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근세 사회로의 전환 (조선)

by 소이나는 2009. 10. 20.
반응형


 

근세 사회의 성립, 전개


Ⅰ. 신진 사대부의 성장

 

 1. 특징

  (1) 진취적

  (2) 성리학

  (3) 과거로 진출


 2. 신흥 무인 세력과 제휴 - 이성계 중심

  

권문세족

신진 사대부

중앙 고관

지방 향리

음서

과거

대농장

재향 중소 지주

비유학

성리학

불교

배불론자

친원

친명파

최영, 이인임

정도전, 조준


 


Ⅱ. 고려의 멸망

 

 1. 고려 사회의 모순

  (1) 권문세족의 발호 - 중앙 집권 약화, 왕권 쇠퇴

  (2) 공민왕의 개혁 정치 실패 - 원의 압력, 군문세족의 반발

  (3) 사대부의 분열

   1) 사원 경제의 폐단과 토지 소유 등 개혁의 방향을 놓고 의견이 다름

   2) 온건 개혁파 - 이색, 정몽주 - 고려 왕조의 틀 안 점진적 개혁

   3) 급진 개혁파 - 이성계, 정도전 - 역성혁명

급진 개혁파 (혁명파)

온건 개혁파 (온건파)

왕조 자체 개혁

왕조 내 점진적 개혁

정도전, 조준 등 소수

정몽주, 이색 등 다수

역성혁명, 권세가의 토지 사유 축소

전면적인 토지개혁에는 반대, 대토지 소유는 정리

신흥 무인, 농민 군사

군사력 약함

불교 비판

온건한 비판

관학파 (훈구파, 15세기)

사학파 (사림파, 16세기)

주례

소학, 가례

형벌로 질서 확립

도덕 강조



 2. 요동 정벌

  (1) 개혁에 대한 갈등 - 권문세족이 토지 겸병을 확대하자, 최영이 이성계와 연합 이인임 일파 축출

  (2) 명 - 철령 이북에 철령위를 설치한다고 통보 (우왕, 1388)

  (3) 요동 정벌로 대립 - 최영 주장

  (4) 이성계 4불가론 (신진사대부)

   1) 소국이 대국을 거역 불가

   2) 여름에 군사 불가

   3) 왜구 침입 우려

   4) 장마철 전염병


 3. 위화도 회군 (1388) - 이성계가 최영세력 제거 후 회군, 정치 장악

  

4. 폐가입진(1389) - ‘김저의 옥’이 발생하자 ‘우창비왕설’의 명문으로 이성계가 창왕을 폐위

                      (우왕, 창왕을 신돈의 자식이라며 폐하함)


 5. 과전법 실시

  (1) 공양왕을 세운 후 조준, 정도전 등 과전법 마련

  (2) 과전법의 역할

   1) 구세력과 재야 세력 무마

   2) 사대부 우대 - 휼양전, 수신전 지급, 세습

   3) 농민 우대

  (3) 급전도감 - 과전법 시행을 위한 기구

  (4) 현직, 전직 관리에게도 과전을 지급

  (5) 결과 - 신진 관료들의 경제 기반, 국방에 필요한 재원 확보


 5. 조선의 개창

  - 혁명파의 도평의사사 장악 ➝ 정몽주 암살 (공양와 1392) → 이성계가 조선 건국 (1392) → 한양천도




    - 단심가 - (정몽주)

    이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고쳐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이시랴.

    - 하여가 - (이방원)

    이런들 엇더며, 져런들 엇더료

    만수산 드렁츩이 얼거진들 엇더리

    우리도 이치 얼거져 백년지 누리이라


* 원천석 (고려 멸망)

 흥망이 유수하니 만월대도 추초로다.

 오백년 왕업이 목적에 부쳐신

 석양에 지나는 객이 눈물겨워 하노라.

* 정도전 (조선의 건국)

  선인교 나린 물이 자하동 흘너 드러

  반천년 왕업이 물소리뿐이로다.

  아희야 고국흥망을 물어 무삼하리오.


 *한양

 (1) 백제 도읍

 (2) 고려 ‘남경’ 1) 문종 22년 (1068) → 한양에 궁궐 설치

                2) 숙종 4년 (1099) - 남경 설치

 (3) 조선 수도 천도 - 풍수지리 → 민족, 정치 통합


Ⅲ. 근세 사회의 전개

 

 1. 조선 건국

  (1) 국호 개정, 한양 천도

  (2) 새 방향 제시

   1) 숭유 정책 - 양반 문벌제도를 강화하여 계층 간의 격차를 심화시키고, 존화주의 사상으로 흐르는 결과를 낳기도 함.

   2) 농본 정책

   3) 사대교린 - 명 사대, 여진 일본은 교린의 강경책과 회유책


 2. 근세 사회의 특징

  (1) 정치

   1) 관료 체제의 틀 마련

   2) 왕권과 신권의 조화

   3) 유교 정치

  (2) 사회, 경제

   1) 양인 권익 신장 - 음서 축소, 무과

   2) 능력 존중

  (3) 문화

   1) 교육 확대

   2) 민족 문화의 기반 마련 - 정신문화, 기술문화 진작

   3) 과학 기술 발달


   cf) 도평의사사 개편, 경국대전 편찬, 의금부 승정원 직속, 왕권 중심, 6조 직계제 (태종, 세조)


 

   [고려말] 지방분권적, 속현 많음 향리, 관습법, 향소부곡

➝ [조선전기 = 근세] <초기> 15세기 - 훈구 <중기> 16세기 - 사림 ➝ 임진왜란, 병자호란

➝ [조선후기] 17~ 19세기 전반 - 근대 태동기 ➝ 흥선대원군

➝ [구한말(말기)]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 근대 발전기

 

 





<문제>

 

1. 전제 왕권 제도적 보장 - 상소제도, 서연제도, 구언제도, 경연제도

 

2. 조선 왕조를 근세 사회로 규정하는 이유

 (1) 중앙 집권적으로 제도 개편, 양반 관료체제의 기틀 마련

 (2) 양인 수의 증가와 권익 신장

 (3) 교육의 기회 확대와 민족 문화의 기반 마련

  X - 상공업에서의 영리성 제고로 독점적 도매상인 성장

 

3. 시대순

 성리학적 대의명분을 존중 (조선 초) → 자주적 입장에서 고려사를 재정리 (세종)

 → 존화주의적·왕도주의적 정치의식이 반영 (16c) → 우리나라 역사의 정통성을 강조 (18c)

 

4. 아래 사실들을 종합하여 파악할 때 조선 초기의 상황에 가장 적절한 것은?

   * 평양에 단군 사당이 건립 / * 구월산에 삼성사가 건립 / * 원구단을 세워 제사를 지냈다.

   ☞ 민족의식을 강조하였다.

      (오답으로 나온 것 - 도교 사상이 유행하였다. 농본주의 정책을 추진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