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6. 조선 후기 사회 구조의 변동 (조선 후기 신분제, 중인, 연조귀감, 소청운동, 이진홍, 노비종모법, 친영제도, 호적, 율곡선생 남매 분재기, 신행 김홍도 )

by 소이나는 2012. 5. 23.
반응형

 

 

 

 

 

사회 구조의 변동


Ⅰ. 신분제의 동요

 

 1. 신분제의 분화

  (1) 조선 전기 신분제의 특징

   1) 법제적 - 양인과 천민으로 구분하는 양천제 표방

   2) 실제적 - 반상제로 양반, 중인, 상민, 천민 네 계층으로 분화

  (2) 조선 후기 신분제 경향 - 양반수 증가, 상민·농민은 감소 (면천, 납속, 족보 위조)


 2. 양반층의 동요

  (1) 붕당 정치가 변질

  (2) 분화

   1) 벌열 양반

   2) 몰락 양반의 향반·잔반화

 


Ⅱ. 중간 계층

 1. 역할 증대 - 서얼과 중인 등 중간 계층의 역할이 커짐 

 2. 사회적 제약 - 서얼(문과 응시 금지, 승진제한), 기술직 중인(고급 관료로 진출제한)

 3. 신분 상승 노력

  (1) 서얼

    1) 왜란 이후부터 차별이 완화 : 납속책, 공명첩을 통해 관직 진출

       a. 납속에 의한 양인화는 왜란 이전부터 있어왔던 것이다.

       b. 공명첩 - 평민의 합법적인 신분상승 방법

       c. 납속책 - 신분제 동요원인

    2) 상소운동 : 영·정조 때 어느 정도 등용 → 홍문관 같은 청요직으로 진출 허용

    3) 규장각 검서관으로 등용 - 유득공, 이덕무, 박제가 (정유서얼 허통절목)

    cf) 1851 '신해통공‘으로 완전한 청요직으로의 허통이 이루어졌다.

  (2) 신분상승 노력 (중인, 중서)

    1) 철종 때 대규모의 소청운동이 벌어짐 - 성공은 X

    2) 전문직으로 역할 부각

    3) 역관들은 새로운 사회 수립 추구                                                                                                      (soy 한국사)

    
   ☞「연조귀감」 - 중인

     “수령으로는 많은 백성들을 통솔하여 다스릴 수가 없으므로 아전들을 두어 6방에 나누어 배치하기를

      조정의 6조처럼 하였습니다. ~ 조정에서도 인장을 만들어 주어 수령에게 일이 생기면 호장이 그 인장을

      사용하고 관청 사무를 대행하도록 합시다. ~ 엎드려 바라옵건대 다른 벼슬처럼 똑같이 월급을 지급하도록

      분명한 명령을 내려 주십시오.”


 4. 사회적 공헌

    1) 외래문화 수용에 선구적 역할, 조선 후기의 큰 변화, 중인들의 역사를 독자적으로 편찬

    2) 이진택 - 규사 (서얼 관련)

    3) 이진홍 - 연조귀감 (향리의 역사서)

    4) 조희룡 - 호산외기

    5) 유재건 - 이향견문록

  5. 시사를 조직하여 문학 활동 전개

  6. 일부는 개항, 개화사상의 선구자가 됨, 서학 등 외래문화 수용에 주도적 역할


Ⅲ. 노비의 해방

 1. 노비 신분의 변화

  (1) 신분 상승

  (2) 공노비를 납공 노비로 전환

  (3) 노비종모법 실시 (영조, 1744) - 어머니가 양민이면 양민

 2. 도망 노비의 증가 : 노비 부담의 증가  → 정부는 신공을 줄여 달래기도 함

    T) 노비가 양인으로 신분을 상승시키는 과정은 주로 도망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나, 군공이나 종모법 등

       합법적인 종량 정책도이를 촉진시켰다.

 3. 노비의 해방

  1) 공노비 - 18세기 후반에 일부 해방, 순조(1801)

  2) 사노비 - 갑오개혁(1894) 때 신분제가 폐지


 






* 작개지 - 외거노비가 주인에게 수확량을 모두 바치는 땅

* 사경지 - 외거노비가 수확량을 가지는 땅

* 평민층은 대개 돈을 주고 호적을 위조하거나 족보를 사들임으로써 양반 신분을 얻었다.

(http://koreas.tistory.com) (http://desert.tistory.com)




Ⅳ. 가족 제도의 변화와 혼인

 

 1. 가족 제도의 변화 - 부계 위주

  

 2. 가족 제도의 변화 과정

  (1) 조선 중기  (율곡선생 남매 분재기 - 상속의 내용을 작성한 문서)

  (2) 조선 후기 (17세기 이후) - 양자 입양 일반화

  (3) 변화 원인 - 16c 말 이후 성리학적 명분론을 중시하는 사림이 성장, 성리학적 가족 윤리가 보급


 

고려~조선 전기

조선 후기

가족범위

 부계, 모계

 부계 위주

혼인

 왕실 - 친족간 혼인

남귀여가혼 - 여자 집에가 생활

친영제도 (예절, 의식의 발달) - 남자 집으로

재산상속

 자녀 균분

장자 우대, 자녀 차등

제사

 자녀들의 제사권 공유

 적장자의 재산권 독점

가계 계승

 아들 없으면 딸·외손이 가계 계승

 족보에 모계사위 기재

 부계 위주의 족보

주거지

 처가 거주, 처가의 호적에 입적도 함

동성 마을의 형성과 종중의 형성

특 징

 여성의 사회적 진출에는 제한 있으나

 남성과 거의 대등

 가부장적 종법 질서, 적서 차별

 부계 친족 중심, 친영제도


 3. 가족 윤리 강조 - 효, 정절


 4. 혼인 풍습

  (1) 엄격한 족외혼

  (2) 첩 소생의 차별 정책

  (3) 법적으로 남자 15세, 여자 14세 혼인 실제는 남녀모두 20세 전후에 혼인

 


[율곡선생 남매 분재기 - 상속한 내용을 작성한 문서]


[신행 - 김홍도]

Ⅴ. 인구의 변동

 

 1. 호구 조사

  * 호적

    1) 3년마다 작성

    2) 4조(증조, 조, 부, 외조), 성명, 본관, 노비, 머슴 기록

    3) 호구 단자 작성

    4) 3부를 만듦 - 중앙, 관아, 가정

    5) 호적대장의 보관 - 중앙의 호조, 한성부, 지방의 군현, 감영

    6) 호적 누락자는 과거에 불합격처리

    7) 1인 호구의 호적 등재도 허용

    T) "지금 호남의 백성들을 볼때 대략 100호가 있다고 한다면, 그중 다른 사람에게 토지를 빌려주고 지대를 받는 자는 불과 5호에 지나지 않고,

         자기토지로 농사짓는 자는 25호이며, 타인의 토지를 빌려지으면서 지대를 바치는 자가 70호나 된다"  - 정약용 -

         위 시기의 호적대장에서 급증하는 호구는?    = 양반호 


 

 2. 인구의 변동

  (1) 경상, 전라, 충청에 50%, 경기 강원에 20%, 평안, 황해, 함경에 30% 가 거주

  (2) 후기로 갈수록 한성에 몰림

 

  T) 서얼, 서리 - 조선 후기 하나의 독립된 신분층, 관청 가까운 곳에 거주, 직역을 세습, 신분 안에서 혼인


[명부]

1) 선원록 - 조선 왕실의 족보      2) 성화보 - 최초의 왕비 족보 (안동 권씨)

3) 청금록 - 서원의 학생 명부      4) 향안 - 지방 양반의 명부



 

[참고] 울산의 호적분포

시기

양반호

상민호

노비호

1729

26.29

59.78

13.93

1765

40.08

57.01

2.01

1804

53.47

45.61

0.92

1867

65.48

33.96

0.56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8. 조선 후기 사회 (예언사상, 비기, 도참, 조선 후기 종교,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0) 2012.05.25
[조선] 8-3. 조선 후기 (19세기) 농민 봉기 (홍경래의 난, 임술농민봉기)  (7) 2012.05.24
[조선] 8-2. 동학의 개창 (최제우, 용담유사, 동경대전)  (2) 2012.05.24
[조선] 8-1. 조선 천주교의 전래 (신해박해, 신유박해, 병인박해, 기해박해, 병호박해, 남인, 진산 사건, 추조 적발 사건)  (0) 2012.05.24
[조선] 7. 조선 후기 향촌 질서의 변화 (부농층, 요호부민, 사족 양반, 향전, 동족부락, 사우, 임노동자, 조선 후기 농민, 자리짜기 김홍도)  (0) 2012.05.24
[조선] 5. 조선 후기 대외 관계 (청, 백두산정계비, 간도협약, 통신사, 기유약조, 독도의 역사, 울릉도와 독도 문제, 리앙쿠르 암초, 독도, 독도 근거 자료, 통신사 행렬도, 팔도총도)  (0) 2012.05.23
[조선] 4. 조선 후기 세도 정치 (세도 시기, 정순 왕후 수렴청정기, 안동 김씨, 김조순, 붕당의 변질, 순조, 헌종, 철종)  (0) 2012.05.23
[조선] 3. 조선 후기 정쟁의 격화와 탕평정치 (붕당 정치의 변질, 환국, 경신환국, 숙종, 기사환국, 갑술환국, 정유독대, 신축옥사, 경종, 무고의 옥, 장희빈, 숙종의 탕평책, 숙종의 업적)  (0) 2012.05.23
[조선] 3-2. 조선 정조 (정조의 치적, 정조의 업적, 정조의 탕평책, 준론 탕평, 장용영, 규장각, 금난정권 철폐, 신해통공, 문체반정, 금등사건, 홍국영, 초계문신제, 만천명월주이옹, 무예도보통..  (0) 2012.05.22
[조선] 3-1. 조선 영조 (영조의 치적, 영조의 탕평책, 이인좌의 난, 임오화변, 사도세자, 청계천 준설, 균역법, 완론탕평, 기유대처분)  (0) 2012.05.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