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사회
1608 - 대동법 (경기도) 1609 - 기유약조 (일본) 1610 - 동의보감 1623 - 인조반정 1624 - 이괄의 난 1627 - 정묘호란 1628 - 벨테브레이 제주도 1631 - 정두원, 천리경, 자명종, 화포 전래 1636 - 병자호란 1645 - 소현 세자, 과학·천주교 등 전래 |
1708 - 대동법 (전국확대) 1712 - 백두산정계비 1725 - 탕평책 1750 - 균역법 1763 - 고구마 전래 1776 - 규장각 설치 1785 - 대전통편 1786 - 서학 금지 |
1653 - 하멜, 제주도, 시헌력 1658 - 제2차 나선 정벌 1659 - 대동법 (호서지방) 1662 - 제언사 1678 - 상평통보 1696 - 안용복, 독도에서 일본인 축출 |
1801 - 신유박해 1811 - 홍경래의 난 1831 - 천주교 조선 교구 설치 1839 - 기해박해 1860 - 동학(최제우) 1861 - 대동여지도 (김정호) 1862 - 임술 농민 봉기 1863 - 고종, 흥선 대원군 1865 - 경복궁 중건 |
T) 순서 나열 : 강홍립의 중립외교 (광해군) → 정봉수, 이립의 의병활동 (정묘호란)
→ 이완, 임경업의 북벌운동 (인조, 효종) → 변급, 신유의 활동 (나선정벌)
근대 사회로의 지향
근대의 세계
Ⅰ. 서양
1. 근대 사회로의 이행 - 르네상스, 종교개혁, 중앙 집권제 추구경향
2. 절대 왕정 - 영국의 엘리자베스 1세, 프랑스의 루이14세
3. 근대 시민 사회의 성립 - 시민혁명, 산업혁명, 나폴레옹 전쟁
4. 근대 문화의 융성
Ⅱ. 동양
1. 서양 열강의 아시아 침략
2. 민족, 자강운동
1) 중국 - 태평천국 운동, 양무운동
2) 일본 - 메이지 유신
3) 인도 - 세포이 항장, 스와라지 운동
근대사회
Ⅰ. 사회 변화, 서민 의식의 성장
1. 양반 사회의 동요 (16세기, 조선 중기)
(1) 정치 - 정쟁 빈발, 보수적 성향
(2) 사회, 경제
1) 농장 확대 - 지주 전호제 강화
2) 군적 수포제 실시 - 양반과 상민의 구분을 확연히 하기 위한 군역제도
3) 환곡의 문란 - 고리대
4) 방납의 폐단
5) 부역제의 해이
(3) 사상 - 이기론 중심
2. 농민의 처지와 자구책 - 이농화, 민란 봉기(임꺽정)
3. 농민의 각성
(1) 근대 사회의 태동 - 피지배층의 농민이 사회 변화를 주도
(2) 농민 의식의 성장
1) 서당교육, 한글 소설의 보급 (홍길동전)
2) 장시의 발달 - 농촌 정보교환, 오락 장소, 사회의식의 성장에 기여
3) 판소리, 타령 등 통한 비판
Ⅱ. 근대 사회로의 움직임
1. 근대 사회의 태동
(1) 근대 사회의 맹아 (17~19세기)
(2) 자본주의 사회, 평등한 사회, 합리화, 민주 정치가 구현
2. 근대 사회로의 움직임
(1) 영농 기술 개발, 경영의 합리화 (이앙, 이모)
(2) 독점적 도매상인 - 도고, 선대제 수공업
(3) 부의 축적, 신분제의 퇴색 (납속책, 공명첩), 서얼
(4) 실학연구, 천주교의 전래, 동학의 창시
(5) 민란발생, 분당 정치가 세도 정치로 변질 (정치 한계)
(6) 자율적, 주체적, 내재적 역량
(7) 금·은광 개발, 덕대 출현
(8) 민영 수공업 발달, 시장 판매, 사상의 활동, 화폐유통
(9) 정치적으로는 제대로 변화의 움직임을 수용하지 못했다.
(10) 한글소설, 사설시조, 민화
(11) 탕평책은 세도정치로 이어지고 근대적으로 수용되지 못하였다.
cf) 근세 (전기)
1) 왕권, 중앙집권, 왕·신하균형, 유교정치
2) 양인증가, 능력이 보다 존중
3) 교육 기회 확대, 정신·기술 진작, 민족문화 기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