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3-1. 조선 영조 (영조의 치적, 영조의 탕평책, 이인좌의 난, 임오화변, 사도세자, 청계천 준설, 균역법, 완론탕평, 기유대처분)

by 소이나는 2012. 5. 22.
반응형

 

 

 

1. 초기 탕평책과 한계

  (1) 영조 초기 - 탕평의 교서를 발표

  (2) 을사처분 (1724) - 영조 즉위, 신임사화 진상규명하며 소론 타격

  (3) 정미환국 (1727) - 신임옥사로 노론 파면, 유배된 소론 정권 참여

  (4) 이인좌의 난 (1728)

    1) 경종의 사인에 대한 의혹도 원인 중 하나

    2) 소론과 남인의 일부가 영조가 정통성을 부인 했다며 난을 일으킴

    3) 양반, 중인, 상민 등이 함께 참여

    4) 중소상인을 규합해 청주성을 함락

    5) 결과 : 소론, 남인 계 급진파는 완전히 몰락, 탕평책 추진에 명분 제공

 


 2. 왕권 강화와 붕당의 기반 약화


  (1) 탕평파 육성 (완론 탕평)

    1) 기유대처분 (1729) - 완론 탕평화 : 당파간 의리를 가리지 않고 인재를 쓰겠다.

    2) 탕평채 - 영조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고르다”라는 뜻

    3) 온건하고 타협적인 인물을 등용하여 왕권에 순종시키는데 주력


    ☞ 「전교하기를 “붕당의 폐해가 요즈음보다 심한 적이 없었다. 처음에는 사문 문제에서 분쟁이 일어나더니 이제는

         한쪽 편 사람들을 모두 역당으로 몰아붙이고 이TEk. ~ 지금 나의 이 말은 위로는 종사를 위하고 아래로는

         조정을 진정하려는 것이니 ~ 여러 신하들이 ~ 당습을 제거하고 공평하게 돌아가도록 힘쓴다면

         어찌 나라를 위할 뿐이겠는가?”하였다.」


  (2) 붕당의 기반 약화

   1) 산림 세력 제거

   2) 서원 정리 - 170개소를 헐음

   3) 전랑의 자천제 폐지 - 이조 전랑의 권한 약화 (인사권은 이조판서에게) ➝ 정조에는 이조전랑이 완전히 사라짐


  (3) 붕당 정치치적 의미는 차츰 흐려짐


  (4) 19하교 → 혼둔개벽 → 경신처분 (노론 4대신 중 김창집, 이이명 복구)

      → 신유대훈 (노론 신원) → 탕평비 건립 (1742) : ‘아첨하지 않는 것은 군자의 마음이요~~~’


 3. 탕평책의 한계

  (1) 노론의 우세 - 나주 괘서 사건, 사도 세자의 죽음을 계기로 영조를 지지한 노론이 우세

    1) 나주 괘서 사건 (1755) - 소론인 윤지가 노론의 공격으로 나주로 유배, 나주 목사 이하징 등과 모의 후

                                나라를 비방하는 글을 대자보에 써서 붙였다가 발각되어 사형

    2) 을해옥사 (1755) - 소론계 가문과 학자들을 일망타진

  (2) 시파와 벽파의 대립

   1) 사도 세자 사건 (임오화변 1762)을 계기로 분파

     - 혜경궁 홍씨의 남편이 무고당해 죽음 (정순 왕후 김씨 : 영조의 어린 부인, 숙의 문씨)

   2) 시파 - 사도 세자의 죽음이 지나치다

   3) 벽파 - 당연하다.

  (3) 비변사 권한 강화

  (4) 벌열 형성

 

 4. 영조의 치적

  (1) 정국이 안정

  (2) 제도 정비

   1) 균역법 (1750)

   2) 군영 정비 - 훈련도감, 금위영, 어영청으로 도성 방위 (수성윤음 반포)

   3) 형벌 제도 개선 - 3심제를 엄격히 시행

   4) 신문고 부활

   5) 청계천 준설

  (3) 문헌 편찬

   1) 속대전 (김재로) - 법전

   2) 속오례의 (홍계희) - 국조오례의를 보완

   3) 무원록 (구윤명) - 법의학서

   4) 속병장도설 (박문수, 조관빈) - 무예법

   5) 동국문헌비고 (홍봉한, 신경준)

     - 제도·문물·정치·경제·지리를 체계적으로 총정리한 백과사전 (→ 순종 때 ‘증보문헌비고’로 간행)

   6) 여도지서 (홍문관) - 지리지

   7) 동국여지도 (신경준)

   8) 해동지도

   9) 기타 - 자성편 / 정훈 / 대학어제서 / 대훈 / 경세문답 / 경세편 / 표의록 / 백행록 / 탁지정례 / 농가집성

  (4) 기타

   1) 용호영 (금군 강화)

   2) 탁지정제 실시

   3) 노비종모법 - 여자가 양인이면 子를 양인으로 인정 (노비수를 줄이기 위한 정책)

   4) 노비공감법 - 노비 이탈 방지

   5) 상언(아랫사람이 국왕에게 올리는 글), 격쟁(직접 호소) 활성화

   6) 사형수 3심제

   7) 죄인의 가족을 잡아 가두는 법 폐지, 노비에 대한 상전의 사형 금지

   8) 가혹한 형벌 폐지 → 압슬형, 낙형

   9) 금주령                                                                                 (soy한국사)





<영조>

 1. 전랑권 혁파

   (1) 서승법 - 연공서열 순차로 승진

   (2) 구임법 - 관직의 임기를 채우게 함

 2. 한림회천권 혁파 - ‘한림들이 투표하여 후임 사관 천거’

 3. 대간의 언론권 억제

 4. 산림·공론 부정

 5. 청요직 개방

 6. 동색금혼패 - 같은 당파간 혼인금지

 7. 경연 활성화

 8. 포용적 사상 정책 - 주례, 정관정요 등도 경연에 사용

 9. 양해치사 - 처벌시 노론·소론 균등

10. 쌍거 호대 - 임명시 노론·소론 균등

 



*  [조선] 3. 조선 후기 정쟁의 격화와 탕평정치 (붕당 정치의 변질, 환국, 경신환국, 숙종, 기사환국, 갑술환국, 정유독대, 신축옥사, 경종, 무고의 옥, 장희빈, 숙종의 탕평책, 숙종의 업적)   - 보기 클릭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6. 조선 후기 사회 구조의 변동 (조선 후기 신분제, 중인, 연조귀감, 소청운동, 이진홍, 노비종모법, 친영제도, 호적, 율곡선생 남매 분재기, 신행 김홍도 )  (0) 2012.05.23
[조선] 5. 조선 후기 대외 관계 (청, 백두산정계비, 간도협약, 통신사, 기유약조, 독도의 역사, 울릉도와 독도 문제, 리앙쿠르 암초, 독도, 독도 근거 자료, 통신사 행렬도, 팔도총도)  (0) 2012.05.23
[조선] 4. 조선 후기 세도 정치 (세도 시기, 정순 왕후 수렴청정기, 안동 김씨, 김조순, 붕당의 변질, 순조, 헌종, 철종)  (0) 2012.05.23
[조선] 3. 조선 후기 정쟁의 격화와 탕평정치 (붕당 정치의 변질, 환국, 경신환국, 숙종, 기사환국, 갑술환국, 정유독대, 신축옥사, 경종, 무고의 옥, 장희빈, 숙종의 탕평책, 숙종의 업적)  (0) 2012.05.23
[조선] 3-2. 조선 정조 (정조의 치적, 정조의 업적, 정조의 탕평책, 준론 탕평, 장용영, 규장각, 금난정권 철폐, 신해통공, 문체반정, 금등사건, 홍국영, 초계문신제, 만천명월주이옹, 무예도보통..  (0) 2012.05.22
[조선] 2. 조선 후기 통치 체제의 개편 (비변사 기능 강화, 조선 후기 군사제도, 조선 후기 중앙군, 5군영, 영장체제, 어영청, 수어청, 훈련도감)  (0) 2012.05.22
[조선] 1. 근대사회 (조선 후기 연표)  (0) 2012.05.22
[조선] 22. 조선 전기 문학, 조선 전기 예술 (동문선, 설화문학, 조선 전기 건축, 남이시, 경복궁, 창덕궁, 분청사기, 백자, 청화백자, 평양 보통문, 분청사기 박지연화문편병, 분청사기 조화박지..  (2) 2012.05.21
[조선] 21. 조선 전기 과학 기술의 발달 (자격루, 조선 천문학, 측우기, 앙부일구, 칠정산, 인지의, 규형, 물시계, 해시계, 천상열차분야지도, 조선 전기 농서, 최해산, 조선 전기 병서, 혼천의, 향..  (0) 2012.05.21
[조선] 20. 조선 전기 종교 (조선 불교, 조선 도교, 조선 민간신앙, 도참사상, 소격서, 원구단, 종묘, 사직, 석보상절, 참성단)  (0) 2012.05.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