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 정권 시대
Ⅰ. 무신정변(1170)
1. 무신정변의 배경
(1) 문벌 귀족 지배 체제의 모순 심화
(2) 숭문 천무 정책
1) 무신 차별
a. 과거제도에 무과가 없음, 강예재(무학재)의 폐지
b. 2품이상의 재상이 될 수 없었다. (∵ 정3품 상장군까지만 마련)
2) 의종의 실정
3) 무신의 경제권 침해 : 전시과 차별, 지휘권 독점, 의종의 향락생활, 군인전 폐지 ➝ 무신정변
2. 경과
- 정중부, 이의방 등 정변 ➝ 왕을 폐하 ➝ 명종을 세움 (1170, 경인난)
3. 무신 정권의 변천
(1) 제1기
1) 정중부 (1170 ~ 1179) : 중방 중심
2) 경대승 (1179 ~ 1183) : 정중부 제거 ➝ 도방 (신변경호) 설치
3) 이의민 (1183 ~ 1196) : 김보당의 난 때 의종을 제거한 공으로 진출, 천민 출신, 중방 중심, 최충헌에게 피살
(2) 제2기
1) 최충헌 (1196 ~ 1219)
가. 봉사 10조 제시 (사회 개혁안 - 명종에게)
a. 새 궁궐 b. 관원의 수를 줄일 것 c. 농민 토지 돌려줄 것 d. 선량한 관리 임명
e. 곡물 진상 금지 f. 승려의 고리대 금지 g. 탐관오리 징벌 h. 관리의 사치 금지
i. 관리 사치 금지 j. 신하의 간언 용납 k. 함부로 사찰을 건립하는 것 금지
cf) 건의한 것 : 시무10조 → 시무28조(반영O) → 봉사 10조 → 조준(정도전) : 과전법 (반영 O) → 이이
나. 무단 정치의 강화
a. 도방 부활
b. 교정도감 설치 : (인사, 세무, 감찰, 반대 세력 제거 등 최고 집정부)
다. 조계종 후원 : 교종과 사원은 억압
라. 흥녕부 설치 : 지방의 관리 담당하는 최고 집정기관
2) 최우(최이) (1219 ~ 1249)
가. 정방 : 인사권 장악, 정색승선 등 문인을 등용 (신진사대부)
→ “문장에 능하고 행정실무도 능한 자 첫째로 ~”
나. 서방 : 문사들의 숙위 기구, 고문 역할 (이규보, 최자)
다. 삼별초의 조직 : 좌별초(야별초에서 분리), 우별초(야별초에서 분리), 신의군(몽골에 포로로 잡혀갔다 돌아온 병사)
→ 본래 ‘야별초’로 성립 (치안)
라. 대몽 항쟁 : 강화도 천도, 팔만대장경 조판
마. 마별초 조직 - 내도방·외도방 편성 / 최씨 사병, 의장대 역할
3) 최항, 최의 : 무오정변 (고종45, 1258) - 최의 살해, 최씨 정권 막
4) 최씨 정권의 특징 : 정치적으로는 안정, 통치 질서는 약화, 백성에 소홀 (경제 개혁은 無)
교정도감 |
최충헌 |
인사, 세무, 감찰, 반데 세력 제거 등 최고 집정부 |
도 방 |
경대승 |
신변 경호 |
서 방 |
최우 |
문학적 소양 행정 실무 능력의 문신도 등용, 고문 역할 |
정 방 |
문무백관의 인사 행정 담당 |
정중부 |
경대승 |
이의민 |
최충헌 |
최우 |
중방 |
도방 |
중방 |
봉사10조, 도방, 교정도감, 농장확대, 조계종 개창 |
정방, 서방, 삼별초, 팔만대장경 |
김보당, 조위총 | ||||
망이 망소이의 난 |
전주 관노의 난 |
김사미, 효심의 난 |
만적의 난 |
이연년의 난 |
➝ 제3기 붕괴기 : 김준, 유경 ➝ 임연(향리출신), 임유무
T) 이규보의 동명왕편이 최씨 무신 집권기에 편찬되었다.
cf) 이자겸→묘청→정중부→김보당→조위총→명학소→전주관노→만적
Ⅱ. 사회의 동요
1. 무신 정권에 대한 반발 (정중부)
(1) 김보당의 난 (1173) : 명종 때 의종의 복위를 꾀함 (∵ 무신 지배가 강화되는 계기)
(2) 조위총의 난 (1174) : 서경 유수 조위총이 무신에게 항거 (∵ 농민 전쟁적 성격도 띄고 있다.)
(3) 승려의 난 : 귀법사 등 교종 계열
2. 무신 집권기 하층민의 봉기
(1) 배경 : 신분 제도의 동요, 백성 수탈의 강화
(2) 천민·노비들의 난
1) 전주 관노의 난 : 경대승 집권기 (노비가 최초로 참가한 민란)
2) 만적의 난 : 최충헌의 사노가 신분 차별에 항거, 정권 탈취 시도
☞ “공경장상은 우리가 얻어야 할 것이다. ~ 매만 맞고 살아야 하는가?” <고려사, 동사강목>
(3) 양민들의 난
1) 김사미·효심의 난 : 명종 때 신라부흥운동 전개, 양인 최대 규모의 민란 (이의민 때)
2) 망이·망소이의 난 : 공주 명학소에서 신분해방 주장 (정중부 때)
➝ 명학소를 충순현으로 승격하며 향·소·부곡이 해방되는 계기가 되었다.
☞ “산행병마사라 칭하고 ~ 홍경원을 불태우고~” <고려사>
3. 부흥 운동
(1) 최광수의 난 (1217) : 서경에 고구려 부흥 표방 (최충헌 때)
(2) 이연년의 난 (1237) : 담양에서 백제 부흥 표방 (최우 때)
(3) 김사미·효심의 난 (1193) : 운문, 초전에서 신라 부흥 표방 (이의민 때)
4. 기타 항쟁
- 최광수(서경), 노군 (충주), 정방의 (진주), 이비 (경주), 금단 (울진)
5. 무신 정변의 영향
(1) 문벌 귀족의 붕괴 : 관료 체제로 전환되는 계기
(2) 왕권 약화, 국가 통제력 약화
(3) 전시과 체제 붕괴 - 대토지소유 증가
(4) 민생 피폐, 신분제 동요
(5) 신앙 결사 운동, 조계종 개창
(6) 문화 침체 - 은둔적 시조 문학은 발달
(7) 민족 주체적 문화발달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의 경제 정책 (1) | 2009.10.15 |
---|---|
고려시대 백성들의 생활 모습 (9) | 2009.10.15 |
고려의 사회 [신분제도, 문벌귀족, 권문세족, 신진사대부] (1) | 2009.10.15 |
고려 후기의 상황 (원의 내정간섭, 홍건적의 침입, 공민왕) (5) | 2009.10.14 |
고려의 대외관계 (몽골의 침입, 거란의 침입, 윤관, 강감찬(귀주대첩), 강조의 정변) (5) | 2009.10.14 |
[고려] 문벌귀족사회 (이자겸의 난,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4) | 2009.10.13 |
[고려] 정치 구조의 정비 (태조, 혜종, 정종, 광종, 경종, 성종, 중앙, 지방, 군사조직) (3) | 2009.10.12 |
중세의 세계로의 전환 (후삼국시대, 고려의 성립) (2) | 2009.10.12 |
고려시대 연표 (5) | 2009.10.11 |
고대 문화의 일본 전파 (2) | 2009.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