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군역 제도와 군사 조직(1) 중앙군1) 2군 6위a. 2군 : 친위 부대 → 응양군 - 무신기 ‘반주’, 용호군(친위대) (현종)b. 6위 : 수도경비 (좌우위, 신호위, 흥위위), 금오위(경찰), 천우위(의장), 감문위(궁문수비), 국경방어2) 직업군인 편성, 군인전을 받고 역은 세습 되었다. “이 군인은 나이 20세에 충원되어 전시과를 받고 60세가 되어 제대하였다. 제대할 때 자손이나 친척이 있는 자는 그 자손과 친척으로 하여금 이 군인직을 계승하게 하여 전시과를 넘겨 주고, 자손과 친척이 없는 자는 감문위(監門衛)에 소속시킨 다음 70세가 된 이후 그가 받은 전시과의 일부를 구분전(口分田)으로 주고 제대시켰다.” – 고려사3) 폐단 : 군인전도 지급 못 받자 몰락 (cf. 현종 때 군인전 폐지)4) 중방 (重房)a. 2군 6위의 상장군(정3품), 대장군(종3품)의 합좌기구b. 영의 지휘관 - 장군(정4품), 중랑장, 낭장, 별장, 산원,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고려, 고려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이건노이라요,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교위c. 역할 : 무신난 후, 정중부와 이의민 때 정치적 역할d. 하부 기구 : 각 영의 부대장인 장군(정4품)의 합의 기구로 장군 방 등이 있다.5) 선군a. 군호연립(계승)하지 못하여 새로 선발하는 제도b. 주 대상 = 백정과 천민(2) 지방군1) 주현군 (의무군) - 현종 9년a. 치안 - 정용군, 보승군b. 일품군(추역군) - 노역에 종사(공역, 노동)하는 부대로 향리가 지휘 c. 5도에 배치, 치안, 노역, 방비d. 병농일치 - 농민 중심, 예비군적 2) 주진군a. 우군, 좌군, 초군(상비군)b. 양계에 배치c. 둔전을 둠d. 병마사, 방어사, 진장 - 북계 : 보창, 동계 : 연새군e. 상비군 직접 지휘 - 도령(중랑장) → 토착세력이 임명3) 군인전을 받지 않았다.1. 전투부대의 핵심은 보승과 정용이었다.2. 보승은 중앙군, 지방군에 모두 있었다.3. 중앙, 지방군의 부대편성 - 1領은 1000명의 군인으로 조직(3) 특수군1) 광군 : 거란 방어 (뒤에 주현군의 모체) (정종)2) 별무반 (別武班)a. 여진 정벌 위해 숙종 대 윤관이 주장b. 신기군(기병), 신보군(보병), 항마군(승병)3) 삼별초 (三別抄) : 몽고에 항쟁 (좌,우, 신의군) (최우)4) 연호군 (煙戶軍) : 양민, 천민으로 구성된 혼성부대→ 홍건적, 왜구 통일신라 발해 고려합의기구 화백 정당성 도병마사감찰기관 사정부 중정대 어사대중앙군 9서당 10위 2군 6위국립대학 국학 주자감 국자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