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향리1. 향리 억압책(1) 권현제의 정비 - 견아상입지나 월경처 등의 임내지부터 혁파, 수령파견* 견아사입지 - 경계 변경 등 복속관계 확보 등* 월경처 - 경계가 바르지 못한 곳(2) 향리의 이속 - 타 지역으로 이동(3) 향리 복식 제한(4) 유향소(5) 부민고소법2. 향리의 역(1) 향역 - 행정실무(2) 기인역 - 잡역, 시탄(땔감) 공급의무(3) 관군역 - 군역을 수행하지는 않았으나 잡생군에 편재된 부수적인 의무(4) 녹복을 받지 못하였으며, 세종 27년에 외역전 마저 폐지 (→ 역수행에 대가 X)3. 향리의 면역종사 - 사족으로 상승가능(1) 정과의 급제 - 문무과, 생원진사과 급제(2) 3정 2자 면제 - 3子 중 한 명이 잡과에 합격 / 서리 가운데 거관(근무기감 마침)한 경우(3) 군공 (軍功)(4) 북계사민 - 새로 개척한 북계지역에 자원 입거시 향리 면역4. 분류(1) 호장 - 지방 관하 최고 신료, 호방의 수석•수령 부재시 그 직무를
soy 한국사, soy 국사, 한국사, 국사, 교육, 사회, 역사, 일라뽕구, 조선,
soy 블로그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대리하기도 함(2) 기관 - 6방 층(3) 색리 - 주 부담층T) 고려와 조선 시대의 향리를 비교할 때 세력 권한의 차이를 구분할 수 없는 요소는?☞ 향직의 세습 관계 (동일)cf. 차이 - 조세, 공물, 요역 등의 수취 권한 관계 / 중앙 귀족으로 상승관계 / 외역전의 지급관계(6) 촌락의 편제1) 향 - 군현의 단위, 지방관 파견 O촌 - 면•리 등 의미, 지방관 파견 X 2) 면리통a. 면 - 면장 = 권농 = 풍헌, 면임b. 리 - 리정c. 통 - 통주 - 오가작통법T) 임진왜란 이후 사족 거주지를 중심으로 면리제가 개발되어 발달T) 읍을 중심으로 방위명을 붙인 면이 출연3) 촌락 성격 변화 : 전기 - 행정촌 단위로 구분 ➝ 후기 - 자연촌 단위로 편제T) 8도 ➝ 부목군현 ➝ 면 ➝ 리T) 역원제, 봉수제, 조운제, 면리제 실시의 공통 목적은? 중앙집권체제 강화T) 향∙소∙부곡이 전부 없어지고 모든 군현에 지방관이 파견 되었다.* 기타 지방 관직1. 하급관직* 향교의 교육 담당(1) 교수 - 부•목 (2) 훈도 - 군•현 (3) 왜약 훈도 - 통역관 양상(부산포, 제포)(4) 역학훈도 - 광주, 평양, 의주, 해주, 안주, 강계2. 병권직(1) 병마절도사 - 임기 2년, 종2품 무관직(2) 수군절도사 (정3품 무관직)(3) 병마절제사 (정3품 무관직)(4) 병마우후 (정3품)(5) 병마첨절제사 (종3품 무관직)(6) 수군첨절제사 (종3품 무관직)(7) 수군우후 (정3품 무관직) - 수군 통제사영의 수군우후는 정3품 당상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