수유답, 계연, 장보고, 신라방, 솔빈부)  (0) 2019.01.31
[남북국시대] 9. 통일신라 사회, 발해 사회  (0) 2019.01.29
[삼국시대] 12. 삼국의 사회 - 신라 사회 (화백, 화랑도, 골품제도, 6두품, 세속오계, 득난)  (0) 2019.01.28
[삼국시대] 11. 삼국시대 사회 - 고구려 사회, 백제 사회 (진대법, 형사취수제, 서옥제, 양직공도)  (0) 2019.01.27
[삼국시대] 10. 삼국의 신분제도 (하호, 읍락사회)  (0) 2019.01.26
[삼국시대] 9. 삼국의 군사제도 [남북국시대] 8. 통일신라 군사제도, 발해 군사제도 (고구려 군사제도, 백제 군사제도, 신라군사제도, 대모달, 방령, 9서당 19정, 10위)  (0) 2019.01.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