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경제의 발전
Ⅰ. 양반 지주의 경영 변화
1. 지주 전호제 경영
(1) 농토의 확대
(2) 조선 후기 개간사업 - 오히려 지주제를 확대
(3) 지주 전호제 경영 - 소작료를 받는 지주 전호제
(4) 병작반수제로 운영되면서 농민 생활이 더욱 악화
☞「중종실록」- 지주 전호제 관련
“일반 백성으로 농지를 가진 자가 없고, 농지를 가진 자는 부유한 상인과 양반 사족뿐입니다.”
2. 지주 전호제의 변화 - 소작인의 소작권을 인정하고 소작료도 낮춰줌
3. 양반 지주의 변화
(1) 소작을 통한 부 축적 - 경제적 예속관계
(2) 지주의 토지 축적 강화
(4) 상인 물주 증가
(5) 몰락 양반 등장
Ⅱ. 농민 경제의 변화
1. 조선 후기의 경제적 변화 - 농업발달(수리시설, 새 작물), 자유 상공업 발달
2. 수취 체제 개편의 한계 - 양반 중심의 지배 체제 유지
3. 조선 후기 농업
(1) 모내기법 (이앙법), 이모작 확대 - 금지령에도 이앙법 확산
(2) 광작의 대두 → 일부 부농층 성장 (관권과 결탁), 다수의 임노동자화
(3) 견종법의 보급 - 밭고랑에 씨를 뿌리는 방법
(4) 상품 작물의 재배 : 담배 (일본), 인삼 - 개성
(5) 구황 작물의 재배 : 고구마(일본, 18세기), 감자 (19세기 청)
(6) 농기구의 개량
4. 수리 관개 시설의 발달
(1) 조선 후기 저수지 축조 - 당진 합덕지, 연안 남대지
(2) 제언사(현종) - 저수지 관리
(3) 제언절목 반포 (정조) - 저수지 법률 (독점 소유 금지)
(4) 논의 비율 증대
5. 개간사업, 개척사업
6. 지대의 변화
(1) 지대 변화 -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과 병행하여 지주권의 약화, 전호권의 성장을 가져왔다.
(2) 지대
1) 타조법
a. 정률지대 : 풍·흉에 따라 지주와 소작인이 수확을 반씩
b. 전세와 종자 그리고 농기구를 소작인이 부담 - 농민에게는 불리 (지주유리, 지주 간섭, 영농 제약)
c. 대부분이 타조법
2) 도조법
a. 소작인에게 유리
b. 정액지대 : 풍·흉작에 관계없이 해마다 정해진 일정 지대액 납부 - 수확량의 1/3 (영농의 자유, 경영 자유)
→ 점차 화폐로 내는 경향이 등장
cf) 농민 유리 - 대동법, 균역법, 도조법 / 농민 불리 - 영정법, 영농기술 발달, 타조법, 개간 사업
7. 몰락 농민의 증가
신석기 |
청동기 |
철기 |
고려 |
조선전기 |
조선 후기 |
농경 시작 (조, 피, 수수) 남경, 지탑리 |
벼농사 등장 (본격) (보리, 콩, 벼) 흠암리, 송국리 |
가축을 농경에 이용 저수지 우경 시작 |
우경의 깊이갈이 일반화 (심경법) 2년3작의 윤작법 보급 시작 |
가을갈이 농사법 2년3작 윤작법 일반화 |
상품 작물 재배 구황 작물 재배 광작 |
녹비+ 가축 배설물 → 휴경지 감소 |
밑거름+뒷거름 →휴경지 소멸 |
견종법 | |||
|
돌도끼, 흠자귀 바퀴날도끼 반달돌칼 |
|
남부 일부 지역에 이앙법 보급(시작) |
남부 일부 지역에 이모작 실시 |
이앙법, 이모작 전국 |
목화 전래 |
목화재배확산→ 무명 생산(면직) |
광작 현상, 제언사, 제언절목 | |||
‘농상집요’ 원에서 전래 |
‘농사직설’, ‘금양잡록’, 사시찬요 |
농가집성, 색경, 산림경제 |
Ⅲ. 민영 수공업의 발달
1. 발달 배경 - 상품 화폐 경제의 진전, 도시의 인구 급증, 대동법실시, 부역제의 해이
2. 과정
(1) 관영 수공업의 쇠퇴
(2) 민간 수공업자의 성장
1) 납포장의 증대
2) 품질과 가격 우위
3) 점의 발달 - 철기 수공업체는 철점, 사기 수공업체는 사기점
(3) 장인 등록제인 공장안 폐지, 관영 수공업장에도사장을 고용
3. 수공업 형태의 변화
(1) 선대제 수공업의 발달 - 상인이 수공업자를 고용
1) 물주 지배 방식
2) 공인이나 상인들에게 주문받기도 하고 미리 자금 원료를 받는 선대제가 성행
(2) 독립 수공업의 발달 - 18세기 후반, 점촌 형성
4. 농촌의 수공업 발달
Ⅳ. 민영 광산의 증가
1. 조선 전기의 광업
(1) 선초 - 국가의 통제, 농민의 부역 동원
(2) 15세기
1) 철 광업 발달 - 선공감(수도 건설) / 군기감(무기 공장)
2) 염철업 - 토지 면적에 따라 철 수취
3) 철장제 - 동원하여 영·진에 철을 공급
4) 철장도회제 - 농한기에만 농민 동원
5) 야철 수공업
6) 각읍채납제 - 철강을 보유한 마을만 공철 부과
(3) 폐해 → 16세기 : 부역 동원을 거부
1) 각읍채납제 폐지, 대납제 보편화
2) 잠채발생, 사채허용, 채은 경차관 파견
2. 조선 후기의 광산 경영
(1) 17세기
1) 사채 허용 - 민간인의 광물 채굴이 어느 정도 가능
2) 설점수세제 시행
a. 국가 재정을 보충, 중국과의 무역을 활성화하는 데 목적
b. 효종(1651) 때 재정하여 민간인들의 광산 경영을 허가하고 호조에서 별장을 파견하여 세금을 거두어들임
3) 발달 배경
a. 민영 수공업의 발달
b. 청과의 무역 - 은점이 많이 설치되었다.
4) 각읍월과 군기법
5) 은·연광업 발달 - 별장수세제
6) 유황 광업 발달
(2) 18세기 후반
1) 수령수세제 - 영조 때 별장수세제를 완전히 혁파, 본읍의 수령으로 수세하게 하였다.
2) 잠채의 성행 - 덕대를 고용한 몰래 채굴
3. 광산의 경영
(1) 덕대가 대개 상인 물주에게 자본을 조달받아 채굴업자인 혈주와 노동자를 고용하여 채굴하는 자본주의 경영방식
* 덕대 : 광산 채굴의 실질적 경영 전문가
(2) 분업화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학] 국학연구 (조선 후기) (0) | 2009.10.31 |
---|---|
농업 중심의 실학파 (정약용, 홍대용 등) (0) | 2009.10.30 |
상공업 중심의 실학파 (북학파) (0) | 2009.10.30 |
[조선 후기] 성리학의 변화 (양명학의 수용) (1) | 2009.10.29 |
[조선후기] 경제, 무역, 시장 (1) | 2009.10.29 |
[조선] 대외관계 (청, 일본) (1) | 2009.10.28 |
[조선 후기] 수취체제 (2) | 2009.10.27 |
[조선 후기] 사회구조의 변동 (신분제, 가족제도, 노비) (2) | 2009.10.27 |
[조선] 동학, 천주교, 예언사상, 홍경래의 난, 농민봉기 (2) | 2009.10.26 |
[조선] 탕평책, 붕당정치 (영조, 정조) (2) | 2009.10.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