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국문학사] 1930년대 문학, 1940년대 문학

by 소이나는 2012. 9. 26.
반응형


 

1930·40년대


<1> 서설

 1. 1935년 카프 해체

 2. 문학의 순수성, 예술설 - 시문학파, 구인회

 3. 지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 주지적 경향

 4. 서구 문학 수용

 5. 주지주의 문학 이론 도입, 초현실주의 문학

 6. 생명파와 청록파 등장

 7. 이육사, 윤동주, 이상, 김동리 (무녀도, 황토기)

 8. 지식인 소설, 농촌 소설, 역사 소설, 가족사 소설

 9. 현대극 - 극예술 연구회, 해외 문학파


<2> 동인지, 잡지


Ⅰ. 동인지, 잡지

  시문학 → 문예월간 → 삼사 문학 → 문학 → 조선 문학 → 시원 → 조광

  → 시인 부락 → 자오선 → 문장 → 인문 평론


Ⅱ. 특색


1. 순수 문학의 옹호지


 (1) 시문학

   1) 김영랑, 박용철, 이하윤, 정지용, 신석정

   2) 언어의 미감, 음악성을 추구하는 순수 서정시


 (2) 문예월간

   1) 박용철, 이하윤, 정지용

   2) 순문예 종합지, 시문학파에 해외 문학파적 성격


 (3) 문학

  1) 박용철

  2) 순수문학


 (4) 시원

  1) 모윤숙, 노천명

  2) 창작시, 외국시, 시론


2. 일제 말의 2대 문예지

 

 (1) 문장

  1) 동양적인 문예지

  2) 청록파 (박두진, 조지훈, 박목월)  /  시조 작가 (김상옥, 이호우)  /  임옥인 / 최태응


 (2) 인문평론

  1) 서구적 문예지

  2) 최후에 국민 문학으로 개칭 친일 어용지로 전락함



3. 기타 문예지


 (1) 삼사 문학

  1) 조풍연, 신백수

  2) 주지주의


 (2) 시인 부락

  1) 서정주, 김동리(생명파), 김달진

  2) 인간과 생명, 그 자체에 집요한 관심

  3) 화사, 문둥이 발표


 (3) 자오선

  1) 이육사, 김광균, 신석초

  2) 모든 경향과 유파를 초월한 시 전문 동인지  


<3> 시파


cf. 낭만 계급 민족 (20) → 30 시문학파(순수시파) → 주지파 (모더니즘, 이상)

    → 생명파 (인상파 36) → 청록파 (자연파 39)



Ⅰ. 시문학파 (순수시파)

 1. 김영랑(윤식), 박용철, 이하윤, 정지용, 신석정

 2. 카프 배격

 3. 유미, 상징주의적 경향, 아름다운 가락, 음악성


Ⅱ. 주지시파 (모더니즘)

 1. 최재서, 김기림, 김광균, 정지용, 장만영, 이상

 2. 낭만적 감성과 음악성을 배격

 3. 지성과 논리

 4. 이미지, 시각적 심상 위주

 5. 회화성 중시

 6. 상황적 인식, 비판적 감수성 표출

 7. 시가 언어 예술이라는 점을 깨닫지 못했다.

 8. 생명파의 반발


Ⅲ. 전원시파

 1. 신석정, 김동명, 김상용

 2. 자연 친화적, 관조적, 자조적 태도, 서경적 묘사


Ⅳ. 생명파 (인생파)

 1. 서정주, 유치환, 김동리

 2. 이간주의 문학, 낭만주의

 3. 배경 문예지 - 시인 부락, 생리

 4. 휴머니즘 문학은 순수 문학으로 발전


 


Ⅴ. 청록파 (자연파)

 1. 조지훈, 박두진, 박목월

 2. 주지시에 대한 반발

 3. 향토적 정서, 전통 회귀 정신을 강조

 4. ‘청록집’ 이라는 해방 이후 최초의 시집을 공동을 간행

 5. 자연 그 자체로 독립된 정서

 6. 박두진 - 기독교적인 세계

 7. 박목월 - 자연친화적 세계

 8. 조지훈 - 불교적인 선의 세계






<4> 시


1. 김영랑 (윤식)

 (1) 순수, 서정

 (2) 모란이 피기까지는, 내 마음을 아실 이, 돌담에 소색이는 햇발같이, 오월

     동백잎에 빛나는 마음, 북, 독을 차고

 

2. 박용철

 (1) 순수성

 (2) 떠나가는 배

  

3. 신석정

 (1) 전원적, 자연적, 목가적 서정시

 (2)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아직 촛볼을 켤 때가 아닙니다, 슬픈 구도, 임께서 부르시면, 꽃덤불

  

4. 김기림 (편석촌)

 (1) 주지주의

 (2) 기상도, 바다와 나비


5. 정지용

 (1) 주지시파

 (2) 향수, 유리창, 별, 백록담

  

6. 김광균

 (1) 자오선의 동인

 (2) 도시적 소재, 공감각적 심상, 시각적 심상, 모더니즘 시

 (3) 와사등, 기항지, 황혼가

 

7. 김상용

 (1) 돋양적 관조

 (2) 남으로 창을 내겠소


8. 서정주 (미당)

 (1) 악마주의적 경향, 생명 추구

 (2) 불교적 상상력, 정신주의, 신비주의적 색체

 (3) 화사집, 귀촉도, 신라초, 동천, 질마재 신화, 문동이, 자화상, 추천사, 국화 옆에서




  

9. 유치환 (청마)

 (1) 생명파

 (2) 낭만적, 상징적 경향

 (3) 허무와 의지의 시인

 (4) 깃발, 울릉도, 바위, 일월, 생명의 서

  

10. 이육사 (원록)

 (1) 남성적 대결 정신, 저항시인

 (2) 유고시집 - 육사 시집

 (3) 황혼, 절정, 청포도, 교목, 황야, 꽃


11. 윤동주

 (1) 무끄러움의 미학

 (2) 유고 시집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3) 서시, 별 헤는 밤, 간, 자화상, 참회록, 십자가, 쉽게 씌어진 시, 또 다른 고향


12. 조지훈 (동탁)

 (1) 청록파

 (2) 회고적, 민속적인 제재

 (3) 봉황수, 완화삼, 승무, 고풍 의상

 (4) 수필 - 지조론, 돌의 미학


13. 박두진 (혜산)

 (1) 기독교적

 (2) 해, 오도, 거미와 성좌, 하얀 날개, 사도행전, 수서열전, 향현, 묘지송, 해, 청산도, 낙엽송, 도봉, 어서 너는 오너라


14. 박목월 (영종)

 (1) 토속적 언어, 정형적, 민요적 율격, 간결한 이미지

 (2) 윤사월, 나그네, 청노루, 산도화, 경상도의 가랑입, 청담



<5> 문학 단체, 소설 유형


Ⅰ. 구인회

 1. 김유영의 발기 - 이무영, 김기림, 유치진, 이태준, 이효석, 조용만, 정지용

 2. 박태원, 이상, 박팔양, 김유정, 김환태 참가

 3. 예술 지상주의, 유미적 경향


Ⅱ. 농촌 소설

 1. 브나로드 운동 (농촌 계몽)

 2. 계몽적 - 이광수 ‘흙’ / 심훈 ‘상록수’

 3. 프로 문학 - 이기영 ‘고향’ / 조명희 ‘낙동강’

 4. 농촌 중시

  (1) 이무영 - 제1과 제1장, 흙의 노예, 농민

  (2) 박영준 - 모범 경작생, 목화씨 뿌릴 때

  (3) 김유정 - 만무방  /  김정한 - 사하촌  /  박화성 - 한귀 

 




Ⅲ. 역사 소설

 1. 김동인 - 젊은 그들, 운현궁의 봄

 2. 이광수 - 이차돈의 사, 이순신

 3. 현진건 - 무영탑

 4. 박종화 - 금삼의 피, 대춘부


<6> 소설


 1. 유진오

  (1) 동반자 작가

  (2) 경향파적 - 여직공, 5월의 구직자 / 김 강사와 T교수


 2. 이효석

  (1) 동반자, 구인회

  (2) 경향파적 성향, 사회적 모순 → 자연 문학, 심미주의 세계, 성적 모티브, 향토적

  (3)  세련된 언어, 풍부한 어휘, 시적 분위기

  (4) 경향파적 - 도시와 유령, 노령 근해, 북국 통신

  (5) 메밀꽃 필 무렵, 산, 돈, 들, 장미 병들다, 화분, 벽공 무한, 청포도 사랑


 3. 이상 (김해경)

  (1) 심리주의 작가, 초현실주의 작가

  (2) 자의식의 작가, 초현실주의 시인, 소외의식, 자아 각성의 문제, 공포의식

  (3) 거울, 오감도, 이상한 가역 반응, 날개, 종생기, 권태


 4. 채만식

  (1) 사회 풍자적

  (2) 아이러니(반어)의 미학

  (3) 탁류, 레디메이드 인생, 태평천하, 치숙, 명일, 소년은 자란다, 논 이야기, 인테리와 빈대떡


지식인 소설

반어적 제목

 1) 김강사와 T교수

 2) 날개

 3) 레디메이드 인생

 4) 표본실 청개구리

 5) 구보씨의 일일

 6) 술 권하는 사회

 1) 운수 좋은 날

 2) 화수분

 3) 태평천하

 4) 모범 경작생

 5) B사감과 러브레터

  


 5. 김유정

  (1) 해학, 골계미, 우회적으로 표현, 회화적

  (2) 구인회 일원

  (3) 토속어, 방언, 궁핍한 농촌 문제

  (4) 동백꽃, 봄봄, 소낙비, 산골나그네, 금 따는 콩밭, 만무방


6. 김동리

 (1) 순수 문학

 (2) 화랑의 후예, 산화, 무녀도, 을화, 등신불, 사반의 십자가, 역마, 황토기, 바위, 혈거부족, 귀환장정, 흥남철수,

     실존무, 까치 소리



7. 황순원

  (1) 절제된 문장 양식

  (2) 독 짓는 늙은이, 학, 목넘이 마을의 개, 카인의 후예, 소나기, 별, 인간 접목, 나무들 비탈에 서다

  (3) 카인의 후예- 북한에서의 토지 개혁을 중심


 8. 정비석 - 성황당, 졸곡제, 자유부인

  

9. 계용묵 - 백치 아다다

  

 10. 안수길 - 북간도, 제3인간형, 적십자 병원장

        

 11. 박태원

  (1) 반계몽주의, 반계급주의

  (2)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천변 풍경, 권태


<7> 희곡, 비평, 수필


Ⅰ. 희곡

 1. 해외 문학파 중심

 2. 극예술 연구회 - 해외 문학파, 유치진(토막, 소), 창작극, 전문극

 3. 사실주의 희곡이 성행


Ⅱ. 비평

 1. 순수 문학 옹호 -박용철, 김환태, 김문집

 2. 주지주의 비평가들 - 최재서, 김기림

 3. 휴머니즘, 행동주의 - 백철

 4. 춘원 연구 - 김동인


Ⅲ. 수필 - 김진섭, 이양하


[5] 광복 이후


1. 민족주의 문학

2. 중간적 = 염상섭, 황순원, 최정희, 박영준, 백철

3. 좌익 = 조선 문학가 동맹

  1) 조선 문학 건설 본부 - 임화, 이태준, 김기림, 김남천

  2)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 동맹 - 이기영, 한설야, 송영, 윤기정

4. 우익 = 전 조선 문필가 협회

 1) 중앙 문화 협회 - 김영랑, 변영로, 오상순, 김진섭, 박종화

 2) 조선 청년 문학가 협회 - 김동리, 조연현, 서정주, 조지훈

5. 6·25 전쟁의 체험, 패배 의식, 허무주의

6. 주지주의 문학, 순수 문학

7. 민족 문학론, 대중화 현상


8. 양상


(1)

 1) 광복 직후

   a. 좌익 계열 광복 노래, 오장환

   b. 유고시집 - 이육사, 윤동주

   c. 청록집 - 조지훈, 박두진, 박목월  /  유치환 - 생명의 서  /  서정주 - 귀촉도

 2) 50년대

   a. 신석정 ‘산의 서곡’  /  유치환 ‘보병과 더불어’  /  조지훈 ‘다부원에서’  /  구상 ‘적군 묘지 앞에서’

   b. 모더니즘 계승 - 김수영, 박인환, 김경린, 김규동

   c. 주지주의적 경향 - 김광림, 전봉건, 김종삼

 3) 60·70년대

   a. 신도엽, 김수영

   b. 민중시 - 신경림, 이성부, 조태일, 최하림, 정희성

   c. 김광섭, 김현승, 고은, 김지하


 4) 김수영 -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 달나라의 장난

 5) 박인환 - 목마와 숙녀

 6) 구상 - 시집 구상, 초토의 시


(2) 소설


 1) 광복 직후

  a. 사회 현실의 모습 비판

  b. 채만식의 논이야기

  c. 염상섭 - 두파산

  d. 계용묵의 - 별을 헨다

  e. 순수소설 - 김동리 ‘역마’  /  황순원 ‘목넘이 마을의 개’, ‘독 짓는 늙은이’


 2) 50년대

  a. 전쟁의 비극 - 장요학 ‘요한시집’  /  오상원 ‘유예’  /  선우휘 ‘불꽃’  /  전광용 ‘사수’

  b. 전쟁 치유  -  황순원 ‘학’  /  하근찬 ‘수난이대’

  c. 전후의 비참한 세태 - 손창섭 ‘비 오는 날’  /  이범선 ‘오발탄’

  d. 기타 전후 -  박영준 ‘용초도 근해’  /  김동리 ‘귀환 장정’, ‘흥남 철수’  /  안수길 ‘제3인간형’

                  황순원 ‘카인의 후예’, ‘나무들 비탈에 서다’ / 이범선 ‘학마을 사람들’

                  박완서 ‘나목’  /  윤홍길 ‘장마’  /  현기영 ‘순이 삼촌’

  e. 인간의 본질적인 삶을 다룬 순수 소설 - 오영수 ‘갯마을’  /  전광용 ‘흑산도’


3) 60·70년대

 a. 4`19혁명 실패, 지식인의 좌절 - 김승옥 ‘무진기행’, ‘서울,1964년 겨울’  /  이청준 ‘병신과 머저리’

 b. 분단의 세계사적 맥락 - 최인훈 ‘광장;  /  윤홍길 ’장마‘

 c. 산업화 - 황석영 ‘삼포가는 길’  /  조세희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윤홍길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  이문구 ‘관촌수필’

 d. 현실 비판 인식 - 김정한 ‘모래톱 이야기’  /  전광용 ‘꺼삐딴 리’

 e. 인간의 본질 - 김동리 ‘등신불’  /  오영수 ‘머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