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삼국 간의 대립과 대외관계, 삼국의 통일

by 소이나는 2009. 10. 7.
반응형
 


 


 

삼국 간의 경쟁과 대외관계


Ⅰ. 삼국 간의 경쟁

 

 1. 삼국의 경쟁

   - 한강 유역 점유권 전쟁 관련

 

 

고구려

백 제

신 라

고대 국가 형성

태조왕(2)

고이왕(3)

내물왕(4)

율령 반포

소수림왕(4)

법흥왕(6)

고대 국가 완성

근초고왕(4)

불교 수용

침류왕(4)

눌지왕(5)

한강 유역 확보

장수왕(5)

고이왕(3)

진흥왕(6)

 

 2. 백제 강성 (3세기)

 3. 고구려 주도권 장악시기 (5세기)

 4. 신라 주도권 장악시기 (6세기)

 5. 삼국 통일기 (7세기)

  

Ⅱ. 삼국의 외교

 

4세기

 고구려(소수림)- 신라(내물) 우호

  → 백제 : 근초고왕

 동진 = 백제 = 왜

 전진 = 고구려 = 신라

5세기

 나제동맹 (광개토, 장수, 문자왕)

 신라 = 백제 = 남조 = 왜

 고구려 = 남북조 = 유연

6세기

 여제동맹 (법흥왕, 진흥왕) (성왕)

 신라 = 수

 고구려 = 돌궐 = 백제 = 양 = 왜

7세기

 나당연합 (통일까지)

 신라 = 당

 고구려 = 돌궐 = 백제 = 왜


 1. 특징

 

2세기

3세기

4세기

5세기

6세기

7세기

후한

위 (촉) ➝ 서진 (오)

5호 16국➝

 

동진➝

북위➝

 

송➝제➝

동위 ➝ 북제

서위 ➝ 북주➝

양 ➝ 진➝

수➝당

남북조

 

 2. 고구려의 대외 관계

  (1) 한 군현과 대립

  (2) 중국 세력 견제

  

 3. 백제의 대외 관계

  (1) 중국과의 관계

   1) 활발한 해상 활동 : 산둥, 왜

   2) 남조와 교류 - 무령왕

  (2) 왜

   1) 국가 건설에 이바지 : 칠지도 (근초고왕 - 이소노카미 신궁에 보관)

   2) 왜군의 이용

  

 4. 신라의 대외 관계

   - 한강 점령 후 중국과 직접 교류

 


Ⅲ. 고구려와 수·당의 전쟁

 

 1. 동아시아 정세 : 수의 고구려 침공 - 여수전쟁

  (1) 원인 : 영양왕 - 요서 공격 (518)

  (2) 수 문제·양제 ➝ 살수대첩(612) : 을지문덕

   cf) 수의 침입

    1차 (612)  수군 - 내호아, 주법상 침입 → 고건무가 격퇴

               육군 - 우문술, 우중문 → 을지문덕

    2차 (613) - 수에서 양현감이 반란을 일으켜 회군

    3차 (614)

  (3) 결과 : 수는 무리한 토목 공사로 망 ➝ 당(618)


 2. 여당전쟁

  (1) 원인

   1) 당의 팽창 정책 - 당고조 ‘이연’ → 당태종

   2) 고구려의 강경책

      a. 천리장성 (보장왕 6년, 647) : 부여성(농안) ~ 비사성(대련)

      b. 연개소문 : 반대세력 숙청하고 보장왕을 세움

   3) 귀족계열은 ‘봉역도’를 바치는 등 유화정책

  (2) 안시성 싸움 (645)

   1) 당 태종의 침입

   2) 양만춘의 활약


 3. 전쟁의 의의 - 침략 저지





 삼국통일


Ⅰ.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1. 삼국의 세력 관계 변화

  (1) 신라의 삼국 간의 항쟁 주도 : 신흥 귀족인 김춘추가 김유신과 제휴 권력 장악

      cf) 삼국사기 - 김춘추가 연개소문을 만남 “연개소문이 죽령은 본디 우리 땅이다. ~~~ ”

  (2) 나당 연합군 결성 (648)


 2. 백제의 멸망

  (1) 내부 문란, 지배층의 향락

  (2) 신라의 공격 - 황산벌에서 패함 : 김유신 vs 계백 (5천 결사대)

  (3) 당의 공격 : 소정방 ➝ 금강의 입구 백장을 통해 진격

  (4) 멸망 (660)

  (5) 당 - 5도독부 설치


 3. 고구려의 멸망

  (1) 지배층의 권력 쟁탈전, 내분

      - 연개소문 사망 → 연남생 - 태막리지 → 연남건, 연남산이 남생을 축출 → 남생은 당에 투항

  (2) 신라의 김인문, 당의 이세적이 평양에서 합세

  (3) 멸망 (668)

  (4) 당 - 9도독부 설치 / 평양 안동도호부에 설인귀 임명 / ‘기미정책’ - 고구려인 이용 /

           보장왕을 요동주 도독 조선왕에 임명



 4. 백제, 고구려의 부흥운동


  (1) 백제

   1) 왕자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

     → 주류성 : 복신, 도침 → 왜군의 지원이 ‘백강’에서 당에 패배 + 내분 → 풍은 고구려로 망명

   2) 임존성 : 흑지상지, 지수신

   3) 두시원악 (청양) - 정무


  (2) 고구려

   1) 안승을 받듬

   2) 한성 (황해도 재령) : 검모잠

   3) 금마저 : 안승

   4) 오골성 : 고연무

   5) 안시성 : 백빙산 → 이근행에게 패배


Ⅱ. 신라의 삼국통일

 

 1. 신라의 대당전쟁


  (1) 원인

   1) 웅진 도독부 (660)

   2) 계림 도독부 (663)

   3) 안동 도호부 (668)


  (2) 대응

   1) 고구려 부흥 운동의 후원 : 안승 회유, 보덕국왕으로 삼음

   2) 소부리주 설치 (671) : 백제 지배권 완전 장악

   3) 당사신 ‘양도’살해 (670)

   4) 주장성, 서형산성 축조


  (3) 나당 전쟁 전개

   1) 마전·적성 전투 (675)

   2) 매소성 전투 (675) : 이근행의 당 대군 격파

   3) 기벌포 전투 (677) : 수군 승리 - 당 축출의 결정적 계기, 안동 도호부를 요동성으로 밀어냄


 2. 삼국 통일

  (1) 한계: 외세, 대동강 이남

  (2) 역사적 의의

   1) 자주적

   2) 민족 문화 기반 확립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