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신라의 발전

by 소이나는 2009. 10. 6.
반응형

신라의 발전

 

 1. 정치적 발전

  

  (1) 눌지왕 (5세기 전반) - 마립간

   1) 나제 동맹 : 백제 비유왕과

   2) 불교의 전래 : 고구려 묵호자 (457)

   3) 왕위 계승을 부자상속으로


  (2) 자비왕 - 마립간

   1) 방리 설정 (467)

   2) 좌우장군 설치(473) - 병권 집중


  (3) 소지왕 (5세기 후반) - 마립간

   1) 결혼 동맹 : 백제 동성왕과

   2) 우역의 개설, 6부의 행정 구역 마련

   3) 시장 개설 - 동시

   4) 신궁설치


  (3) 지증왕 (6세기 초반)

   1) 한화 정책 : 국호 = 사로국 ➝ 신라 (503)  / 왕호 = 마립간 ➝

   2) 행정 구역 정비

   3) 우산국 정벌 (512) : 이사부

   4) 산업 발전 : 우경 확대 / 동시전 설치(509) : 시장 관리 감독 기관

   5) 순장 금지

   6) 주군제 정비


  (4) 법흥왕 (6세기 전반)

   1) 통치 질서의 확립

     a. 병부 설치                               b. 상대등 제도 - 갈문왕의 정치적 비중 약화

     c. 골품 제도 정비(17관등, 공복제정)        d. 율령 반포 (울진 봉평 신라비)

   2) 연호 사용 : 건원

   3) 불교 공인 : 이차돈의 순교

   4) 영토 확장 : 금관가야 정복 (532)

   5) ‘양’과 수교


  (5) 진흥왕 (6세기 후반)

   1) 한강 유역 차지

      a. 상류 진출 : 단양 적성비

      b. 하류 진출 : 북한산 순수비, 신주 설치

   2) 한강 유역 장악의 의미 : 중국과 직접 교섭

   3) 영토 확대

      a. 대가야 점령 : 창녕비 건립, 합천에 ‘대야주’설치

      b. 원산만 진출 : 황초령비, 마운령비

   4) 화랑도 공인

   5) 국사 편찬 : 거칠부

   6) 불교 장려

    a. 황룡사, 흥륜사

    b. 스스로 ‘전륜성왕’ 자처

    c. 진종사상 도입 (아들 이름을 동륜, 금륜이라 부름)

   7) 연호 사용 : 개국, 대창, 홍제

   8) 나제 동맹 결렬

   9) 태자제도

  10) 제왕건호 - ‘짐’ 사용

  11) '품주' 설치

   a. 재정업무,

   b. 소속관청 - 상서서 : 유공자에게 상을 주는 곳


 (6) 진평왕

  1) 관제정비 - 위화부(관리인사) / 조부(공부담당) / 예부(의례, 교육) / 내성(왕명출납)

  2) ‘수’와 통교 - 걸사표

  3) 세속오계 - 원광법사

  4) 칠숙, 석품의 모반


 (7) 선덕여왕

  1) 백제의 대야성 공격

  2) 당과 통교 - 김춘추

  3) 호국불교 - 황룡사 9층 목탑, 분황사

  4) 첨성대

  4) 비담의 난 (647)


 (8) 진덕여왕

  1) 왕권강화 - 연호 ‘태화’

  2) 관제정비 - 품주를 ‘집사부’로 / 시중 - 국가기밀

  3) 집사부, 창부, 좌이방부 설치

  4) 당과 교류 - ‘태평송’을 당고종에 바침 / 중국식 의관제 / 중국 연호 ‘영휘’ 사용



 

성립기

완성기

율령 반포

한강 유역

불교 수용

부자세습

최대 영토

역사 편찬

고구려

태조왕(2세기)

소수림왕(4세기)

장수왕(5세기)

소수림왕

고국천왕(2세기)

문자왕(5세기)

영양왕(7세기)

백  제

고이왕(3세기)

근초고왕(4세기)

고이왕

침류왕(4세기)

근초고왕

신  라

내물왕(4세기)

법흥왕(6세기)

진흥왕(6세기)

눌지왕(5세기)

진흥왕



 2. 신라의 주요 비문

눌지왕, 지증왕

 영일냉수리비

 현존 최고의 신라비, 영일 지방 재산 분쟁 판결,

 신라를 ‘사로’로 기록

법흥왕

 울진봉평신라비

율령, 사건처리

 영천 청제비

 제방

진흥왕

 단양 적성비

 소맥산맥, 관직명, 포상

 창녕비

 대가야 복속

 북한산비

 한강하류 - 후에 김정희가 고증

 황초령비

 함흥지방진출

 마운령비

 함흥지방진출, - 후에 최남선이 고증

진평왕

 남산신성비

 남한산성축조

 임신서기석

유교경전(시경, 서경, 예기, 좌전)학습, 임금에 충성

 → 영토 확장과는 상관없다.

 cf) 포항 중성리 신라비 - 재물 소송에 관련


 * 타국 비문

 (1) 낙  랑 - 점제현신사비 : 저수지 축조 기념

 (2) 고구려 - 광개토대왕비, 중원고구려비

 (3) 백  제 - 무령왕릉지석 (남북조시대의 해서체)

                 사택지적비 - 불탑과 불당을 건립한 것을 기념한 비, 북조의 해서풍


* 삼국의 발전과 통치체제 (고구려, 백제, 신라) - 보기 클릭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