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국문학사] 민속극, 수필, 번역문학

by 소이나는 2012. 9. 25.
반응형


 

민속극, 수필·번역문학


<1> 민속극


Ⅰ. 특성

 1. 가장한 배우가 대화, 몸짓

 2. 서민


Ⅱ. 유형


1. 탈춤(가면극)

 (1) 탈춤 (해서) - 봉산, 강령, 은율, 해주

 (2) 산대놀이 (중부) -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3) 오광대놀이 (경남) - 통영, 고성

 (4) 야유 (부산) - 수성, 동래


2. 꼭두각시 놀음 = 박첨지놀음, 홍동지 놀음 - 남사당패


3. 그림자극

 (1) 남사당패 - 우두머리 (꼭두쇠) / 기획자 (곰뱅이쇠) / 선임자 (뜬쇠) / 기능자 (가열)

                초심자 (삐리)  /  기능을 상실한 노인 (저승패)  /  등짐꾼 (나귀쇠)

 (2) 남사당놀이

     풍물(농악)  /  버나 (접시돌리기)   /  살판 (땅재주)  / 어름 (줄타기)  / 덧뵈기 (탈놀음) / 덜미 (꼭두각시)

 





전통극

서양 연극

현실비판, 풍자, 관객개입

줄거리가 독립적, 제약 별로 없다.

공연 장소와 극중 장소가 같다.

예술적, 관객은 방관자,

줄거리가 유기적, 공간 시간의 제약

공연 장소와 극중 장소가 다르다.

가장 한 배우가 한다.



<2> 수필


Ⅰ. 국문수필

 

1. 일기체

 (1) 산성일기 - 남한산성 = 객관적, 사실적

 (2) 화성일기 - 정조

 (3) 의유당일기 - 영조


2. 기행 수필

 (1) 연행록 - 김창집이 북경갈 때 김창업이 기록

 (2) 무오연행록 - 정조때 서장관이 중국갔다 견문 기록, 산문체


3. 제문형식

 (1) 제문 - 연령군의 죽음

 (2) 조침문 - 바늘을 부러뜨린 심회를 의인체로 씀





4. 궁정 수필

 (1) 계축일기 - 광해군이 인목 대비의 아들 영ㅇ창대군을 죽이고 대비 폐 = 서궁록

 (2) 인현왕후전 - 장희빈

 (3) 한중록 - 혜경궁 홍씽와 사도세자


* 계축일기 → 산성일기 → 인현왕후전 → 한중록


5. 기타

 (1) 윤씨행장(김만중) - 어머니 추모

 (2) 어우야담 (유몽인)

 (3) 요로원야화기 (박두세) - 선비 병폐

 (4) 규중칠우쟁론기 - 쟁공을 쓴 글


Ⅱ. 한문수필

 

1.  삼국시대

 (1) 화왕계 (설총) - 꽃 의인화

 (2) 왕오천축국전 (혜초) - 인도

2. 고려

 (1) 패관문학 - 파한집 (이인로), 보한집(최자), 역옹패설(이제현), 백운소설(이규보)

 (2) 이규보 - 슬견설, 경설, 이옥설  /  이곡 - 차마설

3. 조선 후기

 (1) 순오지

 (2) 서포만필 (김만중) - 국어 존중론

 (3) 열하일기

 (4) 경수당전고



<3> 번역 문학


* 번역서

 

1. 불경

 (1) 석보상절 - 수양대군

 (2) 월인석보

 (3) 능엄경언해   /   묘법연화경언해   / 원각영언해


2. 문학서

 (1) 두시언해 - 최초의 번역 시집

 (2) 연주시격언해   /  황산곡시집언해   / 백련초해


3. 경서

 (1) 내훈 - 수신서

 (2) 삼강행실도 - 성종

 (3) 번역 소학 - 김전, 최숙생 (중종)

 (4) 여씨향약언해 (김안국)

 (5) 소학언해 (선조 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