Ⅶ. 통치 조직1. 정치 조직(1) 당제, 송제, 고려의 독자적인 제도 등 세 계통으로 구성, 운영(2) 성종 : 2성 6부제 확립 (중국 3성 6부를 받아들였지만 변형시켜 운영) ➝ 문종 때 완성(3) 주요 통치 기구들은 상하 2중으로 구성(4) 고위직자들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겸직제가 시행된 귀족적 체제: 도병마사, 식목도감, 음서(대표적), 공음전, 재추회의, 서경제도2. 중앙 정치 제도 (2성 6부)(1) 중서문하성 (中書門下省, 재부) : 최고 관서1) 문하시중이 국정 총괄2) 재신 (宰臣) : 2품 이상 ➝ 백관 통솔, 국가 중요 정책 심의•결정 (중서령 문하시중 ~ 지문하성사까지)3) 낭사 (郎舍, 간관) : 3품 이하의 관리 ➝ 간쟁, 봉박, 서경권 (관리 임명, 법 개정 등에 동의하는 권리)4) 당의 3성 모방 - 중서성 + 문하성5) 최고 상설기구6) 전신 : 광평성, 내사문하성(2) 중추원 (中樞院, 추부) - 송 모방1) 추밀 (樞密, 2품이상) : 군사 기밀 (도병마사, 식목도감에 참여)2) 승선 (承宣, 3품) a. 왕명 출납, b. 왕의 의사를 대변c. 내상, 용후직, 후설직의 별칭d. 백관의 장계나 소문 등의 품달 여부를 결정(3) 재신, 추밀 - 관부의 최고직, 핵심 (문벌귀족, 왕권 견제)(4) 재추회의 - 국가의 중대사를 회의로 결정(5) 도병마사 (都兵馬使)1) 성종 병마판사제 설치 유래 → 현종 임시기구로 완성2) 초기 : 재신과 추밀이 모여 국가 중대사(국정 전반에 걸친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고려, 고려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이건노이라요,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수정 : (11) 한림원 : ~ 문서 dhk → 문서와
주요사항 담당), 국방 담당하는 합좌 임시회의기구3) 후기 : 도평의사사(도당)으로 개편(충렬왕) = 최고 정무기관→ 왕권약화, 권문세족이 독점, 직접 국무결정, 도병마사•의정부보다 강력, 조선초기 왕권 중심으로 세분화 (6) 식목도감 (式目都監) : 재신과 추밀(2품)이 모여 법 제정, 격식문제 임시 회의 기구(재•추), 만장일치제(의합)* 중국과 다른 독자적인 특성의 두 기구 : 도병마사, 식목도감(7) 상서성 (尙書省)1) 백관을 거느리고 정책 집행2) 중서문하성에서 결정된 정책을 집행하는 실무기관에 불과3) 전신 : 내봉성4) 장관 = 상서 (X- 판서), 차관 = 시랑5) 밑에 6부 (六部)를 두었다. a. 이부 : 문관 임명b. 병부 : 무관 임명, 군사, 교통, 통신c. 호부 : 조세 등d. 형부 : 법률, 노비e. 예부 : 학교, 과거, 의례f. 공부 : 제작, 건축, 토목* 상서도성 - 유명무실 (8) 어사대 (御史臺) : 감찰, 탄핵, 서경권(署經權), 풍기 단속, 시정을 논집, 풍속정비(9) 삼사 (三司): 화폐, 곡식 출납, 회계 (세공, 녹봉) (송의 제도를 받아들임)cf) 조선의 삼사 :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 언론•학술기관 - 간쟁과 언론을 담당(10) 춘추관 : 국사(사서) 편찬(11) 한림원 : 표•전 등 외교 문서dhk 백성에게 내리는 교서 작성 cf) 조선시대 : 예문관cf) 비답(왕의 회답), 제고(장상 임명), 책문(왕족을 봉)(12) 대간 (臺諫 = 대성 = 성대) 1) 어사대, 중서문하성 낭사
2) 간쟁 (諫諍) : 왕의 잘못 논의3) 봉박 (封駁) : 잘못된 왕명 반환4) 서경권 (署經): 관리 임명(고신서경), 법 개정(의첩서경) 권한5) 탄핵6) 기능 - 고위 관료의 활동 견제, 균형* 왕권의 전제적 행사 제약(11) 사천대(서운관) - 천문과 역법 담당(12) 특징 : 세분화, 전문화1) 고려 : 관리임명, 법개폐 ➝ 어사대•중서문하성의 낭시의 동의2) 조선 : 5품이하 관리 임명시 ➝ 사헌부•사간원의 동의합좌의 예식은 먼저 온 사람이 자리를 떠나 북쪽을 향하여 서고, 뒤에 온 사람이 그 지위에 따라 한줄로 서서읍한 다음 함께 자리 앞에 이르러 남쪽을 향하여 두 번 절하고, 자리를 떠나 북쪽을 향하여 엎드려서서로 인사말을 주고 받는다. ~~ 녹사가 논의할 일을 앞에 가서 알리면, 각기 자신의 의사대로 각기 가부를 말한다. 녹사는 그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면서 논의가 한 가지로 결정되도록 하며, 그렇게 한 뒤에 시행한다.도병마사 - ‘역용패설’ 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