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문종, 단종(1) 왕권 약화(2) 재상 중심의 정치 - 김종서, 황보인 ➝ 수양대군이 김종서 등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름(3) 이징옥의 난 (단종 1453) - 함길도 조절제사 이징옥이 ‘대금황제’라 칭하고 반란6. 세조 (1455~1468) - 왕권 강화(1) 계유정난 (癸酉靖難 ) (1453) - 사육신과, 김종서, 김시습 등 생육신을 제거 (→ 훈구파 형성 시작)(2) 6조 직계제 부활“상왕(단종)이 어려서 무릇 조치하는 바는 모두 대신에게 맡겨 논의 시행하였다. 지금 내가 명을 받아왕통을 계승하여 군국 서무를 아울러 모두 처리하며, 조종의 옛 제도를 모두 복구한다.”(3) 경국대전 편찬 시작 - 호전•형전 간행(4) 집현전 폐지 - 사육신 제거 계기 (성삼문, 박팽년, 이개, 하유지, 유성원, 유응부 등)(5) 유향소 폐지 - 이시애가 지역 차별에 반발 난을 일으켰고, 유향소가 이를 후원하였다며 폐지 “회령부사 이시애는 그의 본거지 길주(吉州)에서 군사를 일으켜 함길도의 수령을 함길도인으로 삼을 것을 요구하였다.”(6) 토지제1) 직전법 실시 - 현직만 과전의 수조권 지급2) 둔전 설치3) 공해전을 국용전으로 편입(7) 인지의•규형 발명 - 토지 측량기구(8) 팔방통보 주조(9) 호패제도, 호적 제도 강화 - 황간 제도 시행, 면리제, 오가작통법(10) 국방 강화 - 5위제, 진관 체제(일원적 군사체계 강화), 보법의 제정(11) 원상제 (院相制) 실시 – 어린 임금이 즉위할 경우 재상들이 임금을 보좌하는 제도 (신숙주, 한명회)(12) 불교 진흥1) 간경도감 (刊經都監) 설치 (1461) - 월인석보 편찬2) 원각사 (圓覺寺) 건립 (1464)(13) 편찬 - 국조보감, 팔도지리지, 사시
soy 한국사, soy 국사, 한국사, 국사, 교육, 사회, 역사, 일라뽕구, 조선,
soy 블로그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찬요, 정관정요주(14) 내수사 (內需司) 설치 - 이조의 아문, 토지 겸병, 왕실 재산 관리7. 성종 (1469~1494, 예종 사망 후)(1) 경국대전 반포(2) 홍문관 (弘文館) 설치 (옥당) - 집현전을 계승 (관원 모두에게 경연관을 겸하게 함), 예문관에서 홍문관을 분리(3) 유교 정치 이념 강화1) 사림파 등용 - 김종직, 김굉필, 김일손 등 (훈구파 견제) → 삼사, 문학직에 포진2) 유향소 부활 - 향촌질서 확립3) 도첩제 폐지 - 승려의 출가 금지 → 산간 불교화4) 간경도감 폐지5) 삼사의 기능 강화가. 홍문관의 기능 강화 a. 언관화 (言官化), 언론기관 b. 경연 중 의견 표시 c. 홍문록 장석d. 대간 탄핵권 인정e. 이조•병조의 낭관으로도 임명나. 대간 기능 강화 a. '차차‘시행 - 간단한 서식의 상소문b. '원의제‘시행 - 언론의 합의된 의견c. 불문언근(不問言根)d. 홍문관 기능 강화6) 독서당 (讀書堂 ) (호당) 부활(4) 관수 관급제 - 국가가 농민에게 직접 조세를 거둔 후 다음 관리들에게 녹봉을 현물로 지급(5) 동국통감, 동문선, 동국여지승람, 악학궤범(6) 편찬1) 경국대전a. 6전 - 이•호•예•병•형•공b. 통일적 체계, 추상적 조문c. 우리 고유의 양법을 성문화2) 국조오례의 - 5례 기록3) 삼국사절요 - 단군 ~ 삼국, 편년체, 서문(서거정)4) 동문선 - 시문을 모아 편찬, 자주성 (서거정)5) 동국여지승람6) 동국통감 (서거정, 이극돈) - 고조선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편찬한 역사서7) 악학궤범 (성현, 유자광) - 음악의 원리와 역사, 악기, 무용 등을 망라하여 정리한 음악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