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고려의 대외관계 (몽골의 침입, 거란의 침입, 윤관, 강감찬(귀주대첩), 강조의 정변)

by 소이나는 2009. 10. 14.
반응형


 

대외 관계의 변화


* 962 : 송과 통교 ➝ 993 : 강동6주(거란) ➝ 1019 : 귀주 대첩(강감찬, 거란) ➝ 1107 윤관 여진정벌 (별무반) ➝

  1125 : 이자겸, 금의 사대요구 수용 ➝ 1232 : 강화도 천도 ➝ 1251 : 팔만대장경 ➝1270 개경 환도 ➝

  1368 : 원의 멸망 (공민왕 개혁) ➝ 1389 : 박위 쓰시마 섬 정벌 ~ 홍건적(정세운, 안우, 이승경, 이방식 이성계),

  왜구 (최무선, 이성계, 최영, 정지, 연호군) ➝ 1392 : 고려멸망


 * 거란 916 → 고려 918 → 정안국 927 → 송 960


Ⅰ. 고려의 외교 정책

 1. 북진 정책친송 정책

 2. 정안국(927)의 등장 : 발해 부흥 운동

 

Ⅱ. 거란의 침입과 격퇴

 

  * 태조 : 만부교사건 → 정종 : 광군사 → 성종 1차 침입 (서희, 강동6주) → 현종 : 양규, 강감찬

    → 고종 : 조충, 강동의 역


 1. 거란의 침입 배경 : 친송책, 북진 정책

  

 2. 거란의 침입

  (1) 제1차 침입 (성종, 993)

   1) 소송녕 침입

   2) 서희가 거란과 협상 - 강동6주 확보 (압록강까지 확장)

   3) 거란의 연호를 사용 : 형식적 사대관계 체결 (송과 비공식 교류 지속)

  (2) 제2차 침입 (현종, 1010)

   1) 강조의 정변을 계기로 강동 6주 요구하며 거란 성종이 침입

      (강조의 정변 : 목종의 모후인 천추태후와 김치양이 왕위를 빼앗으려 하자

                     강조가 김치양 일파를 제거하고 목종을 폐위한 사건)

   2) 개경 함락 : 왕은 나주로 피신 ➝ 양규가 선전, 문신 하공진의 정전 교섭 ➝ 물러남 ( 현종의 친조를 조건 )

  (3) 제3차 침입 (현종, 1018)

   1) 친조 이행하지 않자 소배압이 침입

   2) 귀주대첩 : 강감찬이 물리침 (1019)


 3. 전란의 영향

  (1) 고려·송·거란의 세력 균형

  (2) 국방 강화

   1) 나성 축조 (개경)

   2) 천리장성 축조 (1029, 덕종~ 정종) : 압록강 ~ 도련포

  (3) 7대실록 편찬, 초조대장경 조판

  (4) 보수 세력의 성장 : 북진 정책 보류

  (5) 강동 6주가 고려의 영토로 인정

  (6) 불교문화 교류

    1) 원효의 ‘기신론소’가 요에 반포

    2) ‘용감수경’이 고려에 유포

  (7) ‘금’의 성장

Ⅲ. 여진 정벌과 9성 개척

 

 1. 여진과의 충돌

  (1) 초기의 여진족 : 말갈

  (2) 완옌부의 추장이 통합 (12세기 초)

  * 숙신 ➝ 읍루 ➝ 물길 ➝ 말갈 ➝ 여진 (금) ➝ 만주족


 2. 윤관의 여진 정벌

  (1) 별무반 편성 : 숙종은 신기군을 주축으로 신보군, 항마군(승병)을 편성

  (2) 9성의 축조 (1107, 예종) - 함주, 영주, 웅주, 길주, 복주, 공험진, 통태진, 진양진, 숭녕진

  (3) 척경입비도 : 두만강 북쪽 선춘령에 ‘고려지경’이란 비를 세워 경계를 삼은 사실을 그린 그림

  (4) 9성의 환부 (1108) : 여진족에게 돌려줌


 3. 의 건국과 사대 외교

  (1) 금의 건국 (1115) - 우야소의 동생 아구다(아골타), 수도 회령

  (2) 압력 : 군신관계 요구 ➝ 이자겸이 받아들임 - 북진정책 좌절

  cf) 정강의 변 (1127) - 금이 송의 수도를 점령하여 굴복시킴 → 남송 시작

 

  T) 여진족에 대한 것

    1) 고려 시대 묘청 등 서경파는 금국 정벌과 고려왕을 황제로 승격시키고 중국과 다른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자는

       칭제건원론을 내세웠다.

       → 실현 X, 화이론적 세계관을 벗어난 자주적 주장

    2) 조선 시대 조정에서는 청에 대한 치욕을 씻고자 반청의 정치적 입장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북벌론이 제기되었고 북벌론은 효종 때에 가장 활발하였다.

       → 실현 X, 화이적을 벗어난 것이라기보다는 명의 은혜를 갚고자 하는 의미


Ⅳ. 몽골과의 전쟁

 

 1. 13세기 초 동아시아의 정세 : 몽골의 팽창, 금의 쇠퇴 ➝ 거란의 일부가 대요수국 세움(1216)

                                ➝ 동진국도 등장 (포선만노 - 금의 장군)

  

 2. 여·몽의 접촉

  (1) 거란족의 침입 : 몽골에 쫓긴 대수요국 거란족이 남하하다 제천에서 김취려에게 대파 (1217)

  (2) 강동의 역 : 동진국과 연합하여 강동성의 거란을 몰아냄 (1219)


Ⅴ. 몽골의 침입

 

 1. 침입 배경

  (1) 여·몽 협약 (1219) : 공물 강요, 형제 관계 체결

      * 몽고의 6사 강요 - 입질, 호구 보고, 조군, 조부, 역참설치, 다루가치 주재

  (2) 몽골 사신 피살 사건

 

 2. 몽골의 침입 과정

  (1) 제1차 침입 (1231) : 의주를 점령 → 귀주성에서 박서의 저항, 자주성 최춘명의 방어

                          → 길을 돌려 개경 포위 → 몽골의 요구 받아들임

                          → 강화천도 (‘청야전술’지시 - 백성을 산성, 해도에 입보(立保)하게 함)

  (2) 제2차 침입 (1232) : 강화 도읍, 항전 강화 - 처인성(용인)전투에서 김윤후가 살리타 사살, 역적 홍복원 축출

  (3) 제3차 침입 (1235) : 황룡사탑 소실, 팔만대장경 각판 시작, 방호 별감·야별초 파견 (온양, 죽주전투승리)

  (4) 제4차 침입 (1247) : 원 황제 정종의 죽음으로 철수

  (5) 제5차 침입 (1253) : 충주성에서 김윤후의 승전, ‘충실도감’설치,  국왕의 출륙

  (6) 제6차 침입 (1254)

    1) 충주성 부근 다인철소민의 승리후 조휘, 탁청 등의 반부사건을 계기로

       1258년 쌍성총관부가 성립되는 등 동북면 방어체계 와해 (철령 이북 빼앗김)

    2) 동녕부 설치 (원 직속)

    (cf. 무오정변 - 최씨 집권 종식, 원종 즉위)

  (7) 몽고와 강화 - 1259

  (8) 고려의 항전

    1) 강화도의 고려 정부 : 팔만대장경 조판

    2) 일반 민중 : 장기 항쟁의 원동력 - 격퇴 : 충주 다인철 소, 처인 부속의 승리

  (9) 결과 : 국토의 황폐화, 문화재 소실 (초조 대장경판, 황룡사 9층 목탑 소실)


 3. 무신 정권의 붕괴와 개경 환도

  (1) 무신 정권의 몰락 (원종, 1270)

  (2) 몽골과 강화 : 고려를 직속령으로 완전히 정복하려던 계획 포기


 4. 삼별초의 항쟁 (1270~1273)

  (1) 무신 정권의 붕괴와 몽골과의 굴욕적 강황에 반발

  (2) 강화도 : 배중손의 지휘 ➝ 온 왕을 추대

  (3) 진도 : 용장성 쌓고 저항

  (4) 제주도 : 김통정의 지휘 후 평정 당함 (탐라)

  (5) 항몽 사상자주성 보여줌, 일부 민중이 지지해 장기 항쟁이 가능했음



T) 송의 판본은 고려 목판 인쇄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

T) 거란의 침입에 대비해 광군을 조직하기도 하였다.

T) 서희가 담판을 지을 때 시대에 최승로가 시무28조를 올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