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일 신라의 중앙 정치의 정비
(1) 중앙 관제
1) 국왕중심
a. 장관복수제
b. 병부 강화 - 6관등제 / 대아찬에서 태대각간까지로 높임 → 재상, 사신을 겸직
2) 시중(중시)의 지위를 강화
a. 화백회의 보완
b. 왕의 지배를 받는 행정부적 성격
c. 장관인 중시는 상대등보다 중요시 되는 경우가 있었다.
3) 총괄 최고 관부 부재
4) 복합적 관직제도 - 6전 조직 / 5등관제 - 영, 경, 대, 사지, 사
5) 골품제와 관질 밀착 운용
6) 왕실 국가 사무 분리 → 3궁 통합 때부터 본격화
7) 사정부 : 감찰기관
(2) 14개 관청 정비 : 집사부 아래 위화부 등 13부를 두고 행정 업무 분담 (횡적 편제 - 병렬적, 독립)
(3) 민족 융합 정책
1) 고구려·백제 관리 흡수 : 고구려 왕족인 안승을 보덕왕으로 우대
2) 9서당 편성 : 민족 융합 정책 (∵ 유민을 중앙군에)
(4) 중국식 명칭 : 집권력 강화
2. 통일 신라의 지방 제도 : 9주 5소경
(1) 9주
1) 장관
a. 명칭 변경 = 군주 ➝ 총관 ➝ 도독 (∵ 군사적 성격에서 점차 행정적으로 변해갔다.)
b. 6두품도 취임은 가능 했지만, 진골이 독점 (단서에 ‘진골만’이라 달음)
2) 촌주
3) 신라·가야 3주, 백제 3주, 고구려 3주
4) 외사정 파견 (감찰임무) : 중앙 집권적 통치 조직 강화 (문무왕 - 주마다 2인의 외사정) cf. 중앙에는 ‘내사정’
(2) 5소경
1) 군사, 행정, 수도가 구석이라는 약점 보완, 피정복민 회유·감시, 문화보급
2) 장관 - ‘사신’
3) 충주 - 가장 일찍 소경설치 (우륵, 강수, 김생 등 가야계 귀족들이 사민)
(3) 군 - 태수 / 1인 외사정
(4) 현 - ‘소수’, ‘현령’파견
(5) 상수리 제도 : 지방 호족을 상경
(6) 특수 행정구역 - 향·부곡·성 설치 (‘소’는 無 → 고려 때)
서원경 (청주) 1) 민정문서, 2) 서원향약(이이), 3) 이인좌의 난, 4) 직지심체요절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