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파, 정파의 형성
(1) 학파 - 16세기 중반, 서원 중심
(2) 정파의 형성 - 동인, 서인
2. 영남학파, 기호학파
|
영남학파 |
기호학파 | ||
학설 |
주리설 (이기 이원론) |
주기설 (일원론적 이기 이원론) | ||
붕당 |
동인 (선조 때 집권) |
서인 (인조반정 이후 집권) | ||
정여립 모반사건으로 분열 |
정책 수립, 상대 붕당 탄압 과정에서 보수와 혁신 | |||
남인 (유성룡) - 처음 |
북인 (이발) - 광해군 |
노론 (송시열) |
소론(윤증) | |
학통 |
이황 계승 |
서경덕, 조식 계승 |
이이 계승 |
성혼 계승 |
학파 |
퇴계 학파 |
화담·남영 학파 |
율곡 학파 |
우계 학파 |
경향 |
서원·향촌에 영향력 수취체제 완화 자영농 육성 왕권강화 (갑인예송, 기사환국) |
절의 중시 정인홍·곽재우 의병장 배출 중립정치 |
정통 성리학자 자처 조선 후기 정치 주도 대의명분, 민생안정 ‘주자’중심 절대시 |
성리학 이해에 탄력적 이황에 호의적 윤휴 학설 두둔 양명학과 노장사상에 관심 적극적 북방개척 |
분파 |
남인 경기도 - 독자적 철학 체계 구축 (이익, 정약용) 경상도 - 이황의 학통을 정통으로 계승 |
노론 서울 - 주리론도 포괄적으로 이해 충청도 - 주기론 고집 |
cf. 서경덕은 영남학파, 북인이면서 주기론
3. 주리설, 주기설
(1) 주리설 - 기정진을 중심으로 이의 절대성을 강조하는 이일원론으로 정립
(2) 주기설 - 한원진, 임성주 계승, 19세기에는 최한기가 경험주의 철학 수준으로 올림
cf) 최한기
1) ‘명남루총서’ 지음 - 1천여권에 달하는 분량 (soy한국사)
2) 실학자 - 19c 서양과학기술 도입에 앞장
4. 성리학의 이론 논쟁
(1) 이기론 중심 - 이황 vs 이이
(2) 심성론 중심
1) 16세기 - 이황 vs 기대승 = 사단 칠정 논쟁
2) 17세기 - 주자성리학 절대화, 주자성리학 비판 대두(이수광, 최명길, 허균, 유몽인, 한백겸)
3) 18세기 : 노론중심 - 인간과 사물의 본성이 같은가 = 호락논쟁
* 주자 성리학 (1) 이 - 우주 만물의 본질은 순수하고 착한 형이상의 이, 만물은 착하고 평등 (2) 기 - ‘이’가 발현되는 형이하의 모습, ‘기’의 세계는 천차만별 (3) 심(心) 1) 성(性) - 심이 아직 발동되지 않은 상태 2) 정(情) - 심이 이미 발동한 상태 → 4단, 7정 3) 4단 - 측은지심 / 수오지심 / 사양지심 / 시비지심 → 인의예지의 실마리 4) 7정 - 희·로·애·락·애·오·욕 (7가지 감정)
* 주기설 - 사물의 법칙성을 객관적으로 파악 * 주리설 - 인간의 내적 경험을 중요시 * 이 - 보편성 설명 * 기 - 차별성 설명
* 사단 칠정 논쟁 1) 정지운의 ‘천명도설’을 이황이 수정, 개작한 것에 비롯, 2) 정지운 - “사단은 이에 발현하고 칠정은 기에서 발현한다.” 이황 - “사단은 이가 발현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현한 것이다. ➝ 기대승이 이황의 칠정설에 의문 제기 - 사단이 부분적인 정이고 칠정이 전체적인 정이라는 차이밖에 없다. 다른 것이 아니다. 라고 함 3) 조선의 성리학 발전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 4) 이 논쟁을 계리고 성리학파가 형성 5) 사단과 칠정은 모두 마음의 작용을 설명하는 개념 6) 이이는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에서 발한 것이라고 하였다. (기질지성)
|
(3) 호락논쟁
1) 조선후기에 성리학의 심성론 심화과정에서 등장
2) 노론 내부, 호론과 낙론 = 인물성동이 논쟁 전개
3) 배경 - 소중화·배청 사상에 대한 반성
4) 송시열 제자인 권상하의 제자 한원진(호론) vs 이간(낙론)
|
호 론 |
낙 론 |
지역 |
충청도 지방 노론 |
서울·경기 노론 |
인물 |
한원진, 권상하 |
이간, 김창협, 이재, 김원생 |
주장 |
인물성 이론 - 기의 차별성 강조 |
인물성 동론 - 이의 보편성 강조 |
특징 |
우리 문화 자부심 - 청·서양에 배타적 (화이론) |
청·서양 포용 |
영향 |
위정척사 사상, 흥선대원군 |
북학 사상에 영향 (북벌론, 북학론), 박규수, 오경석 |
사료 |
물에도 인의예지라는 도덕성이 있다. 인간은 그 전체를 가지고 있지만, 물은 일부분만 가지고 있다. 사람과 동물이 인의예지신과 같은 고차원적인 도덕성에서는 본질적인 차이를 갖는다. |
음양오행의 기로 이인 오상, 즉 인의예지신의 도덕성을 균등하게 부여받았다. 하늘이라는 절대적 관심에서 보면 사람과 사물은 동등하다. |
[참고]
* 인물성동론 1) 신분제 철폐주장의 바탕 2) 화이관의 변화를 가져오는 논리적 근거를 제시 ➝ 중국 중심세계관에서 벗어나는데 기여 3) 성리학적 세계관을 비판하는 근거 * 영조는 낙파의 지지를 받았다.
* 만동묘 - 송시열의 유지에 따라 왜란 때 도와준 명의 신종과 의종을 제사지내기 위해 건립
* 실학 : 18세기 초 - 경세치용학파 → 18세기 중 - 이용후생학파 * 서학 전래 - 18세기 * 19세기 - 고증학에 치중
* 문묘 1. 문묘 - 공자를 모시는 사당 2. 문묘 배향 - 공자의 제자나 학식 있는 학자들을 배향, 신라시대부터 행해짐 3. 우리나라 유현 (1) 고려 - 최치원, 설총, 안향 (2) 조선 - 정몽주, 정여창, 김굉필, 이언적, 조광조, 김인후, 이황, 이이, 성혼, 조헌 김장생, 송시열, 김집, 박세채, 송준길, 최치원, 설총, 안향 (X- 조식)
|
5. 학파의 대립
(1) 북인
1) 적극적인 사회 경제 정책 추진 - 대동법 시행, 은광 개발
2) 중립 외교
(2) 서인 - 주자 중심의 성리학 강조 - 인조반정 (반청 정책)
* [조선] 19. 조선시대 성리학의 발달 - 보기 클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