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현대사] 6·25 전쟁 (한국전쟁)

by 소이나는 2009. 11. 19.
반응형
 
 


 6·25 전쟁


Ⅰ. 북한 정권의 수립

 

 1. 평남 건국 준비 위원회 결성 (1945. 8.) - 조만식

  

 2. 소련에 의한 북한의 공산화

  (1) 인민 위원회 (1945. 8)

  (2) 조선 공산당 북조선 분국 (45. 10.) - 김일성 책임비서

  (3) 북조선 5도 행정국 설치 (45. 10.) - 조만식 책임자

  (4) 조선 민주당 조직 (45. 11.)

  (5) 북조선 신민당 (46. 2.) - 김두봉

  (6)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 구성 (46. 3.)

   1) 위원장 - 김일성

   2) 사회개혁

    a. 무상몰수, 무상 분배

    b. 남녀평등법, 산업 국유화법

  (7) 북조선 노동당 (46. 8.) - 김두봉

  (8)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수립 (48. 9. 9.)

  (9) 조선 노동당 (49. 6.)


 3. 북한 정권의 남침 준비

 


Ⅱ. 6·25전쟁

 1. 발발

  (1) 배경 - 이승만 정부의 어려움, 미군 철수, 애치슨 선언 (태평양 방위선에 한국 제외, 1950), 중국 공산화

      ☞ 애치슨 선언

       “미국의 극동 방위선은 알류산 열도, 일본 본토를 거쳐 류큐로 이어진다. ~ 방위선은 류큐에서 필리핀으로

        연결된다. ~ 이 방위선 밖에 위치한 나라의 안보에 대해서는 군사적 공격에 대하여 아무도 보호할 수 없다.”

  (2) 발발 - 1950. 6. 25

      → 1950. 7. UN 참전 → 1950. 9. 2. 국군 최후 방어선 → 1950. 9. 15. 인천상륙작전

      → 1950. 9. 28. 서울 수복  → 1950. 11. 1. 압록강 진격 →  1953. 1·4 후퇴 → 1951. 3. 14 서울 재수복

      → 1951. 6.23 휴전협상 → 1953. 7. 27. 휴전 협정

 2. 공산군의 격퇴 - 유엔군 참전 (16개국)  

 3. 중국군의 개입 

 4. 전쟁 중의 이승만 정부의 실정

  (1) 거창 양민 학살 사건 (51)

  (2) 국민 방위군 사건 (51) - 장교가 군수 물자 빼돌림

  (3) 부산정치파동 (52. 5) - 직선제로 헌법 개정 위해 계엄선포

  (4) 발췌개헌 (52. 7.7) - 직선제

  (5) 2대 대통령선거 (52. 8.5)


Ⅲ. 휴정과 전후 복구

 1. 휴전

  (1) 제의 - 소련의 말라크

  (2) 범국민 반대 운동

  (3) 휴전 협정 - 53. 7. 27.

 2. 한미 상호 방위 조약 (53. 10.) 

 3. 6·25전쟁의 피해, 영향, 복구 

 4. 제네바 회담 (1954)

  1) 휴전 협정 이후 유엔 참전국, 한국 등과 공산 국가 3개국이 모여 한국의 통일 문제를 평화적으로 협의한 회담

  2) 한국 통일 및 인도차이나 휴전

  3) 한국 대표 : 변영태, 북 대표 : 남일

 5. 인도 뉴델리 밀회사건 (53. 6. 2.) - 국회의장 신익희, 납북된 조소앙이 밀담하여 중립화하였다고

                                      주장하며 선거에 이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