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신라
[혁거세 거서간 - 남해 차차웅 - 유리 이사금 - 탈해 이사금 - 파사 이사금 - 지미 이사금 - 일성 이사금 - 이달라 이사금 - 벌휴 이사금 - 나해 이사금 - 조분 이사금 - 첨해 이사금 - 미추 이사금 - 유례 이사금 - 기림 이사금 - 홀해 이사금 - 내물 마립간 - 실성 마립간 - 눌지 마립간 - 자비 마립간 - 소지 마립간 - 지증왕 - 법흥왕 - 진흥왕 - 진지왕 - 진평왕 - 선덕여왕 - 진덕여왕 - 무열왕 - 문무왕]
신라 왕호 변천
(1) 거서간 (居西干): 박혁거세 ➝ 대인, 군장, 불구내, 정치적 군장 출현, 우두머리, 거수
(2) 차차웅 (次次雄): 남해 ➝ 제주, 무당 (재정분리), 샤머니즘, 제정분리, 제사장 (정치 군사력 결집)
(3) 이사금 (尼斯今): 유리~흘해 ➝ 계승자, 연장자, 연맹국가, 3부족연맹 (박석김)
☞ 이사금 : ‘잇금’을 의미하는 칭호로 ‘지혜 있는 자’를 의미
(4) 마립간 (麻立干): 내물~소지 ➝ 대군장, 우두머리, 고대국가, 김씨세습권독점, 6부설치, 사로국발전
(5) 왕
1) 지증왕 ➝ 한자식 왕호
2) 법흥왕 ~ 진덕 여왕 ➝ 불교식 왕명
3) 무열왕 ➝ 중국식 시호
1. 초기의 신라
(1) 건국 : 진한의 하나인 사로국 (기원전 57년)
“진한 땅에 있던 여섯 마을 중 하나인 고허촌의 촌장이 나정이라는 우물 옆의 숲에서 말이 무릎을 꿇고 있는 것을 보았다. 말은 하늘로 올라가 버리고 그 자리에는 큰 알이 하나 있었다. 그 알에서 아름다운 사내아이가 나와 촌장은 그 아이를 데려다 길렀다. 여섯 마을 사람들은 그 출생이 신기하고 이상하였으므로 그를 높이 받들고 존경하여 임금으로 세웠다. 큰 알이 박과 같았으므로 성을 박으로 삼았다.” – 삼국사기
(2) 건국 초기의 성격 : 박석김 - 3성의교대➝ 우두머리는 이사금으로 추대 (아직 중앙집권 아님)
(3) 내물 마립간 (4세기 후반, 356∼402) - 중앙집권 각가의 기틀을 마련
1) 김씨 의한 왕위 계승(상속)권 확립(형제세습), 마립간 (대군장)
2) 고구려를 통해 전진과 수교
3) 낙동강 동쪽의 진한 지역을 거의 차지
4) 왜구 격퇴 (고구려 도움) : 광개토대왕릉비, 호우총의 호우명그릇(‘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 새김)
5) 6부의 설치
[호우명그릇]
2. 정치적 발전
(1) 눌지 마립간 (5세기 전반, 417∼458)
1) 나제 동맹 : 백제 비유왕과
2) 불교의 전래 : 고구려 묵호자(457)
3) 왕위 계승을 부자상속으로
(2) 자비 마립간 (458∼479)
1) 방리 설정 (467) ☞ “수도인 경주의 방리 명을 정하였다.”
2) 좌우장군 설치(473) - 병권 집중
(3) 소지 마립간 (5세기 후반, 479∼500)
1) 결혼 동맹 : 백제 동성왕때
2) 우역(郵驛)의 개설(도로 수리), 6부의 행정 구역 마련
3) 수도에 시장 개설 : 경시 개설(490)
cf) 시장 설치 : 소지 - 경시 / 지증왕 - 동시 / 효소왕 - 서시, 남시
4) 나을 신궁설치 (487)
(4) 지증왕 (6세기 초반, 500∼514)
1) 한화 정책 (漢化) : 국호 = 사로국 ➝ 신라(新羅)(503), 왕호 = 마립간 ➝ 왕 (王)
☞ 新羅 : ‘왕의 덕업이 날로 새로워져서 사방을 망라한다.’라는 의미
“시조께서 나라를 창업하신 이래로 국호가 정해지지 않아 혹은 ‘사라’라 일컫고, 혹은 ‘사로’라고도 하였습니다. 저희들은 ‘신’이란 글자는 덕업이 날로 새로워진다는 뜻이고, ‘라’라는 글자는 사방을 망라한다는 뜻이라고 생각하니, 이를 나라 이름으로 삼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2) 행정 구역 정비
3) 우산국 (울릉도) 정벌 (512):이사부
4) 산업 발전 : 우경(牛耕) 확대(502) , 동시전(東市典) 설치(509) : 시장 관리 감독 기관
5) 순장 금지(502)
6) 전국에 주군제 시행
7) 시장 : 동시 설치 (509)
cf) 동시전 : 동시를 감독
(5) 법흥왕 (6세기 전반, 514∼540)
1) 통치 질서의 확립
a. 병부 설치 (517)
b. 상대등제도 - 갈문왕의 정치적 비중 약화 (531)
c. 골품 제도 정비(17관등, 공복제정)
d. 율령반포 (520)(울진 봉평 신라비)
2) 연호 사용 : 건원 (建元)
3) 불교 공인 : 이차돈의 순교 (527)
4) 영토 확장 : 금관가야정복 (532)
5) ‘양’과 수교
(6) 진흥왕 (6세기 후반, 540∼576)
1) 한강 유역 차지
a. 상류 진출 : 단양적성비
b. 하류 진출 : 북한산순수비, 신주(新州) 설치
2) 한강 유역 장악의 의미 : 중국과 직접 교섭 (남조)
3) 영토 확대
a. 대가야 점령 : 창녕비건립, 합천에 ‘대야주’설치
b. 원산만 진출 : 황초령비, 마운령비
4) 화랑도 공인
5) 국사 편찬 : 거칠부 (545)
6) 불교 장려
a. 황룡사, 흥륜사
b. 혜량 – 승통
c. ‘전륜성왕’이라 여겨짐
☞ 전륜성왕의 설화에 따라 진종사상 도입 (아들 이름을 동륜, 금륜이라 부름)
7) 연호 사용 : 개국, 대창(開國, 大昌)
8) 나제 동맹 결렬
9) 태자제도
10) 제왕건호 - ‘짐’ 사용
11) '품주' 설치
a. 재정업무,
b. 소속관청 - 상서서 : 유공자에게 상을 주는 곳
12) 관산성전투(554) - 백제와 전투에서 승리
“왕 16년, 북한산을 순행하여 국경을 설치하였다. 18년 신주를 없애고 북한산주를 설치하였다. 29년, 북한산주를 없애고 남천주(南川州)를 설치하였다.”
“왕이 크게 인민을 얻어 ~ 이리하여 관경(管境)을 순수(巡狩)하면서 민심을 □□하고 노고를 위로하고자 한다. ~ 남천군주는 ∼ 사탁(沙啄) 굴정차(屈丁次) 나(奈) □이다.”
[진흥왕의 영토확장]
[단양적성비]
[북한산순수비]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고대국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요,
(7) 진평왕 (7세기 초반, 579∼632)
1) 관제정비 - 위화부(관리인사), 조부(공부담당), 예부(의례, 교육), 내성(왕명출납)
2) ‘수’(隨)와 통교 – 걸사표 (乞師表)를 수에 보냄 (원광법사)
3) 세속오계 - 원광법사
4) 칠숙, 석품의 모반(631)
(8) 선덕여왕 (7세기 중엽)
1) 백제의 대야성 공격
2) 호국불교 - 황룡사 9층 목탑, 분황사
3) 첨성대
4) 비담의 난 (647)
T) 7세기 - 여왕 등장, 왕권을 위협하는 세력 등장
[분황사모전석탑]
(9) 진덕여왕
1) 왕권강화 - 연호 ‘태화’
2) 관제정비 - 품주를 ‘집사부’로, 시중 - 국가기밀
3) 집사부, 창부, 좌이방부 설치
4) 당과 교류 - ‘태평송’을 당고종에 바침(650), 중국식 의관제, 중국 연호 ‘영휘’ 사용
| 성립기 | 완성기 | 율령 반포 | 한강 유역 | 불교 수용 | 부자세습 | 최대 영토 | 역사 편찬 |
고구려 | 태조왕(2세기) | 소수림왕(4세기) | 장수왕(5세기) | 소수림왕 | 고국천왕(2세기) | 문자왕(5세기) | 영양왕(7세기) | |
백 제 | 고이왕(3세기) | 근초고왕(4세기) | 고이왕 | 침류왕(4세기) | 근초고왕 | |||
신 라 | 내물왕(4세기) | 법흥왕(6세기) | 진흥왕(6세기) | 눌지왕(5세기) | 진흥왕 |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고대국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요,
3. 신라의 주요 비문
눌지왕 | 포항 중성리 신라비 (441년 또는 501년) | 재물 소송에 관련, 현존 최고(最古) 신라비, 2009년 발견 |
눌지왕 또는 지증왕 | 영일냉수리비 (433년 또는 503년) | 영일 지방 재산 분쟁 판결, 신라를 ‘사로’로 기록 |
법흥왕 | 울진봉평신라비 (524) | 율령, 사건처리, 삼국사기의기록입증자료 |
영천 청제비 (536) | 제방 | |
진흥왕 | 단양 적성비 (551) | 소맥산맥, 관직명, 포상 |
창녕비 (561) | 대가야 복속 | |
북한산비 (555) | 한강하류 - 후에 김정희가고증 (높이 168cm, 너비 76cm) | |
황초령비 (568) | 함흥지방진출 - 윤정현이발견 | |
마운령비 (568) | 함흥지방진출 - 후에 최남선이고증 | |
진평왕 | 남산신성비 (591) | 남한산성축조 - 일반농민이부역에동원 |
임신서기석 (612) | 유교경전(시경, 서경, 예기, 좌전)학습, 임금에 충성 → 영토 확장과는 상관없다. |
“壬申年六月十六日 二人幷誓記 天前誓 今自三年以後 忠道執持 過失无誓 若此事失 天大罪得誓 若國不安大亂世 可容行誓之 又別先辛未年 七月卄二日 大誓 詩尙書禮傳倫得誓三年(임신년 6월 16일에 두 사람이 함께 맹세해 기록한다. 하느님 앞에 맹세한다. 지금부터 3년 이후에 충도를 집지하고 허물이 없기를 맹세한다. 만일, 이 서약을 어기면 하느님께 큰 죄를 지는 것이라고 맹세한다. 만일, 나라가 편안하지 않고 크게 세상이 어지러워지면 모름지기 충도를 행할 것을 맹세한다. 또한, 따로 앞서 신미년 7월 22일에 크게 맹세하였다. 즉, 시·상서·예기·전(左傳 혹은 春秋傳의 어느 하나일 것으로 짐작됨.)을 차례로 습득하기를 맹세하되 3년으로써 하였다).” - 壬申誓記石 (임신서기석)
타국 비문
(1) 낙 랑 - 점제현신사비 : 저수지 축조 기념
(2) 고구려 - 광개토대왕비, 중원고구려비
(3) 백 제
1) 무령왕릉지석 (남북조시대의 해서체)
2) 사택지적비 - 불탑과 불당을건립한것을기념한비, 북조의 해서풍, 4∙6변려체
“갑인년 정월 9일 나지성의 사택지적은 몸이 날로 쉬이 가고 달로 쉽게 돌아오기 어려움을 한탄하고 슬퍼하여, 금을 뚫어 진귀한 당을 세우고 옥을 깎아 보배로운 탑을 세우니, 높고 큰 자비로운 모습은 신광을 토하여 구름을 보내는 듯하고 아아한 슬픈 모습은 성명을 머금어 □□을 한 듯하다”
“甲寅年正月九日 奈祇城砂宅智積 慷身日之易往 慨體月之難還 穿金以建珍堂 鑿玉以立寶塔 巍巍慈容 吐神光以送雲 아아悲貌 含聖明以□□”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고대국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요,
[사택지적비]
[임신서기석]
[남산 산성비]
[영천 청제비]
시기 (중국) | 고구려 | 백 제 | 신 라 |
1~2세기 (후한) | 1) 태조왕 : 옥저 정복, 계루부 세습 요동진출, 중앙 집권 국가 성립, 낙랑 공격 2) 고국천왕 : 부자상습, 진대법 (추대추납) 5부 행정 구역 | 위례성 도읍 | 사로국 |
3세기 (3국) | * 동천왕 : 서안평 공격, 오와 통교, 관구검∙왕기 침입 | * 고이왕 : 한강, 6좌평, 16관등제, 율령반포, 서진과 통교 | 이사금 |
4세기 (5호16국) | 1) 미천왕 : 서안평 점령, 낙랑 복속 2) 소수림왕 : 전진과 수교, 율령반포, 불교수용, 태학 | 1) 근초고왕 : 마한 지역 차지, 부자 왕위 세습, 상업 세력 형성 (요서, 산동, 왜) 2) 침류왕 : 불교 수용 | *내물 마립간 : 전진 수교, 김씨 세습 |
5세기 (남북조) | 1) 광개토 : 백제 공격, 왜구 격퇴 2) 장수왕 : 평양 천도, 한강확보, 남북조와 외교 3) 문자왕 : 부여 복속, 최대 영토 | 1) 비유왕 : 나제동맹 (눌지왕) 2) 개로왕 : 북위에 국서 전달, 한강 상실 3) 문주왕 : 웅진 천도 4) 동성왕 :결혼동맹, 탐라 복속 | 1) 눌지 마립간 : 전진 수교, 김씨 왕위 세습 2) 소지 마립간 : 결혼 동맹 (동성왕)
cf) 5세기 후반 : 금관가야 ➝ 대가야 |
6세기 (남북조 ~ 수) | 1) 안원왕 - 귀종정치 2) 양원왕 - 한강 유역 상실 3) 평원왕 | 1) 무령왕 : 22담로, 벽돌무덤 2) 성왕 : 사비 천도, 22부 설치 나제 동맹 결렬 (진흥왕) | 1) 지증왕 : 신라국호, 왕칭호, 순장 금지, 우경, 우산국, 5주 2소경 2) 법흥왕 : 율령, 금관가야 복속, 불교 공인, 병부설치 3) 진흥왕 : 화랑도, 한강, 대가야 정벌 |
7세기 (당) | 1) 영양왕 : 살수대첩 (612) 2) 영류왕 : 천리장성 3) 보장왕 : 안시성 전투(645), 평양성 함락 | 1) 무왕 : 미륵사 2) 의자왕 : 사비성 함락 (660) | 1) 진평왕 : 수에 걸사표(원광) 2) 선덕 여왕 : 황룡사 9층 목탑 3) 진덕 여왕 : 나당연합군 4) 문무왕(676) : 삼국 통일 (대동강 ~ 원산만) |
T) 백제의 목지국 복속 (3c 후반, 고이왕) ➝ 고구려 낙랑 축출 (313) ➝ 신라 소백산맥 이북 진출 (551, 진흥왕)
T) 백제의 마한 병합 (369) ➝ 소수림왕의 불교수용 (372) ➝ 백제 서기 편찬 (375) ➝ 신라 6부 (5세기 초) ➝ 지증왕 우경 (502) ➝ 신라 국호 정립(503)
T) 고구려가 옥저를 복속하고 낙랑을 공격한 시기 = 백제 6좌평 16관등제 확립, 율령반포 = 신라 낙동강 동쪽 진한 지역을 거의 차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