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20. 조선 전기 종교 (조선 불교, 조선 도교, 조선 민간신앙, 도참사상, 소격서, 원구단, 종묘, 사직, 석보상절, 참성단)

by 소이나는 2012. 5. 21.
반응형

 

 

 

 

 

 

불교와 민간 신앙


Ⅰ. 불교의 정비

 

 1. 목적

  (1) 사회적 - 유교주의적 국가 기초 확립

  (2) 경제적 - 국가 재정을 확보



 2. 불교

  (1) 태조 - 도첩제(허가증) 실시 - 지나친 건립을 금지

     * 도첩제 - 포를 낸 사람만 승려 허가 (출가제한)

  (2) 태종 - 억불책 - 사원 정리, 몰수

  (3) 세종 - 선·교 양종으로 통합, 전국에 36개절만을 인정, 내불당

  (4) 성종 - 강력한 억불책 - 도첩제 폐지 (출가 자체를 금지) - 산간 불교

  (5) 세조 - 숭불

  (6) 중종 - 승과를 폐지 (조광조), 승인호패법 실시

  (7) 명종 - 승과 부활 (→ 문정왕후 사후 완전 폐지)


 3. 명맥 유지

  (1) 배경

   1) 민간 신앙으로 정착

   2) 호국적 - 왕실의 안녕 명복 기원

   3) 사회 통합 - 포용·융합

   4) 자주적

  (2) 보호책

   1) 세종 - 내불당을 설치, 불경을 간행(월인천강지곡),

            [석보상절] 수양 대군이 세종의 명을 받아 한글로 석가모니 일대기를 적음

   2) 세조 - 중흥 : 간경도감 설치 / 원각사 / 월인석보 / 영산회상(불교 음악 창시) / 도갑사 중창 /

   3) 명종 - 보우가 중용되고 승과 제도가 부활

   4) 16세기 후반 - 서산 대사 배출

      * 서산대사 - 「선가귀감」: ‘교는 부처의 말이요, 선은 부처의 마음’

   cf) 17세기 - 서원 건축 

   
   [석보상절]


 






 

Ⅱ. 도교와 민간 신앙

 

 1. 도교 보급 - 위축

  (1) 도교의 성격과 명맥 유지

   1) 무를 숭상 - 유교가 문을 숭상

   2) 초제 중시 - 하늘에 대한 제사를 중시, 민족의식 높임, 은둔과 신선 사상을 심음

  (2) 도교 행사

   1) 소격서 설치

     a. 조선시대 도교의 보존과 도교 의식을 위하여 설치한 예조의 기구

     b. 조선 초기 도교로 인한 재정의 낭비를 막으면서도 소격서를 두어 제천행사를 주관하였다.

     c. 참성단에서 일월성신에 대해 제사를 지내는 초제가 시행

   2) 원구단 설치 (세조) - 왕권 강화의 수단으로 설치 - 제천 행사

  (3) 16세기 사림 진출 이후 - 심성 중시 경향, 정신 수양에 도움


  
  [강화 마니산 참성단]

 2. 풍수지리설, 도참사상 - 초기에 중요

  (1) 한양 천도 - 풍수 사상

  (2) 산송 문제 - 묘소를 잘 써야 한다는 풍수설 - 산송문제가 16세기 이후 많이 발생


 3. 기타 민간 신앙

  (1) 평양에 있는 기자 사당 앞에 단군사당을 지어 명(明 )의 사신이 참배하도록 하였다.

  (2) 무격신앙·사신 사상·삼신숭배·촌락제

    * 구월산의 삼성사 - 환인, 환웅, 단군에게 제사

  (3) 세시풍속

  (4) 명당 선호 경향

  (5) 종묘(왕의 신주를 모시는 사당)와 사직(토지신, 곡식신) 건립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3-1. 조선 영조 (영조의 치적, 영조의 탕평책, 이인좌의 난, 임오화변, 사도세자, 청계천 준설, 균역법, 완론탕평, 기유대처분)  (0) 2012.05.22
[조선] 2. 조선 후기 통치 체제의 개편 (비변사 기능 강화, 조선 후기 군사제도, 조선 후기 중앙군, 5군영, 영장체제, 어영청, 수어청, 훈련도감)  (0) 2012.05.22
[조선] 1. 근대사회 (조선 후기 연표)  (0) 2012.05.22
[조선] 22. 조선 전기 문학, 조선 전기 예술 (동문선, 설화문학, 조선 전기 건축, 남이시, 경복궁, 창덕궁, 분청사기, 백자, 청화백자, 평양 보통문, 분청사기 박지연화문편병, 분청사기 조화박지..  (2) 2012.05.21
[조선] 21. 조선 전기 과학 기술의 발달 (자격루, 조선 천문학, 측우기, 앙부일구, 칠정산, 인지의, 규형, 물시계, 해시계, 천상열차분야지도, 조선 전기 농서, 최해산, 조선 전기 병서, 혼천의, 향..  (0) 2012.05.21
[조선] 19. 조선시대 성리학의 발달  (3) 2012.05.20
[조선] 19-3. 조선시대 성리학 학파의 형성 (영남학파, 기호학파, 낙론, 호론, 호락논쟁, 남인, 북인, 서인, 노론, 소론, 최한기, 주자성리학, 사단칠정, 인물성동론)  (5) 2012.05.20
[조선] 19-2. 조선시대 성리학의 융성 (화담 서경덕, 남명 조식, 회재 이언적, 주리론, 주기론, 이기론, 퇴계 이황, 율곡 이이, 이기 이원론, 성학십도, 이통기국론, 일원론적 이기 이원론, 이기호..  (2) 2012.05.20
[조선] 19-1. 조선시대 성리학의 정착 (관학파, 사학파, 훈구파, 사림파)  (0) 2012.05.20
[조선] 18. 조선 전기 문화의 융성 (한글 창제, 훈민정음, 조선 지리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조선방역지도, 팔도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해동제국기, 훈민정음 해례본, 팔도..  (0) 2012.05.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