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13-1. 조선 후기 실학의 등장 (이수광, 한백겸, 김육, 허균, 유몽인)
(1) 이수광 1) 지봉유설 - 백과사전적 실학 저술 cf) 비슷 - 잡동산이(안정복), 오주연문장전산고(이규경), 성호사설(이익) 2) 천주실의 / 「교우론」전래 / 천문, 지리, 관제 (2) 한백겸 1) 동국지리지 / 대동법의 확대 실시 / 북인계열 2)「구암유고」, 「조선변」, 「잡목설」, 「기전도」, 「기전유제설」, (3) 김육 - 시헌력 채용 / 수차 제도의 이익 강조 / 화폐 주조 / 대동법의 확대 실시 주장 (4) 정여립 (선조) - 군주 세습제를 부인 / ‘천하는 공물’ / 구황촬요 (5) 정인홍 (광해군) - 부국강병과 민생 안정 / 이언적과 이황을 비판하다가 유적에서 삭제 (6) 유몽인 - 어우야담 (7) 허균 - 홍길동전 (8) 윤휴 (9) 박세당 - 사변론, 신주도덕경, 색경 T) ..
2012. 5. 27.
[조선] 13-3. 중상학파 실학 (상공업중심 실학, 농암 유수원, 북학파, 이용후생, 담헌 홍대용, 임하경륜, 의산문답, 담헌집, 무한우주론, 연암 박지원, 초정 박제가, 북학의)
1. 시기 - 18세기 후반 2. 특징 - 노론, 부국강병, 이용후생, 북학파, 해외통상, 상공업 진흥 3. 중상주의 실학자의 개혁론 (1) 농암 유수원 (1694~1755) - 상공업 중심 개혁론의 선구자 1) 부국책 - 직업적 평등화와 전문화 강조 - ‘우서’ 2) 상공업 진흥칙 (중상주의) a. 상인 간 합자 경영 : 상인이 생산자를 고용하여 생산과 판매를 주관하자 b. 대상인의 지역사회 개발에 참여 c. 농업의 상업적 경영 3) 직업 평등론 - 사·농·공·상의 직업적 평등화와 전문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4) 소론 출신 (2) 담헌 홍대용 (1731~1783) - 성리학적 세계관 부정 1) 부국강병책 - 균전제, 성리학 극복 2) 임하경륜 - 놀고먹는 선비들이 생산 활동에 종사할 것을 역설, 병농일..
2012. 5. 27.
[조선] 13-2. 중농학파 실학 (농업 중심 실학, 경세치용 학파, 반계 유형원, 균전론, 성호 이익, 한전론, 성호 사실, 반계수록, 실학, 실학자, 다산 정약용)
1. 시기 - 18세기 전반 남인 출신 2. 특징 - 경세치용 학파 3. 청나라의 선진 농업 기술을 수용할 것을 주장 4. 중농주의 실학자의 개혁론 (토지개혁을 통한 자영업 육성, 민생안정 도모) - 근경 남인 (1) 반계 유형원 (1622~1673) - 농업 중심 개혁론의 선구자 [체계화] 1) 균전론 주장 a. ‘반계수록’에서 균전론 주장 b. 차등분배 - 자영농 육성 (X - 균등한 토지를 분배) “대체로 재물은 샘과 같은 것이다.~ 기술을 숭상~” “4경마다 군인1명, 농부 1인이 1경” 2) 농병 일치의 군사제도, 사농 일치의 교육제도 3) 양반 문벌제도, 과거제도, 노비 제도 등 신분제 비판 4) 유교적 생각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 5) 주리론적 6) 북벌 주장 7) 경무법 주장 (2) 성호 ..
2012. 5. 27.
[조선] 13-2-1. 다산 정약용 (실학자, 여전론, 정전제, 정약용 저서)
다산 정약용 1) 여전론 주장 a. 균전론 한전론을 모두 반대 - 30호를 1여로 하여 공동 경작, 공동 분배하자 ➝ 경제적 평등을 추구하여 소농경제 안정화 b. 한 마을을 단위로 토지를 공동으로 소유, 경작, 그 수확량을 노동량에 따라 분배하는 공동 농장제도 ☞ “1여에는 여장을 두고 1여의 토지는 1여의 백성이 공동으로 경작하도록 하여 내 땅, 네 당의 구별을 없이하여, 오직 여장의 명령에만 따른다. 여민들이 농경하는 경우 네 여장은 매일 개개인의 노동량을 장부에 기록해 두었다가, 가을이 되면 오곡의 수확물을 모두 여장의 집에 가져온 다음, 노동량에 따라 분배한다.” 2) 정전제 - 가난한 농민에게 나누어 줌으로 자영 농민 육성 「경세유표」 3) 주나라 제도를 모범으로 하여 중앙과 지방의 정치제도를 ..
2012. 5. 26.
[조선] 12. 조선 후기 성리학의 변화 (양명학, 박세당, 윤휴, 정제두, 강화학파, 치양지설, 지행합일설, 심즉리, 우암 송시열)
성리학의 변화 Ⅰ. 성리학의 교조화 경향 1. 성리학의 교조화 (1) 서인 주도 - 인조반정 이후 = 주자 중심 성리학 절대화 (2) 김장생 「가례집람」 (3) 우암 송시열 - 「주자대전차의」, 「주자어류소분」 [송시열] 2. 성리학의 비판 (1) 17세기 후반부터 (2) 6경, 제자백가등 사상적 기반을 찾으려는 경향 * 6경 - 서경, 시경, 역경, 예기 춘추, 악기 (3) 윤휴 - 서경덕의 영향, 유교 경전에 대해 독자적 해석, 주자 비판 (4) 박세당 - 사변록 / 노자의 도덕경을 적극적으로 해석, 포용성과 개방성을 강조 (5) 이들은 사문난적으로 몰려 제거 (6) 정약용 - 성리학과 다른 독자적 철학을 수립 (7) 이익, 정제두, 최한기, 안정복 Ⅱ. 양명학의 수용 사 림 동인 (이황) 남인(이황..
2012. 5. 26.
[조선] 10-1. 조선 후기 농업 (모내기법, 이모작, 제언사, 타조법, 도조법, 정액지대, 논갈이 모내기, 벼타작 김홍도)
1. 조선 후기의 경제적 변화 - 농업발달(수리시설, 새 작물), 자유 상공업 발달 2. 수취 체제 개편의 한계 - 양반 중심의 지배 체제 유지 3. 조선후기 농민 생활 ☞ “소민의 생업을 보면, 오막살이집에 진흙으로 벽을 발라 위로는 비가 새고 옆으로는 바람이 들어와 사람이 살기 힘듭니다. ~ 이에 만일 흉년을 당해 망치면 구렁텅이로 빠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4. 조선 후기 농업 (1) 모내기법 (이앙법), 이모작 확대 (2) 금지령에도 이앙법 확산 1) 금지한 이유 - 가뭄에 대한 대비책이 부족 2) 이앙법 - 벼농사 생산성 증대, 면적당 수확량이 2배 이상 증가, 노동력 절감 ☞ 「호조 판서 이유가 경연에서 아뢰기를, “모내기는 적은 노력으로 많은 효과를 거두므로, 이를 안 하는 곳이 없는 지경..
2012. 5. 25.
[조선] 8. 조선 후기 사회 (예언사상, 비기, 도참, 조선 후기 종교,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사회 변혁의 움직임 Ⅰ. 사회 불안의 심화 1. 사회의 동요 - 신분제 동요, 농민 경제 파탄, 적극적인 항거 운동 발생 2. 사회의 동요 심화 - 정치 기강 문란, 재난, 질병 3. 사회의 불안 고조 1) 민심 불안, 이양선의 출몰, 도적의 창궐 (화적, 수적) 2) 채단, 폐사군단, 유단과 같은 조직에 의한 집단적인 약탈 행위가 횡행하였다. Ⅱ. 예언 사상의 대두 1. 예언 사상 유행 (1) 예언사상 - 비기, 도참, 변혁적 성격 / 내용 - 말세, 변란 (2) ‘정감록’ - 유행한 비기 (3) 민중 봉기에 혁명적 기운을 불어넣은 역할 2. 무격신앙과 미륵 신앙 (1) 무격신앙 - 굿, 구복적 성격 / 내용 - 재앙, 잡귀 (2) 선운사 도솔암마애불 - 고려시대 여래상으로 감실에 비결이 있어서 그것이..
2012. 5. 25.
[조선] 8-3. 조선 후기 (19세기) 농민 봉기 (홍경래의 난, 임술농민봉기)
1. 홍경래의 난 (순조, 1811) (1) 원인 1) 세도정치의 폐해, 서북인에 대한 차별 2) 지주제의 모순에 따른 갈등과 대립 3) 경제 - 영세 농민, 밀무역·잠채 광업 규제책 시행 (1808) 4)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억누르는 중앙의 간섭, 어용상인의 특권 등에 대한 불만이 작용 5) 백성에 대한 수령의 지나친 수탈 - 용천, 선천, 가산, 박천, 정주 지방 6) 평안도민 중 대외 무역과 광산개발에 참여하여 부호로 성장한 인물이 많았다. T) 다른 지역보다 많은 사족 층의 수탈 때문이었다? (X) ☞ 이 지역에 사족 층이 형성되지 않음 (2) 홍경래 (토호출신), 우군칙 (서얼), 이희저(역노), 김창시(토호) (3) 영세농민, 중소상인, 광산 노동자 등이 합세 (4) 한때 청천강 이북을 차지..
2012. 5. 24.
[조선] 7. 조선 후기 향촌 질서의 변화 (부농층, 요호부민, 사족 양반, 향전, 동족부락, 사우, 임노동자, 조선 후기 농민, 자리짜기 김홍도)
향촌 질서의 변화 Ⅰ. 부농층의 동향 1. 부농 계층의 대두 - 정부의 부세 제도 운영에 적극 참여 2. 향촌의 변화 (1) 부농층(요호부민)의 도전(신향의 대두) 1) 수령과 이서·향임층 중심의 향촌 지배가 짜여짐에 따라 일부가 거기에 참여하여 중간 수탈층을 형성 2) 각종 수탈이 이들에게 집중 3) 지속적 성장이 어려워지자, 때로는 체제 변혁을 시도하여 농민 항쟁의 주도층으로 등장. (2) 관권의 강화 (3) 농민에 대한 수탈 - 공동납제(총액제)가 강화 → 향촌질서 동요 → 사족들의 향촌에 대한 지배권을 약화 * 공동납제 1) 군현 단위로 총액을 부담자 수의 증감과 관계없이 부담 2) 전세에 비총제와 군역에서의 군총제, 환곡에서의 환총제 등 (4) 향전이 발생 1) 신분 상승 운종으로 양반호가 증가..
2012. 5. 24.
[조선] 6. 조선 후기 사회 구조의 변동 (조선 후기 신분제, 중인, 연조귀감, 소청운동, 이진홍, 노비종모법, 친영제도, 호적, 율곡선생 남매 분재기, 신행 김홍도 )
사회 구조의 변동 Ⅰ. 신분제의 동요 1. 신분제의 분화 (1) 조선 전기 신분제의 특징 1) 법제적 - 양인과 천민으로 구분하는 양천제 표방 2) 실제적 - 반상제로 양반, 중인, 상민, 천민 네 계층으로 분화 (2) 조선 후기 신분제 경향 - 양반수 증가, 상민·농민은 감소 (면천, 납속, 족보 위조) 2. 양반층의 동요 (1) 붕당 정치가 변질 (2) 분화 1) 벌열 양반 2) 몰락 양반의 향반·잔반화 Ⅱ. 중간 계층 1. 역할 증대 - 서얼과 중인 등 중간 계층의 역할이 커짐 2. 사회적 제약 - 서얼(문과 응시 금지, 승진제한), 기술직 중인(고급 관료로 진출제한) 3. 신분 상승 노력 (1) 서얼 1) 왜란 이후부터 차별이 완화 : 납속책, 공명첩을 통해 관직 진출 a. 납속에 의한 양인화는 ..
2012. 5. 23.
[조선] 5. 조선 후기 대외 관계 (청, 백두산정계비, 간도협약, 통신사, 기유약조, 독도의 역사, 울릉도와 독도 문제, 리앙쿠르 암초, 독도, 독도 근거 자료, 통신사 행렬도, 팔도총도)
대외 관계의 변화 Ⅰ. 청 1. 호란 이후 (1) 표면적 관계 - 활발한 교역 (2) 북벌 정책의 추진 (서인) 1) 정권 유지 수단 2) 국방력 강화 3) 북학론의 대두 - 천리경, 자명종, 화포, 만국지도, 천주실의 문물 소개 (3) 북학론 대두 2. 청과 국경 문제 (1) 백두산정계비의 건립 (1712) - 숙종 [西爲鴨綠, 東爲土門, 故於分水嶺, 勒石爲記] 1) 압록강, 토문강 경계 2) 토문강의 위치에 대한 해석상 차이 - 간도 귀속 문제 발생 (東爲土門) (2) 간도 협약 (1909) - 외교권을 상실한 상태에서 청의 영토로 귀속 * 대명 의리론에 의한 상징물 1) 대보단 (숙종) - 명의 신종추모 2) 만동묘 (숙종) - 명의 사당 3) 조종암 (숙종) - 명 보은하는 뜻의 바위 4) 존주휘..
2012. 5. 23.
[조선] 4. 조선 후기 세도 정치 (세도 시기, 정순 왕후 수렴청정기, 안동 김씨, 김조순, 붕당의 변질, 순조, 헌종, 철종)
정치 질서의 변화 Ⅰ. 세도 정치 1. 배경 (1) 탕평 정치의 한계 (T. 분당 사이의 대립적인 구조가 사라졌다.) (2) 지배 체제의 분열 2. 성격 - 붕당의 파탄 3. 세도 정치 (1) 세도가 - 안동 김, 풍양 조, 대구 서, 연안 이, 풍산 홍, 반남 박 (2) 순조 1) 정순 왕후의 수렴청정기 - 순조가 11세로 즉위하자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하며 노론 벽파가 정국주도 ➝ 신유박해 (1801)를 이용 장용영을 혁파하고 훈련도감을 정상화 2) 안동 김씨 일파의 세도 정치기 - 정순 왕후가 죽자 김조순은 반남 박씨와 풍양 조씨의 협력으로 정국 주도 3) 순조 말년 - 효명 세자가 대리청청으로 세도가를 견제 하였으나 갑자기 죽음 ➝ 김조순(왕비의 아버지) 가문이 중심으로 재정립 4) 사건 a. 로..
2012.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