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통일신라
1. 특징 : 조화미, 정제미
2. 건축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1) 불국사 : 청운교, 백운교, 석가탑, 다보탑(세련된 균형미)
2) 석굴암 : 인공석굴 (전실 - 땅을 상징, 후실 - 하늘을 상징)
3) 안압지 (동궁과 월지) : 조경설
[불국사]
[석굴암]
[안압지, 동궁과 월지]
cf) 14면체 주사위 : 삼잔일거, 음진대소, 금성작무, 곡비즉진, 중인타비 등 글귀, 정사각 6개 육각 6개
[14면체 주사위]
3. 범종
(1) 오대산 상원사종 : 가장 오래된 범종 (725)
(2) 성덕 대왕 신종 (복덕사종, 에밀레종) : 청동, 비천상
[오대산 상원사 종]
[에밀레종]
4. 조각
(1) 무열왕릉비 받침돌
(2) 성덕 대왕릉 둘레돌의 조각 : 사실적인 미
(3) 불국사의 석등·법주사의쌍사자석등 : 균형
[법주사 쌍사자 석등]
5. 석탑
(1) 신라 중대
1) 감은사지 3층 석탑 : 장중 – 삼국 통일의 기상을 표현
2) 석가탑 (불국사 3층 석탑) : 가장 오래된 부도 (승탑)
3) 다보탑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감은사지 3층 석탑]
[석가탑]
[다보탑]
(2) 신라 말기
1) 양양 진전사지 3층 석탑 : 기단과 탑신에 부조로 불상을 새김
2) 승탑·탑비
a. 선종으로 유행
b. 팔각원당형을 기본형, 승려의 일대기를 비에 새김
c. 쌍봉사 철감 선사 승탑, 염거화상 부도탑, 고선사지 3층 석탑, 의성탑리5층석탑, 화엄사 4사자 3층 석탑, 실상사 3층 석탑, 경주창림사터삼층석탑 (원탑유행)
[양양진전사지3층석탑]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고선사지3층석탑]
[쌍봉사철감선사승탑]
[화엄사지4사자3층석탑]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창림사터3층석탑]
[실상사3층석탑]
[염거화상부도탑]
[의성탑리5층석탑]
6. 불상
(1) 석굴암의 본존불, 보살상
(2) 균형, 불교의 이상 세계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고자 함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7. 고분
(1) 화장법 유행 : 호국적성격➝ 대표 : 문무대왕릉(대왕암)
(2) 굴식 돌방무덤의 등장 : 주위 둘레돌 (護石), 12지신 상 (통일신라 독특)
(3) 성덕대왕릉, 김유신 묘, 괘릉
[대왕암]
8. 서예
(1) 김생 : ‘집자비문’ (集字 碑文) (통일신라 사람으로 고려시대 작품), 해동 필가의 조종(祖宗)으로 원화첩은 전해오지 않는다.
(2) 김인문 : 무열왕릉비의 비문, 화엄사의 화엄경 석경, 왕희지체
(3) 요극일 : 구양순체
[김생의 글씨]
9. 그림 : 김충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