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19. 임진왜란 (이순신 장군, 왜군, 왜란 의병, 정유재란, 관우 숭배, 비격진천뢰, 공명첩)

by 소이나는 2014. 2. 11.
반응형



<3> 양란Ⅰ. 왜군의 침략1. 왜란 전의 정세(1) 조선1) 국방력 약화 - 16세기 이후 a. 5위제 붕괴- 갑사들의 녹봉 중단 등으로 군인의 질적 저하b. 방군수포제 (放軍收布制) 시행 - 정군의 수 감소2) 16세기 이후 침략 격화a. 삼포 왜란 (1510)b. 을묘왜변 (1555)3) 대응 - 비변사 설치, 이이(만언봉사)의 10만 양병설은 채택되지 못함(2) 일본1) 통일 - 도요토미 히데요시 (풍신수길) 2) 통일 직후 제후들을 견제, 분산하기 위해 침략3) 정명가도 (征明假道) - 명을 치러 가는데 길을 열어 달라2. 왜란의 발발(1) 침략 - 1592년 4월 : 부산진, 동래성 - 정발과 송상현이 분전 끝에 함락         [왜란의 발발](2) 북상 1) 신립의 패전 - 충주에서 배수의 진2) 선조의 피난 - 평양, 함경도까지 침입(3) 2개월 남짓 참패 후 조선군 우세T) 왜란 초기 쉽게 패 - 관군이 유명무실한 원인? 방군수포법의 실시 (군역 면제해 주고 면포로 수취)Ⅱ. 수군의 승리 (이순신의 활약)1. 전라좌수사, 판옥선, 거북선2. 옥포 해전 - 첫 승리3. 사천 전투 - 거북선 최초 사용4. 당포•당항포 해전 - 전라 우수사 이억기와 경상 우수사 원균이 합세5. 한산도 대첩 - 학익진6. 안골포 해전 - 제해권 완전 장악, 서해 진출 차단7. 부산포 해전8. 이순신의 3대첩 - 한산도대첩, 명량 대첩, 노량해전“~ 적장 소서행장은 평양에 이르러 글을 보내 말하기를, ‘일본의 수군 10만여 명이 또 서해로부터 올 것입니다.알지 못하겠습니다만 대왕의 행차는 이로부터 어디로 가시겠습니까?’ 하였는데~”밑줄 친 부분과 같은 사실이 임진왜란 때 나타나게 된 직접적인 배경은?➝ 이순신의 승리로 왜의 수륙 병진 작전이 좌절되었기 때문이다.「병법에 이르기를, “꼭 죽으리라 결심하고 싸우면 살 것이요, 꼭 살리라 마음먹고 싸우면 죽을 것이다.”라고 하였다.또 이르기를, “한 사람이 길목을 지켜 내면 넉넉히 천 사람도 두렵게 할 수 있다.”라고 하였다. 이것은 바로 오늘의 우리를 두고 이른 말이다. 너희들 모든 장병들은 조금이라도 영을 어기는 일이 있으면 군법으로 다스려작은 일이라고 용서치 아니할 것이다.」- 명량대첩Ⅲ. 의병의 항쟁1. 봉기 - 농민이 주축, 전직 관리, 사림 양반, 승려2. 관군에 편입3. 곽재우 - 경상도 의령 - 진주에서 김시민과 활약 (북인), 최초의 의병, 천강홍의장군4. 김천일 - 전라도 나주 - 진주 혈전5. 조 헌 - 충청도 옥천, 청주 - 700의총 - 승장 영규와 합세, 금산에서 고경명 등과 전사6. 고경명 - 전라도 담양, 장흥 - 금산에서 전사7. 정문부 - 함경도 경성, 길주8. 김덕령 - 전라도 담양 - 이몽학의 난에 연루되어 사망9. 유 정 - 금강산 - 사명당이라 불림, 포로쇄환사로 일본에 건너감10. 휴 정 - 묘향산 - 서산대사라 불림 - 제자로 영규, 유정이 있다.11. 이정암 (연안), 김면 (고령), 정인홍(합천), 권응수 (영천), 김해(예안), 고종후(담양), 홍계남(안성), 우성전 (강화), 영규(의승) - 공주, 금산 전투에서 사망Ⅳ. 전란의 극복1. 전세의 전환(1) 배경 - 수군의 승리, 명의 참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소이 한국사, soy블로그, 임엉봉미, 교육, 사회, 역사, 조선,

soy 블로그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전(2) 반격 1) 평양성 탈환 - 조명 연합군과 휴정, 유정, 유성룡 + 이여송 명군2) 행주 대첩 (1593)2. 왜란 중의 군비 강화(1) 중앙군 - 훈련도감을 설치 삼수병(포, 사, 살수) 양성(2) 지방군 - 속오법 실시 - 속오군(양반, 노비)(3) 군비 보강 - 화포 개량, 조총제작3. 정유재란 (1597)(1) 재차 침입(2) 직산 소사평 전투 (vs 구로다군)에서 승리(3) 명량 대첩 (4) 칠천량 해전 - 원균 대패, 전사(5)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과 철군(6) 노량 해전 - 이순신의 마지막 전투, cf) 조선시대 군사제도 = 잡색군(전기 특수군) → 속오군(세조)→ 훈련도감(선조) → 장용영(정조) → 별기군(고종)T) 왜란 후 도쿠가와 막부의 강력한 요청을 받아들여 국교를 재개[왜란, 재란의 경과]1592 4월 - 침략, 곽재우, 조헌 의병5월 - 서울 함락, 거북선 처음 이용 (사천 전투)6월 - 평양 함락, 명 원군 1진 도착7월 - 한산도 대첩(이순신), 휴정의 승병8월 - 금산 전투 (조헌, 영규 전사), 명 일본과 화친 교섭 (심유경)10월 - 진주 대첩 (김시민) – 관군 (x-  의병장)12월 - 명군 2진 (이여송) 도착1593 1월 - 평양 수복 (휴정, 이일, 유성룡, 이여송1월 - 벽제관 전투 - 이여송 패전2월 - 이치전투 (금산 근처), 권율2월 - 행주 대첩 (권율)4월 - 서울 탈환5월 - 명, 도요토미와 화친 논의 (심유경)6월 - 진주성 함락 (김천일, 논개 전사)1594 2월 - 훈련도감 설치11월 - 속오군 편성1596 7월 - 이몽학, 홍산에서 난8월 - 김덕령 옥사 (이몽학의 난 연루)9월 - 도요토미, 조선 재침 1597 1월 - 정유재란2월 - 이순신, 무고로 하옥3월 - 명군 2차 출병7월 - 원균 전사, 이순신 삼도 수군통제사 임명9월 - 명군 직산에서 일본군 대파, 명량대첩1598 8월 - 도요토미 사망 후 철수11월 - 노량해전 이순신 전사, 일본군 철수Ⅴ. 왜란의 영향1. 왜란의 승리 요인(1) 민족의 잠재적 역량 우월 - 전 국민적 차원의 국방 능력은 능가(2) 문화적 우월감(3) 무기와 전술의 우수 - 비격진천뢰(이장손) / 화차(변이중) 등 무기 발명2. 국내적 영향(1) 비변사 기능 강화 - 의정부 유명무실(2) 3사의 언론 기능이 붕당의 이해를 대변하는 경향이 강해졌다.(3) 인구 감소, 국가 재정 감소(4) 담배, 고추, 호박, 토마토 전래                                                        [공명첩](5) 납속책•공명첩 시행 (공명첩 (空名帖) : 부유층으로부터 돈이나 곡식을 받고 팔았던 명예직 임명장)   * 납속책, 공명첩 - 정부의 재정 확보책의 하나로 신분이나 직첩을 매매하여 합법적으로 신분을 상승하는데 영향(6) 이몽학이 민란 봉기(7) 불국사, 경복궁 사고 등 소실 (전주사고는 보존), 창덕궁•창경궁도 소진(8) 존화사상 고조, 실학 태동(9) 관우 숭배 사상 전래, 숭명사상 강화(10) 군사 1) 척계광의 「기효신서」를 얻어 ‘절강무예’ 조련2) 훈련도감 설치3) 진관체계 복구4) 속오법 실시5) 비격진천뢰, 화차, 조총                                                        [비격진천뢰]cf) 「동사강목」 <오운> - 왜란 때 경상도에서 의병에 참여했던 경험을 살려 역대 애국명장의 활약을 드러내고 있다.3. 국제적 영향(1) 여진족의 흥기 - 명과 청의 교체(2) 일본 중세 문화 발전 - 성리학, 출판술, 도자기 문화 발달의 토대 마련1) 임진왜란을 도자기 전쟁이라고도 함 - 이삼평, 심당길2) 강황 - 제2의 왕인으로 평가, 「강양록」(기행문)(3) 도쿠가와 막부 성립(4) 기유약조 체결(5) 명•청 교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