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19-3. 조선시대 성리학 학파의 형성 (영남학파, 기호학파, 낙론, 호론, 호락논쟁, 남인, 북인, 서인, 노론, 소론, 최한기, 주자성리학, 사단칠정, 인물성동론)

by 소이나는 2012. 5. 20.
반응형

 

 

 

 

1. 학파, 정파의 형성

  (1) 학파 - 16세기 중반, 서원 중심

  (2) 정파의 형성 - 동인, 서인


 2. 영남학파, 기호학파 

 

영남학파

기호학파

학설

주리설 (이기 이원론)

주기설 (일원론적 이기 이원론)

붕당

동인 (선조 때 집권)

서인 (인조반정 이후 집권)

정여립 모반사건으로 분열

정책 수립, 상대 붕당 탄압 과정에서 보수와 혁신

남인 (유성룡) - 처음

북인 (이발) - 광해군

노론 (송시열)

소론(윤증)

학통

이황 계승

서경덕, 조식 계승

이이 계승

성혼 계승

학파

퇴계 학파

화담·남영 학파

율곡 학파

우계 학파

경향

서원·향촌에 영향력

수취체제 완화

자영농 육성

왕권강화

(갑인예송, 기사환국)

절의 중시

정인홍·곽재우

의병장 배출

중립정치

정통 성리학자 자처

조선 후기 정치 주도

대의명분, 민생안정

‘주자’중심 절대시

성리학 이해에 탄력적

이황에 호의적

윤휴 학설 두둔

양명학과 노장사상에 관심

적극적 북방개척

분파

남인 

 경기도 - 독자적 철학 체계 구축 (이익, 정약용)

 경상도 - 이황의 학통을 정통으로 계승

노론

 서울 - 주리론도 포괄적으로 이해

 충청도 - 주기론 고집

 cf. 서경덕은 영남학파, 북인이면서 주기론



3. 주리설, 주기설

  (1) 주설 - 기정진을 중심으로 이의 절대성을 강조하는 이일원론으로 정립

  (2) 주설 - 한원진, 임성주 계승, 19세기에는 최한기경험주의 철학 수준으로 올림


  cf) 최한기

    1) ‘명남루총서’ 지음 - 1천여권에 달하는 분량      (soy한국사)

    2) 실학자 - 19c 서양과학기술 도입에 앞장


 4. 성리학의 이론 논쟁

  (1) 이기론 중심 - 이황 vs 이이  

  (2) 심성론 중심

   1) 16세기 - 이황 vs 기대승 = 사단 칠정 논쟁

   2) 17세기 - 주자성리학 절대화, 주자성리학 비판 대두(이수광, 최명길, 허균, 유몽인, 한백겸)

   3) 18세기 : 노론중심 - 인간과 사물의 본성이 같은가 = 호락논쟁







 

* 주자 성리학

  (1) 이 - 우주 만물의 본질은 순수하고 착한 형이상의 이, 만물은 착하고 평등

  (2) 기 - ‘이’가 발현되는 형이하의 모습, ‘기’의 세계는 천차만별

  (3) 심(心)

     1) 성(性) - 심이 아직 발동되지 않은 상태

     2) 정(情) - 심이 이미 발동한 상태 → 4단, 7정

     3) 4단 - 측은지심 / 수오지심 / 사양지심 / 시비지심 → 인의예지의 실마리

     4) 7정 - 희·로·애·락·애·오·욕 (7가지 감정)

 

* 주기설 - 사물의 법칙성을 객관적으로 파악

* 주리설 - 인간의 내적 경험을 중요시

* - 보편성 설명

* - 차별성 설명

 

* 사단 칠정 논쟁

  1) 정지운의 ‘천명도설’을 이황이 수정, 개작한 것에 비롯,

  2) 정지운 - “사단은 이에 발현하고 칠정은 기에서 발현한다.”

     이황 - “사단은 이가 발현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현한 것이다.

    ➝ 기대승이 이황의 칠정설에 의문 제기

      - 사단이 부분적인 정이고 칠정이 전체적인 정이라는 차이밖에 없다. 다른 것이 아니다. 라고 함

  3) 조선의 성리학 발전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

  4) 이 논쟁을 계리고 성리학파가 형성

  5) 사단과 칠정은 모두 마음의 작용을 설명하는 개념

  6) 이이는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에서 발한 것이라고 하였다. (기질지성)

 



  (3) 호락논쟁

   1) 조선후기에 성리학의 심성론 심화과정에서 등장

   2) 노론 내부, 호론과 낙론 = 인물성동이 논쟁 전개

   3) 배경 - 소중화·배청 사상에 대한 반성

   4) 송시열 제자인 권상하의 제자 한원진(호론) vs 이간(낙론)

 

호 론

낙 론

지역

충청도 지방 노론

서울·경기 노론

인물

 한원진, 권상하

 이간, 김창협, 이재, 김원생

주장

 인물성 론 - 의 차별성 강조

 인물성 론 - 의 보편성 강조

특징

 우리 문화 자부심 - 청·서양에 배타적 (화이론)

 청·서양 포용

영향

 위정척사 사상, 흥선대원군

 북학 사상에 영향 (북벌론, 북학론), 박규수, 오경석

사료

 물에도 인의예지라는 도덕성이 있다.

 인간은 그 전체를 가지고 있지만, 물은 일부분만

 가지고 있다. 사람과 동물이 인의예지신과 같은

 고차원적인 도덕성에서는 본질적인 차이를 갖는다.

 음양오행의 기로 이인 오상,

 즉 인의예지신의 도덕성을 균등하게 부여받았다.

 하늘이라는 절대적 관심에서 보면 사람과 사물은

 동등하다.

 

 

영남 기호학파 비교 호론 낙론 비교 표.hwp

 

 

[참고]

 

* 인물성동론

  1) 신분제 철폐주장의 바탕

  2) 화이관의 변화를 가져오는 논리적 근거를 제시 ➝ 중국 중심세계관에서 벗어나는데 기여

  3) 성리학적 세계관을 비판하는 근거

* 영조는 낙파의 지지를 받았다.

 

* 만동묘 - 송시열의 유지에 따라 왜란 때 도와준 명의 신종과 의종을 제사지내기 위해 건립 

 

* 실학 : 18세기 초 - 경세치용학파 → 18세기 중 - 이용후생학파

* 서학 전래 - 18세기

* 19세기 - 고증학에 치중

 

* 문묘

 1. 문묘 - 공자를 모시는 사당

 2. 문묘 배향 - 공자의 제자나 학식 있는 학자들을 배향, 신라시대부터 행해짐

 3. 우리나라 유현

  (1) 고려 - 최치원, 설총, 안향

  (2) 조선 - 정몽주, 정여창, 김굉필, 이언적, 조광조, 김인후, 이황, 이이, 성혼, 조헌

             김장생, 송시열, 김집, 박세채, 송준길, 최치원, 설총, 안향     (X- 조식)

  


 5. 학파의 대립

  (1) 북인

    1) 적극적인 사회 경제 정책 추진 - 대동법 시행, 은광 개발

    2) 중립 외교

  (2) 서인 - 주자 중심의 성리학 강조 - 인조반정 (반청 정책)

 

* [조선] 19. 조선시대 성리학의 발달 - 보기 클릭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1. 근대사회 (조선 후기 연표)  (0) 2012.05.22
[조선] 22. 조선 전기 문학, 조선 전기 예술 (동문선, 설화문학, 조선 전기 건축, 남이시, 경복궁, 창덕궁, 분청사기, 백자, 청화백자, 평양 보통문, 분청사기 박지연화문편병, 분청사기 조화박지..  (2) 2012.05.21
[조선] 21. 조선 전기 과학 기술의 발달 (자격루, 조선 천문학, 측우기, 앙부일구, 칠정산, 인지의, 규형, 물시계, 해시계, 천상열차분야지도, 조선 전기 농서, 최해산, 조선 전기 병서, 혼천의, 향..  (0) 2012.05.21
[조선] 20. 조선 전기 종교 (조선 불교, 조선 도교, 조선 민간신앙, 도참사상, 소격서, 원구단, 종묘, 사직, 석보상절, 참성단)  (0) 2012.05.21
[조선] 19. 조선시대 성리학의 발달  (3) 2012.05.20
[조선] 19-2. 조선시대 성리학의 융성 (화담 서경덕, 남명 조식, 회재 이언적, 주리론, 주기론, 이기론, 퇴계 이황, 율곡 이이, 이기 이원론, 성학십도, 이통기국론, 일원론적 이기 이원론, 이기호..  (2) 2012.05.20
[조선] 19-1. 조선시대 성리학의 정착 (관학파, 사학파, 훈구파, 사림파)  (0) 2012.05.20
[조선] 18. 조선 전기 문화의 융성 (한글 창제, 훈민정음, 조선 지리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조선방역지도, 팔도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해동제국기, 훈민정음 해례본, 팔도..  (0) 2012.05.19
[조선] 18-3. 조선 윤리서, 의례서, 법전의 편찬 (국조오례의, 이륜행실도, 동몽수지, 경국대전, 대전통편, 속대전, 경제육전, 경제문감, 대전회통)  (0) 2012.05.19
[조선] 18-2. 조선 전기 역사서의 편찬 (조선왕조실록, 고려사, 고려사절요, 고려국사, 동국사략, 의궤)  (0) 2012.05.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