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10. 고려 지방 행정조직 (향리, 감무, 안찰사, 5도 양계, 4도호부 8목, 왕경, 향소부곡, 한품제)
3. 지방 행정 조직(1) 지방 제도의 정비1) 태조 a. 자치권 부여 - 임시적 성격의 ‘전운사’를 둠, 호족에게 금유•조장(조세, 행정)직책b. 주•부 설치c. 군현의 ‘내속’관계 완성 - 큰 군현을 계수관으로 삼아 활용 (전기), 500여개의 군현d. 사심관제도 - 지방통제T) 서경, 동경, 남경은 목도호부와 아울러 계수관 지역이었다.2) 성종 : 지방관 최초 파견, 3경제 마련, 12목 설치, 경학박사•의학박사파견, 10도 설치, 12군 설치T) 고려의 후삼국통일 후 50년이 지나서야 처음으로 민사적 지방관을 파견할 수 있었다.3) 목종 - 도단련사•단련사•자사 파견4) 현종 a. 광역조직 : 경기, 5도 양계 (중기부터)b. 기초조직 : 5도 아래 4도호부 8목 56지주군사, 양계 아래 28진 ..
2013. 9. 8.
[고려] 9. 고려 중앙 관제 (광평성, 내봉성, 순군부, 내의성, 도항사, 물장성, 진각성, 검교직, 동정직, 산칙, 상참관, 의형대)
* 중앙 관제1. 9품 16계제 - 1품 삼중대광, 중대광 ~ 9품 군윤, 중윤 → 향직 체계2.태조(1) 광평성 (시중, 시랑, 낭중, 원외란) - 총괄(2) 내봉성 - 인사, 사정(司正)(3) 내의성 - 정사 간쟁(4) 순군부 - 군권(5) 병부 (6) 창부 - 재정(7) 의형대 - 법률, 형벌(8) 도항사 - 선박, 수운(9) 물장성 - 공예, 보물(10) 내천부 - 왕실 재산(11) 진각성 - 문서, 도서(12) 백서성 - 문서(13) 내군 - 의장 병기3. 성종 관계 정비 - 중국식 문산계 도입4. 문종 정비(1) 관계의 2등급제 운용1) 문산계 - 2등급2) 종5품 이상 – 대부계, 정6품 이하 - 낭계(2) 문산계 중심 (무신도 문산계를 받음)(3) 무산계 도입(4) 실직, 산직 구분1) 실..
2013. 9. 7.
[고려] 8. 고려 통치조직, 정치조직, 중앙정치제도 (대간, 사천대, 한림원, 춘추관, 삼사, 어사대, 상서성, 식목도감, 중추원, 도병마사, 재신, 낭사, 추밀, 승선, 중서문하성, 6부)
Ⅶ. 통치 조직1. 정치 조직(1) 당제, 송제, 고려의 독자적인 제도 등 세 계통으로 구성, 운영(2) 성종 : 2성 6부제 확립 (중국 3성 6부를 받아들였지만 변형시켜 운영) ➝ 문종 때 완성(3) 주요 통치 기구들은 상하 2중으로 구성(4) 고위직자들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겸직제가 시행된 귀족적 체제: 도병마사, 식목도감, 음서(대표적), 공음전, 재추회의, 서경제도2. 중앙 정치 제도 (2성 6부)(1) 중서문하성 (中書門下省, 재부) : 최고 관서1) 문하시중이 국정 총괄2) 재신 (宰臣) : 2품 이상 ➝ 백관 통솔, 국가 중요 정책 심의•결정 (중서령 문하시중 ~ 지문하성사까지)3) 낭사 (郎舍, 간관) : 3품 이하의 관리 ➝ 간쟁, 봉박, 서경권 (관리 임명, 법 개정 등에 동의하는 권리..
2013. 9. 6.
[고려] 7. 고려 중기 왕들의 업적 사건 (현종, 덕종, 문종, 숙종, 예종, 인종, 서적포, 남경 설치, 사학 12도, 개성 나성, 군현제, 주현 공거법, 목종, 강조 정변, 복원궁, 서적소)
* 중기1. 목종 (980~1009) – 개정전시과, 강조정변 (1) 목종 즉위(2) 강조 정변 - 천추태후, 김치양 역모 → 강조가 오히려 현종 옹립(3) 7대실록편찬2. 현종 (1009)(1) 거란2•3차 침입(2) 개성 나성 축조 (1029)(3) 국정안정1) 개성부 정리 - 경중 5부, 경기로 분립(경기제)2) 지방 - 4도호 8목 56지주군사 28진장 20현령으로 개편 (5도 양계)3) 향리의 정원제 실시 - 향리 통제4) 봉행6조 - 수령에게 지침(4) 군현제 골격마련(5) 초조대장경 조판(6) 도병마사(7) 기타1) 주현공거법 – 향리 과거 응시2) 주창수려법 – 창 설치3) 면군급고법 – 70세 이상 부모 섬기면 군역 면제4) 김훈, 최질의 난3. 덕종 (1031) - 천리장성 시작, 민생..
2013. 9. 5.
[고려] 6. 고려 성종의 업적, 사건 (노비환천법, 비서성, 수서원, 의창, 상평창, 12목, 외관, 최승로, 시무28조, 건원중보, 서희, 문신월과법)
Ⅵ. 성종1. 유교 정치의 실현 : 6두품 출신이 주도2. 최승로의 시무28조 건의 (왕권전제화도 규제, 행정기능) ➝ 귀족 권위의 특권을 보장하는 귀족 정치의 실현주장 (X- 국왕 중심의 정치)(노비안검법 비판, 신분질서 유지 강조)(1) 유교 정치 이념 구현 - 과거제 정비 (→ 문벌귀족의 토대 마련) (X- 성리학)(2) 중앙 집권 체제 확립 - “자손을 등용 청합니다.”(3) 문벌 귀족 사회 확립(4) “불교는 수신(修身)의 본(本), 유교는 치국(治國)의 근원(根源)이다.” ➝ 국자감 설치(5) 군사제도의 개편 (북방 경비 철저) “압록강 가에 석성으로써 경계를 삼은 것은 태조가 정한 바입니다.”(6) 신분제도의 확립 - “노비를 안검하니(광종 때) ~ 주인을 모함하는 일이 많았습니다.”(7) ..
2013. 9. 4.
[고려] 5. 고려 혜종, 정종, 광종, 경종 (과거제도, 주현 공부법, 제위보, 노비안검법, 칭제 건원, 광군사, 왕규의 난, 시정전시과, 쌍기)
Ⅱ. 혜종 1. 왕권 약화 배경 : 태조의 정략 결혼 2. 왕규의 난 : 외손자인 광주원군(廣州院君)을 옹립하려다 왕식렴에 의해 제거, 왕건의 정략결혼 정책의 부작용3. 박술희 숙청Ⅲ. 정종 1. 서경 천도 계획 : 공신반대로 실패 2. 광군사 설치 (947) : 거란 침입 대비 (30만)Ⅳ. 광종 : 왕권 안정, 중앙 집권화, 호족 세력 약화 1. 노비안검법 (956) : 노비해방(호족약화) ➝ 양인확대 (세수확대) : 국가 재정 기반(역을 부담), 왕권 안정 cf. 유사 - 공민왕의 전민변정도감설치 2. 과거 제도 (958) - 쌍기의 건의로 시행3. 백관의 공복 제정 : 4색 복제 (四色公服制) (자, 단, 비, 녹) 4. 칭제 건원 (稱帝建元) : 황제라 칭, 연호 : 광덕, 준풍, 개경은 황도 ..
2013. 7. 30.
[고려] 4. 고려 태조의 업적 사건, 왕건의 업적 사건 (훈요십조, 사심관제도, 기인제도, 사성정책, 북진 정책, 만부교 사건, 청천강에서 영흥)
[2] 고려의 정치 고려의 정치 구조Ⅰ. 태조1. 후삼국 통일 이후 : 호족 세력 포섭, 지배층 편제, 수취 체제 개편2. 민생 안정책(1) 수취 체제 개편 : 취민유도 (세율 1/10으로 낮춤)* 취민유도 (取民有度): 백성들에게 조세를 수취할 때에 일정한 법도가 있어야 한다.(2) 흑창 : 빈민 구제 위해 봄에 곡식 나눠 주고 추수 후에 갚게 했던 기구 cf) 춘대 추납 : 고구려 때 진대법(3) 노비 해방3. 민족 융합 정책 : 능력본위, 개방적 사회4. 북진 정책(1) 고구려 계승 의식 : 국호 고려 (연호 : 천수 天授) (2) 서경 중시 (평양)(3) 거란에 대한 강경책 : 만부교 사건 (선물로 보낸 낙타 50필 죽게 함, 942)(4) 발해 유민 포섭(5) 영토확장 : 청천강 ~ 영흥☞ “우..
2013. 7. 29.
[고려] 3. 고려 사회의 성격 (중세 사회의 성격)
Ⅴ. 중세 사회의 성립1. 중세 사회의 성격(1) 새로운 지배 계층의 형성 : 호족, 문벌 귀족 (성종부터)(2) 유교 정치 질서 중시 : 6두품 계열, 행정적 기능 강조(3) 중세 문화의 발달 1) 문화의 폭 확대 : 혈족적 관념과 종교의 테두리에서 벗어남2) 독자적 성격3) 지방 분화의 성격 뚜렷 : 세련, 소박, 귀족 문화와 공존4) 유•불 문화의 공존 5) 기록에 의한 출판 문화 발달 : 대장경의 조판, 금속활자6) 소박미 - 관촉사, 개태사, 둔마리 고분, 이천동 석불, 운주사 와불(4) 강력한 민족의식의 형성 : 고구려 강토 회복, 북방 민족과의 항쟁과정(5) soy 한국사,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이건노이라요,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
2013. 7. 28.
[고려] 2. 후삼국의 성립, 후삼국의 통일, 고려의 성립 (왕건, 광평성, 대용부, 후고구려, 후백제, 공산 전투, 고창전투, 일리천 전투)
Ⅱ. 후삼국의 성립1. 후삼국 시대의 전개 : 견훤, 궁예 성장, 신라 축소2. 후백제 성립 (900~936)(1) 건국 : 견훤 - 완산주 (농민출신), (군사, 호족)(2) 신라의 대야주 공격, 일선군 점령(3) 경애왕 살해 (927) : 신라에 적대적, 농민 수취(4) 교류 : 남중국(오, 월), 거란(요) 일본과 공식 통교를 시도하였으나 일본의 거부로 실패3. 후고구려(1) 궁예 : 송악 (901) – 신라 왕족의 후예 (초적, 호족), 양길을 몰아내고 세력을 잡음(2) 국호 변경 : 마진 (摩震) (도읍 : 철원)(3) 관서 설치 : 광평성 (廣評省, 국정 총괄, 후고구려 최고 관부), 9관등제1) 독자적 관부 - 병부, 대용부(재정), 수춘부(예부)2) 새로운 관계 - 정광, 원보, 대상T) ..
2013. 7. 27.
[고려] 1. 중세 사회 (고려 연표)
제4편 중세 사회의 발전900 - 견훤, 후백제 건국 901 - 궁예, 후고구려 건국918 - 왕건, 고려건국 926 - 발해 멸망935 - 신라 멸망936 - 고려, 후삼국 통일956 - 노비안검법958 - 과거 제도976 - 전시과983 - 전국에 12목 설치992 - 국자감996 - 철전 주조 (건원중보)1009 - 강조의 정변1019 - 귀주 대첩1076 - 전시과 개정, 관제 개혁1086 - 의천, 교정도감, 속장경 조판1097 – 주전도감1102 - 해동통보 1107 - 윤관, 여진 정벌1126 - 이자겸의 난1135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1145 - 김부식, 삼국사기1170 - 무신 정변1179 - 경대승, 도방 정치1196 - 최충헌1198 - 민적의 봉기1219 - 몽골과 통교1231..
2013. 7. 26.
[삼국] 24. 고대 문화의 일본전파 (삼국 문화의 일본전파, 스에키 토기, 아스카 문화, 하쿠호 문화, 무로마치 시대, 조몬 토기, 호류사 금당벽화, 담징, 수산리 고문, 다카마쓰 고분, 왕인, 아직기..
고대 문화의 일본전파Ⅰ. 삼국의 전파1. 삼국 문화의 영향2. 백제 문화의 일본 전파(1) 아직기 : 한자 (근초고왕) → 오진 태자에게 한자를 가르침(2) 왕인 : 천자문, 논어 (근초고왕)(3) 노리사치계 : 불경 (성왕)(4) 관륵 : 천문, 역법, 지리 (무왕)(5) 불상 : 고류사 미륵 반가 사유상, 호류사 백제관음상 [수산리 고분] [다카마쓰 고분](6) 공예, 가람 - 5경 박사 → 마정안, 문휴마나, 동성자언, 동성자막고, 유귀(7) 단양이 : 5경박사 (무령왕)(8) 고안무 : 5경박사 (무령왕), 유학(9) 혜총 - 계율종(10) 개로왕 때 - 인사리아(화가), 정안나금(비단기술), (11) 아좌태자 → 쇼토쿠 태자상을 그림3. 고구려 문화의 일본 전파(1) 혜자 : 쇼토쿠 태자(聖德太..
2013. 7. 25.
[삼국] 23. 삼국의 문학, 삼국의 음악 (모죽지랑가, 제방매가, 다듬이 소리, 양태사, 황조가, 회소곡, 정읍사, 혜성가, 왕산악, 옥보고, 백결선생, 우륵)
Ⅵ. 향가, 한문학1. 한시(1) 황조가 : 고구려 유리왕의 이별가 “훨훨 나는 꾀꼬리는 ~ ”(2) 오언시 : 을지문덕 “그대의 신기한 책략은 ~ ”2. 민중의 노래(1) 구지가(2) 회소곡 : 신라 유리왕 때, 두 여자의 길쌈 대회 (노동요)(3) 정읍사 : 백제민중들의 어려운 생활3. 향가 - 승려, 화랑(1) 통일 전 : 혜성가(융천사) - 왜군과 혜성의 출현, 서동요, 풍요 등(2) 통일 후 1) 제망매가(월명사 - 죽은 누이), 모죽지랑가(득오), 찬기파랑가, 안민가(유교적 - 각자의 본분), 도천수관음가, 우적가, 처용가, 원왕생가, 헌화가(노인이 수로부인을 위해 꽃을 꺽어다 줌)2) 향가집 a. 부전 : 위흥의 ‘삼대목’ 이라는 향가집 (9세기 후반, 진성여왕 때)b. 현전 : 삼국유사 1..
2013. 7. 24.
[남북국] 10. 발해의 예술 (돌사자상, 이불병좌상, 보상화무늬벽돌, 발해 석등, 정혜공주묘, 정효공주묘)
Ⅴ. 발해 1. 건축 - 상경터 : 남북으로 넓은 주작대로(당), 온돌장치(고구려) 2. 고분 (1) 정혜 공주 묘 (고구려 영향) : 육정산 고분군, 굴식 돌방무덤, 돌사자상, 모줄임 천장 (2) 정효 공주 묘 (당 영향) : 용도산 고분군, 벽돌 무덤, 불로장생 사상, 도교적 성격 3. 조각, 공예 [정효공주묘] (1) 불상, 기와, 벽돌 : 고구려 계승 1) 보상화 무늬 벽돌 2) 이불병좌상 (二佛竝坐像)- 법화경에 의거한 조상례, 고구려 전통 반영 (동경)3) 도제의 보살상(2) 석등 : 웅대 (3) 자기 공예 4. 발해 미술의 특색 : 웅장, 건실1. 경주 안압지, 월성 해자, 함안 성산산성, 부여 궁남지에서 발견된 고대의 기록을 전하는 유물은? ☞ 목간 2. 백제 미륵사지 석탑과 신라의 분황사..
2013. 7. 23.
[남북국] 9. 통일신라의 예술 (김생의 글씨, 오대산 상원사 종, 에밀레종,양양진전사지3층석탑, 고선사지3층석탑, 쌍봉사철감선사승탑, 의성탑리5층석탑, 염거화상 부도탑, 창림사터3층석탑, 실..
Ⅳ. 통일 신라1. 특징 : 조화미, 정제미2. 건축1) 불국사 : 청운교, 백운교, 석가탑, 다보탑(세련된 균형미)2) 석굴암 : 인공 석굴 (전실 - 땅을 상징, 후실 - 하늘을 상징)3) 안압지 : 조경설[불국사] [석굴암] [안압지] [14면체 주사위]cf) 14면체 주사위 : 삼잔일거, 음진대소, 금성작무, 곡비즉진, 중인타비 등 글귀, 정사각 6개 육각 6개3. 범종(1) 오대산 상원사 종 : 가장 오래된 범종 (725)(2) 성덕 대왕 신종 (복덕사종, 에밀레종) : 청동, 비천상 [오대산 상원사 종] [에밀레종]4. 조각(1) 무열왕릉비 받침돌(2) 성덕 대왕릉 둘레돌의 조각 : 사실적인 미(3) 불국사의 석등•법주사의 쌍사자 석등 : 균형 [법주사 쌍사자 석등]5. 석탑(1) 신라 중대1..
2013. 7. 22.
[삼국] 22. 신라의 예술 (분황사모전석탑, 첨성대, 금동미륵보살반가상, 경주 배리석불입상, 돌무지덧널무덤, 신라 금관, 천마도)
Ⅲ. 신라1. 특징 : 초기 고구려 영향 ➝ 백제의 영향 = 패기 + 조화2. 사원 건축 : 황룡사 (진흥왕)3. 건축1) 황룡사9층목탑 (호국불교) “구층탑을 이룩하면 이웃 나라가 항복하여 오고, 구한(九韓)이 와서 조공하여 나라를 다스리는 일이 태평할 것이요~”2) 분황사 모전 석탑 (3층만 남아있고 인왕상, 석사자 조각, 전탑 양식 모방 - 벽돌처럼 다듬어 만든 모전 석탑) 3) 첨성대 [분황사 모전 석탑] [첨성대]4. 불상(1)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 (국보 제83호) : 중생을 구제하기로 정해진 보살 (삼산관 (三山冠)을 쓰고 있음) Cf) 삼국이 미륵반가 사유상을 많이 제작(2) 경주 배리 석불 입상 [금동미륵보살반가상] [경주 배리 석불 입상] 5. 고분(1) 돌무지덧널 무덤 (積石木槨墳, ..
2013.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