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15. 조선 군역 제도, 군사 조직 (보법, 의흥삼군부, 5위, 내삼청, 내금위, 겸사복, 우림위, 갑사)

by 소이나는 2014. 2. 5.
반응형




Ⅳ. 군역 제도와 군사조직1. 군역 제도(1) 종류1) 신역 - 직역, 군역2) 잡역 - 요역(2) 원칙1) 양인 개병제 실시 a. 군역은 태종 이후 사병을 모두 폐지b. 모든 양인 남자는 군역(16세 이상 ~ 60세 미만), 공신의 자제 포함      (x – 모든 남자)c. 천인은 Xd. 일반 평민은 정병과 수군, 유방군에 편입되었다.2) 정군(현역 군인), 보인(비용만 부담)3) 정군은 품계를 받는 등 대우를 해줌(3) 군역 면제 1) 현직 관료와 학생, 향리2) 고급 관료의 자제는 고급 특수군에 편입 (면제 받은 것이 아니다.)3) 왕족, 공신, 고급 관료의 자네는 복무연한에 따라 품계(品階)와 녹봉을 받았다.(4) 노비 1) 군역의 의무가 없다.2) 특수군(잡색군)으로 편제되기도 한다. - 하지만 실제로는 제외됨(5) 봉족제1) 배경가. 조선 전기 직업군인 無 - 모든 경비는 군인이 자체 조달나. 봉족a. 군역 복무에 따른 반대급부로 토지를 지급 받지 못한 가난한 군정에게 정병에서 제외된 농민→ 정병에 대한 재정적 부담을 지도록 함b. 대부분 정군의 가족, 친족c. 봉족 - 정군의 비용을 부담2) 지급 - 정군 1명, 4 ~ 2명의 봉족 지급3) 3정 1호제 도입(태조) - 고려의 3정 1호의 보편적 예에 따른 것4) 변천가. 정(丁)에서 호(戶)로 지급기준 변화 (태종)나. 병종과 토지 결수에 따른 봉족 차등 지급a. 군호(부유한 자)의 호주 - 정군b. 조호(가난한 자) - 정군의 봉족호다. 인정(人丁)의 다소에 따라 차등 지급5) 정군 대우 - 경제적인 반대급부로 보인을 받기도 하였으나 일부 정예군사의 경우 복무기간에 따라 체아직을 받기도 하였다.6) 면제 - 현직관료와 학생만 면제7) 공•사노비는 대상이 되지 않았다.(5) 보법 (세조)1) 농장 확대 - 군역 부과의 기준을 토지에서 구하기 어려워짐2) 원칙a. 기본단위 : 2정(丁) 1보(保) - 봉족 대신 ‘보’라는 명칭 사용b. 노자(奴子)의 봉족화 - 봉족수를 줄임, 노자는 양인의 반으로 계산c. 토지 준정 삭제 - 토지 결수 다과에 따른 봉족 산출 기준 철폐3) 한계 a. 정군의 보인 수탈b. 정군은 복무자체를 보인에게 떠맡김 → 방군수포제 성행(6) 양반 구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소이 한국사, soy블로그, 임엉봉미, 교육, 사회, 역사, 조선,



soy 블로그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역 제외 (성종 후)(7) 대립제 - 16세기 이후 값 지불 후 타인을 세움(8) 방군수포 확산 - 실제 복무 없이 포를 거둠2. 군사 조직(1) 중앙군 - 의흥삼군부 (태조) → 5위 (조선 전기) → 5군영 (왜란 이후) → 2군영 (개항 이후)1) 태조가. 5위 - 궁궐수비, 수도방위나. 특수부대a. 성중애마 (成衆愛馬) : 국왕 시위 담당b. 시위패 (侍衛牌)c. 의흥삼군부T) 신라의 우역 설치, 고려의 이문소의 혁파, 조선의 도호부, 의흥삼군부의 설치에서공통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사실은? ☞ 최고 권력자의 통치권 강화2) 태종가. 사병혁파, 갑사 설치나. 12사 설치3) 세종 - 12사 → 10사 → 12사4) 문종 - 5사5) 세조 - 5위, 금군(내삼청)가. 5위A. 구성 - 의흥위(중위), 용양위(좌위), 호분위(우위), 충좌위(전위), 충무위(후위)     (X- 별사위)B. 조직 - 편제 → 졸 → 오 → 대 → 여C. 병종A) 직업군a. 별사위 - 국왕시위, 갑사보다 우대b. 갑사 - 중앙군 핵심, 무반직, 세종 이후 서반 체아직을 받아 근무c. 친군위 - 왕실정보기관d. 팽배 - 방배부대e. 대졸 - 광화문 수비f. 파적위 - 산악지대 보병g. 장용위h. 내금위B) 특수병종a. 족친위 - 왕실과 혈족b. 충의위 - 개국, 정사, 좌명 3공신 자손c. 충순위 - 3품 이상 자손, 시취를 거친 후 입직, 체아직을 받지 못함d. 충찬위 - 원종공신의 자손 소속C) 정병a. 조선초 ‘시위폐’가 세조 때 개칭, 지방의무 번상b. 구성 - 번상군 - 중앙 5위에 번상, 유방정병 - 각 지방의 요새지에 부방c. 인원 - 중앙군 중 가장 많은 수d. 신분 - 충순위에 속할 수 없는 하위 관리출신자와 양인중의 상흥부가 소속, 대부분 농민 출신나. 금군 - 내삼청 (내금위, 우림위, 겸사복)a. 내금위 (內禁衛) - 조세 면제, 무관 시험인 도시에 응시할 수 있음b. 겸사복 (兼司僕) - 교체되지 않는 장번병c. 우림위 (羽林衛) - 서얼 가운데 무재가 있는 자 소속, 모두 체아직1) 양인인 모든 농민은 모두 현역복무의 의무를 졌다? (X)2) 16세 이상 모든 양인은 정군과 보인으로 편성되었다? (O)3) 정군은 복무 기간에 따라 품계를 받기도 하였다? (O)다. 기타a. 세자익위사 - 세자 호위b. 훈련원 - 무과 강습c. 선전관T) 중앙군은 정군을 중심으로 갑사나 특수군으로 편성되었다.cf) 고려 - 국왕의 친위부대인 2군과 수도경비와 국경방어를 담당하는 6위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20. 정묘호란, 병자호란, 광해군, 중립 외교, 인조 반정 (가도 사건, 이괄의 난, 최명길, 김상헌)  (4) 2014.02.12
[조선] 19. 임진왜란 (이순신 장군, 왜군, 왜란 의병, 정유재란, 관우 숭배, 비격진천뢰, 공명첩)  (10) 2014.02.11
[조선] 18. 조선 초기 대외관계 (대명관계, 대 여진, 대 일본, 조선 수출, 조선 수입, 야연사준도, 사대교린, 유숙소, 무역소, 3포개항)  (4) 2014.02.10
[조선] 17. 조선 교통, 조선 통신, 고려와 조선의 기관 비교표 (역원제, 파발제, 봉수제)  (4) 2014.02.07
[조선] 16. 조선 전기 지방군, 조선 전기 방위 (영진군, 진관 체제, 제승방략, 잡색군, 기선군, 시위패, 수성군, 수호군, 익군, 속오군)  (2) 2014.02.06
[조선] 14. 양반 중심의 향촌 사회 (유향소, 향안, 향규, 경재소, 경저리 제도)  (2) 2014.01.31
[조선] 13. 향리, 촌락의 편제  (5) 2014.01.30
[조선] 12. 조선 전기 지방 행정 조직 (관찰사, 8도, 수령, 향리, 유수관, 감영)  (6) 2014.01.29
[조선] 11. 조선 전기 조직과 기관 (정3품, 종3품, 내수사, 전함사, 전연사, 장원서, 사포서, 경관직, 장계, 서계, 윤대, 권당, 구언)  (0) 2014.01.28
[조선] 10. 조선 전기 기관 (승정원, 의금부, 삼사, 한성부,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경연, 4관, 예문관 교서관, 승문원, 춘추관)  (7) 2014.01.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