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화폐 경제 발달
Ⅰ. 사상의 대두
1. 조선 후기 상업 발달의 배경
- 농업 생산력 증대, 부세 및 소작료의 금납화, 농촌 인구의 도시 유입
2. 조선 후기 상업 활동의 주역 - 공인, 사상
3. 공인
(1) 어용상인으로서 관청에서 공가를 미리 받아 납부
(2) 상권 독점, 독점적 도매상인 도고로 성장 (*도고 - 상인 계층 분화를 가져옴)
4. 사상의 대두
(1) 사상의 등장 - 시전에서 물건을 떼어다가 파는 중도아가 되기도 하였다.
(2) 사상과 시전의 경쟁
1) 사상의 활발한 활동 - 금난전권에 대항하여 종루, 이현, 칠패 등에서 상행위를 계속함으로 번창
2) 시전 상인은 금난전권을 통하여 사상의 활동을 억압하려 했다.
* 금난전권 - 시전 상인의 정부에 대한 일종의 독점적 전매특권
(3) 금난전권 철폐(1791)
1) 육의전을 제외한 금난전권 철폐(신해통공, 정조)
2) 사장의 활동이 조금 보장, 일부는 도고로 성장
5. 사상의 활동
(1) 칠패, 송파 등 도성 주변, 개성, 평양, 의주, 동래 등 활동
(2) 대외 무역에 참여
(3) 송상 - 인삼
(4) 경강상인 - 미곡, 소금, 어물 등의 운송
(5) 기타 - 의주 만상, 평양의 유상, 동래의 내상
Ⅱ. 장시의 발달
1. 장시의 확대 - 15세기 말 남부 지방 → 16세기 중엽 전국확대
2. 장시의 기능
(1) 지방민들의 교역 장소 - 보통 5일
(2) 지역적 시장권 형성 (일부는 상설 시장이 되기도 하였다.)
(3) 싸게 물건 구입
(4) 조선 후기 서민 의식을 성장시킨 요인이 되기도 함
3. 대표적 장시
1) 광주 송파장, 은진 강경장, 덕원 원산장, 창원 마산포장
2) 박천 진두장, 황주 읍내장, 토산 비천장, 평창 대화장, 남원 읍내장, 대구 약령시, 전주 읍내장, 안성 읍내장
4. 보부상의 활동 - 유통망으로 연계, 조합 결성
cf) 보부상 변천 : 보부상 → 혜상공국(보상+부상) → 상리국 → 황국중앙총상회 → 황국협회
→ 상무사 → 공제소, 상민회 → 진명회
Ⅲ. 포구에서의 상업 활동
1. 성장 배경 - 수로운송
2. 역할 변화 - 기지역할에서 상업의 중심지로
3. 상권 확대 - 칠성포, 강경포, 원상포
4. 포구를 거점으로 한 상인
(1) 선상 - 경강상인
(2) 객주·여각 (cf. 1880년대 상회사 설립 - 원산상회소, 의신상회소, 순신창상회)
cf. 18세기에 장시보다 포구 상업이 규모가 컸다.
* 상인의 종류
관허 상인 (어용상인) 관상 |
서울 |
시전상인 |
독점판매 (육의전 중심) |
공인 |
대동법 시행으로 등장, 국가 수요품 조달 역할 | ||
지방 |
보부상 |
장시 거점 (장돌뱅이) | |
자유 상인 사상 |
서울 |
난전 |
시전 장부에 등록이 안 도니 무허가 상인 |
지방 |
경강상인 |
선상, 수송 판매 (한강중심) | |
송상 |
개성상인, 인삼 재배, 청 일본 간 중계무역 | ||
만상 |
의주상인, 대청 무역 | ||
내상 |
동래상인, 대일본 무역 | ||
객주·여상 |
중간 상인, 금융, 창고, 숙박업 |
cf. 거간 - 중개업
<문제>
1. 조선시대에는 양반도 간이 수리 시설을 만들고, 중국의 농업 기술을 도입하는 등 농업에 관심이 많았다? (O)
2. 조선 후기 부농층의 성장으로 신분제가 동요되고 사족의 지위가 약화되었다? (O)
3. 조선 후기에 상민의 수가 감소하여 농민층의 조세 부담이 과중해졌다? (X)
4. 다음 글은 조선 후기 경제 변화에 대한 글이다. 연결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시오. “서민들은 점차 경제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의식하고, 이에 대응하여 삶의 자세를 바꾸어 갔다. 농민들은 생산력을 높이기 위하여 (1) 새로운 영농방법을 추구하였고, [→ 남부 지방 일부에 처음으로 이앙법이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X) ☞ 이앙법 보급은 고려 말 (2) 상품작물을 지배하여 소득을 늘리려고 하였다. [→ 쌀의 상품화가 활발해지면서 밭을 논으로 바꾸는 현상이 활발해졌다?] (O) (3) 상인들도 상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대자본을 가진 상인들도 출현하였다. [→ 금난전권이 폐지되어 시전 상인의 활동이 크게 활성화되었다?] (X) ☞ 시전 위축 (4) 수공업 생산도 활발해져 민간에서 생산 활동을 주도하여 갔다. [→ 원료의 구입과 제품의 처분에서 대부분 상업 자본의 지배를 받았다?] (O) 이런 과정에서 자본 축적이 이루어지고, 지방의 상공업 활동이 활기를 띠었으며, 상업 도시가 출현할 수 있었다.
5. 관상으로는 시전상인(육의전), 보부상, 공인 등이 있고, 사상으로는 난전 상인, 송상, 만상, 경강상인, 객주, 여각 거간 등이 있었다? (O)
6. 다음 내용과 관련 있는 것은? “조선 후기의 관영 수공업은 납포장의 출현과 함께 점차 민영수공업으로 전환되어 갔다. 한편 광업도 설점수세제를 통해 국가 재정의 보충과 대청 교역의 활성화를 꾀했지만, 그 뒷면에는 대민 지배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었다. 이 밖에 이 무렵 국가의 대규모 토목 공사에 동원된 백성ㅇ게도 일정한 급료가 지급되기 시작하였다.” 1) 농민의 토지 이탈과 임노동자의 출현 2) 신분제의 붕괴로 양반의 증가와 상민의 감소 3) 부역제의 해이와 화폐 경제의 발달 ☞ 3번
6. 신분 변동이 활발한 사회현상의 조선 후기 경제적 변화 들 - 이앙법, 견종법, 광작, 도고의 성장, 상품작물의 재배, 경영형 부농과 임노동자 출현
|
Ⅳ. 대외 무역의 발달
1. 청
(1) 공적으로 허용된 무역인 개시와 사적인 후시가 이루어짐
(2) 수입 - 비단, 약재, 문방구
(3) 수출 - 은, 종이, 무명, 인삼
2. 일본
(1) 17세기 이후
(2) 수출 - 인삼, 쌀, 무명, 중계무역
(3) 수입 - 은, 구리, 황, 후추, 은을 다시 청에 수출
3. 사상의 활동
- 국제 무역상 - 만상 (의주), 내상 (동래), 송상 (개성, 만상과 내상을 중계)
[청] |
→비단, 약재, 문방구→ |
<만상> |
→비단, 서적→ |
<송상> |
→인삼, 서적→ |
<내상> |
→인삼, 무명, 쌀→ |
[일본] |
←은, 종이, 무명, 인삼← |
←은, 인삼 ← |
←은← |
←은, 구리, 황, 후추← |
4. 국제 무역의 문제 - 사치품, 국가재정 문제
cf) 중강 - 조선 후기 대청 무역에서 개시와 후시가 모두 발달하였던 곳
‘개시’만 - 경원, 회령
‘후시’ - 책문
Ⅴ. 화폐 유통
건원중보 |
고려 성종 |
최초의 철전 |
활구(은병) |
숙종 |
우리나라 모형을 본따 은 1근으로 주조 |
삼한, 해동, 동국 통보·중보 |
| |
쇄은 |
충렬왕 |
은 |
소은병 |
충혜왕 | |
저화 |
공양왕 |
최초의 지폐 |
조선 태종 |
조선 최초의 지폐 | |
조선통보 |
세종 |
동전 |
팔방통보(전폐) |
세조 |
전시에는 화살촉으로 사용 (유엽전) |
상평통보 |
인조 |
인조, 효종(17세기) (효종 때 전국 유통) |
당백전 |
고종 |
경복궁 중수 비용을 조달 |
당오전 |
고종 |
임오군란에 의한 재정 궁핍, 강화도·의주에서 제조 |
은화, 황·백·적동화 |
갑오개혁 |
|
1. 배경 - 상업발달
2. 과정
3. 동전 발행 증가
4. 화폐 보급의 영향
(1) 긍정적
1) 상품 유통을 촉진
2) 용전론 - 화폐를 이용하자 / 유수원, 박지원
(2) 부정적
1) 제대로 유통되지 않아 시중에서 동전 부족 현상(전황현상 → 영향 : 물가하락)
cf. 물가 상승 = 당백전 발행한 때 (흥선대원군)
2) 고리대나 재산 축적에 이용
3) 폐전론 - 이익과 같은 중농주의 실학자 계열이 주장
5. 신용 화폐의 보급
- 환·어음 등의 신용 화폐가 이용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 실학 (0) | 2009.10.31 |
---|---|
[실학] 국학연구 (조선 후기) (0) | 2009.10.31 |
농업 중심의 실학파 (정약용, 홍대용 등) (0) | 2009.10.30 |
상공업 중심의 실학파 (북학파) (0) | 2009.10.30 |
[조선 후기] 성리학의 변화 (양명학의 수용) (1) | 2009.10.29 |
[조선후기] 서민 경제 (1) | 2009.10.28 |
[조선] 대외관계 (청, 일본) (1) | 2009.10.28 |
[조선 후기] 수취체제 (2) | 2009.10.27 |
[조선 후기] 사회구조의 변동 (신분제, 가족제도, 노비) (2) | 2009.10.27 |
[조선] 동학, 천주교, 예언사상, 홍경래의 난, 농민봉기 (2) | 2009.10.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