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개 - 17세기 우리나라 사신 들이 베이징 천주당을 방문 후 한문교리서를 통해 ‘서학’으로 소개 (x-프랑스 신부)
광해군 |
허균 |
최초의 신자 |
이수광 |
‘지봉유설’에서 ‘천주실의’를 소개(최초로 천주교 소개), 불교와 차이점 언급 | |
유몽인 |
‘어우야담’에서 유·불·선과 천주교의 차이점을 논함 | |
인 조 |
정두원 |
천주교서적, 화포, 자명종, 천리경 수입 |
소현세자 |
북경에서 아담 샬로부터 천주교 서적, 천주상, 과학 서적 수입 |
2. 천주교의 신앙 활동 - 18세기 후반 (남인 계열 실학자), 한글로 번역된 교리서 보급
3. 천주교의 금압
(1) 초기 - 정부가 스스로 사라질 것이라 여김
(2) 원인 : 전례문제가 계기 - 유교의 제사 의식 거부하자 신분질서 부정과 국왕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생각
(3) 추조 적발 사건 (정조 1785)
- 김범우의 집에서 예배를 보다가 의금부(추조)에 적발 - 혹세무민하는 사교로 규정하여 금지령 (soy 한국사)
T) 남인 학파 인물 가운데 서학의 수용에 비판적인 인물은? 안정복「천학문답」
4. 천주교의 박해
* 신해 → 신유 → 기해 → 병오 → 병인
(1) 사교로 규정 (추조적발사건 1785 - 정조) : 역관 김범우의 신앙 집회 발각
(2) 신해박해 (정조, 1791)
1) 최초의 박해
2) 진산 사건 : 윤지충의 신주 소각 사건이 발달
3) 천주교에 관대하던 시파의 시기라 큰 탄압은 없음
(3) 신유박해 (순조, 1801)
1) 노론 벽파가 남인 시파를 축출하며 정치적으로 박해 → 시파 위축, 실학 쇠퇴
2) 이승훈, 이가환, 정약종 (남인), 청나라 신부 주문모 = 사형 / 정약전, 정약용 = 유형
3) 황사영 백서사건 발생 - 북경 프랑스 주교 주교에게 북경의 군대를 동원해 조선의 신앙과 포교의 자유를
보장받게 해달라는 서신이 발각 → 탄압이 심해짐 (X-로마주교)
4) 조선 교구의 설립 (1831)
(4) 기해박해 (헌종, 1839)
1) 풍양 조씨가 세도하며 천주교 탄압
2) 프랑스 신부 (모방, 샤스탕), 정하상(정약전 아들) = 순교
3) 오가작통법 실시 - 연대 책임제
4) 척사윤음 발표 - 사교를 배격하자는 내용
5) ‘상재상서’ - 정하상이 작성 : 재상에게 올리는 글이라는 뜻으로, 천주교 교리의 정당성을 알리고자 작성
“죽은 사람 앞에 술 음식을 차려 놓는 것은 천주교에서 금하는 일입니다. 살아 있는 동안에도 영혼은
술과 밥을 받아먹을 수 없는데, 하물며 죽은 뒤 영혼이 어찌하겠습니까?”
(5) 병오박해 (헌종, 1846) - 한국인 최초의 신부 김대건 순교
(6) 병인박해 (고종, 1866)
1) 최대의 박해
2) 프랑스 신부 9인, 남종삼 등 수천명 순교 → 프랑스의 침입, 병인양요 발발의 구실
5. 천주교 교세의 확장
(1) 남인 시파 등 불우한 계층
(2) 확장 배경 - 불안한 사회, 신앞에 평등이라는 교리에 공감
(3) 하층민과 여성들로부터 큰 호응
cf) 실학자 이익은 ‘천주교의 천당 지옥설은 불교의 윤회설과 마찬가지로 세상을 현혹하는 종교이다.’ 라고 함
cf) 이규경, 최한기는 서양세계에 대한 과감한 개방과 통교를 주장
* [조선] 8. 조선 후기 사회 (예언사상, 비기, 도참, 조선 후기 종교,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 보기 클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