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남북국] 5. 통일신라의 통치체제 (통일신라 정치조직, 통일신라 중앙관제, 통일신라 지방조직, 9주 5소경, 상수리제도)

by 소이나는 2012. 5. 3.
반응형

 

 

 

 

1. 통일 신라의 중앙 정치의 정비


(1) 중앙 관제
  1) 국왕중심
     a. 장관복수제
     b. 병부 강화 - 6관등제 / 대아찬에서 태대각간까지로 높임 → 재상, 사신을 겸직
  2) 시중(중시)의 지위를 강화
     a. 화백회의 보완
     b. 왕의 지배를 받는 행정부적 성격
     c. 장관인 중시는 상대등보다 중요시 되는 경우가 있었다.
  3) 총괄 최고 관부 부재
  4) 복합적 관직제도 - 6전 조직 / 5등관제 - 영, 경, 대, 사지, 사
  5) 골품제와 관질 밀착 운용
  6) 왕실 국가 사무 분리 → 3궁 통합 때부터 본격화
  7) 사정부 : 감찰기관

(2) 14개 관청 정비 : 집사부 아래 위화부13부를 두고 행정 업무 분담 (횡적 편제 - 병렬적, 독립)

(3) 민족 융합 정책
  1) 고구려·백제 관리 흡수 : 고구려 왕족인 안승을 보덕왕으로 우대
  2) 9서당 편성 : 민족 융합 정책 (∵ 유민을 중앙군에)

(4) 중국식 명칭 : 집권력 강화


2. 통일 신라의 지방 제도 : 9주 5소경

(1) 9주
  1) 장관
      a. 명칭 변경 = 군주 ➝ 총관 ➝ 도독 (∵ 군사적 성격에서 점차 행정적으로 변해갔다.)
      b. 6두품도 취임은 가능 했지만, 진골이 독점 (단서에 ‘진골만’이라 달음)
  2) 촌주
  3) 신라·가야 3주, 백제 3주, 고구려 3주
  4) 외사정 파견 (감찰임무) : 중앙 집권적 통치 조직 강화 (문무왕 - 주마다 2인의 외사정) cf. 중앙에는 ‘내사정’

(2) 5소경
  1) 군사, 행정, 수도가 구석이라는 약점 보완, 피정복민 회유·감시, 문화보급
  2) 장관 - ‘사신’
  3) 충주 - 가장 일찍 소경설치 (우륵, 강수, 김생 등 가야계 귀족들이 사민)

(3) 군 - 태수 / 1인 외사정

(4) 현 - ‘소수’, ‘현령’파견

(5) 상수리 제도 : 지방 호족을 상경

(6) 특수 행정구역 - 향·부곡·성 설치 (‘소’는 無 → 고려 때)






서원경 (청주) 1) 민정문서, 2) 서원향약(이이), 3) 이인좌의 난, 4) 직지심체요절
중원경 - 2소경에도 있음, (통일 전에 설치)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북국] 10. 남북국의 예술 (통일신라의 예술, 발해의 예술 - 불국사, 석굴암, 다보탑, 석가탑, 안압지, 14면체 주사위, 오대산 상원사종, 에밀레종, 김생, 보상화무늬 벽돌, 이불병좌상, 발해석..  (0) 2012.05.05
[남북국] 9. 남북국 시대의 경제 (통일신라의 경제, 발해의 경제, 민정문서, 연수유답, 장보고, 신라장적)  (1) 2012.05.04
[남북국] 8. 남북국 시대의 사회, 생활 (통일신라의 사회`생활, 발해의 사회)  (0) 2012.05.04
[남북국] 7. 남북국의 군사조직 (통일 신라의 군사 조직, 발해의 군사조직, 9서당 10정, 10위)  (0) 2012.05.04
[남북국] 6. 발해의 통치체제 (발해 정치조직, 발해 중앙관제, 발해 지방조직, 3성 6부)  (0) 2012.05.04
[남북국] 3. 신라 말기(통일신라)의 정치 변동과 호족 세력의 성장 (선덕왕, 원성왕, 애장왕, 헌덕왕, 흥덕왕, 경문왕, 진성여왕, 김헌창의 난, 김범문의 난, 독서삼품과, 청해진, 장보고)  (0) 2012.05.03
[남북국] 2. 신라 중대의 발전 (무열왕, 문무왕, 신문왕, 성덕왕, 경덕왕, 혜공왕, 만파식적, 96각간의 난)  (0) 2012.05.03
[남북국] 4. 발해 (대조영, 무왕, 문왕, 선왕, 발해 건국, 발해 멸망, 발해 대외관계)  (0) 2012.05.03
[남북국] 1. 통일신라 시대의 정치 변화 표  (0) 2012.05.02
[삼국, 남북국] 26. 고대 문화의 일본전파 (삼국 문화의 일본전파, 일본 호류사 금당벽화, 일본 목조 미륵반가사유상, 다카마쓰 고분 벽화, 수산리 고분벽화)  (0) 2012.05.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