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남북국시대] 1. 통일신라 (무열왕, 김춘추, 문무왕, 신문왕, 만파식적, 대왕암, 김흠돌, 성덕왕, 경덕왕, 혜광왕, 96각간의 난)

by 소이나는 2019. 1. 4.
반응형




<4> 남북국 시대


 

박혁거세~지증마립간

법흥왕~진덕여왕

무열왕~혜공왕

선덕왕~경순왕

삼국유사

상고

중고(불교식 왕명기)

하고

삼국사기

상대

중대

하대

혈 통

성골 (聖骨)

진골 (眞骨)

계 열

내물계 김씨

무열계 김씨

내물계 김씨

왕 권

약함

강함

약함

수 상

상대등

시중(중시)

상대등


 

참고

 

* 삼국유사 : 왕의 명칭 기준 분류

* 삼국사기 : 골품에 의한 왕실 혈족관계 기준 분류

* 중대 : 녹입 치폐를 두고 국왕과 진골의 갈등, 선종전래

 


Ⅰ. 통일 신라


1. 통일 직후 신라의 상황 : 번영, 생산력 증가

 

2. 신라 중대 (왕권강화)

 

  [문무왕 - 신문왕 - 효소왕 - 성덕왕 - 효성왕 - 경덕왕 - 혜공왕 - 선덕왕 - 원성왕 - 소성왕 - 애장왕 - 헌덕왕 - 흥덕왕 - 희강왕 - 민애왕 - 신무왕 - 문성왕 - 헌안왕 - 정강왕 - 진성여왕 - 효공왕 - 신덕왕 - 경명왕 - 경애왕 - 경순왕]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1) 무열왕 : 김춘추 (654 ~ 661)

 1) 직계의 세습 : 왕권 강화

 2) 집사부 시중(중시)의 세력 강화, 집사부 시랑직에 6두품세력 진출.

 3) 상대등 세력 역제

 4) 김유신의 후원 - 알천과의 경쟁에서 승리

 5) 갈문왕(유력자에게 주어진 칭호) 제도 폐지

 6) 사정부 정비

 7) 중국식 왕호

 8) 백제 멸망 (660)

 9) 이방부격 60여조 수정 (율령개편)

 

(2) 문무왕 (661 ~ 681) : 왕권의 전제화

 1) 귀족파 숙청 - ‘불휼국사’의 명분

 2) 좌사록관, 우사록관 설치 - 왕권파에게 녹읍지급

 3) 귀족파 반란 - 박도유, 수제, 대토

 4) 삼국통일 (676)

 5) 당문화 수용

 6) 무열왕의 아들

 7) 서당, 소경을 추가설치

 8) 대왕암 (수중릉)

    “내가 죽은 뒤 10일이 되면 불교식으로 화장하고 장례는 검소하게 하라. 국경 지방의 여러 성과 주현의 세금은 그것이 필요치 않거든 헤아려 폐하도록 하고, 율령격식에서 불편한 것이 있으면 편리하게 고쳐라.”

    “내가 죽은 후에 호국 대룡이 되어 불법을 숭상하고 나라를 수호하려 한다.”

 9) 감은사 축조

 

(3) 신문왕 (681 ~ 692)

 1) 중앙 관제 : 14부 완성, 예작부 설치

 2) 지방 관제 : 9주 5소경, 상수리제도

 3) 군사 제도 : 중앙군 9서당, 지방군 10정

 4) 교육 제도 : 국학, 유학 (유교 정치 이념 시도)

 5) 토지 제도 : 관료전을 지급(687) - 수조권만 인정, 녹읍폐지

 6) 사회 정책 : 귀족 숙청 ➝ 왕의 장인인 김흠돌의 모역사건(681) 무열계 전제 왕권 강화가 배경

 7) 사상 정책 : 유학 강조, 의상 : 화엄종개창

 8) 만파식적 (萬波息笛) (신성한 악기) : 왕실의 번영과 평화를 상징, 이현대(동해)에서 얻음

    cf. 단군신화의 처부인, 진평왕의 옥대, 이성계의 금척 같은 성격

 9) 감은사 완공

10) 달구벌 천도계획 – 실폐

11) 5묘의 확립(687)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만파식적

 

왕이 배를 타고 산으로 들어가니 용이 검은 옥띠를 바쳤다. 왕이 같이 앉아 물었다. “이 산과 대나무가 어떤 때에는 갈라지고 어떤 때는 맞붙고 하니 무슨 까닭인가? 용이 대답하였다. “비유로 말씀드리면 한 손으로 치면 소리가 나지 않고 두 손으로 쳐야 소리가 나는 것과 같습니다. 이 대나무는 합쳐야만 소리가 납니다. 폐하께서 소리로써 천하를 다스릴 좋은 징조입니다. 이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어 불면 천하가 화평해질 것입니다. 지금 아버님(문무왕)께서 바다 가운데 큰 용이 되시고 김유신도 천신이 되었습니다. 두 분 성인이 마음을 합하여 이같이 값으로 헤아릴 수 없는 큰 보물을 만들어 저를 시켜 바치는 것입니다.” ~ 왕이 행차에서 돌아와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게 하였다. 이 피리를 불면 적병이 불러가고 병이 나았다. 가뭄에는 비가 오고 장마가 개고 바람이 자고 파도가 그쳤다. 이 피리를 만파식적(거센 물결을 자게 하는 피리)이라 부르고 국보로 삼았다. – 삼국유사

 


 

관료전 지급과 비슷한 성격의 정책

 

1) 진골 출신 왕의 직계 자손이 계속 왕이 되었다.

2) 왕의 동생들에게 특권적 지위를 인정해 주던 갈문왕제도가 폐지되었다.

3) 불교식 왕명을 버리고 중국식 시호를 취하여 유교 정치 이념으로 통치하려 했다.

4) 정전의 지급

5) 관청과 행정 구획의 이름을 중국식으로 고치는 개혁이 이루어졌다.

6) 국학 설립하여 인재 양성을 꾀하였다.

7) 상대등의 세력이 약화되고 집사부 시중의 지위가 강화되었다.

 

 

 

김흠돌 모역

 

적괴 흠돌과 흥원과 진공 등은 벼슬이 재능으로 올라간 것이 아니라 왕의 은혜를 입어 올라간 것인데~ 이제 불인(不仁), 불의(不義)로 자신의 위복(威福)만을 추구하고 관료를 능멸하더니, ~ 온갖 악인들과 서로 도와 기일을 정하여 반역을 하려 하였다. ~ 이에 병사를 모아 역적들을 없애려 하니, 산골짜기로 도망가기도 하고 왕실에 투항하였다. 나머지 무리는 모두 찾아내어 죽였다. - 삼국사기

 

 

(4) 효소왕 (692∼702) – 서시, 남시 설치

 

(5) 성덕왕 (702 ~ 737)

 1) 백성에게 정전지급, 민생 안정 (722)

 2) 패강 이남 확보 - 김정절 파견

 

(6) 경덕왕 (742 ~ 765)

 1) 중시(中侍)의 명칭을 시중(侍中)으로 격상

 2) 불국사, 석굴암, 성덕 대왕 신종

 3) 국학에 제업박사 설치

 4) 정찰 설치 - 백관 규찰 목적

 5) 한화정책

 6) 녹읍부활

 7) 우리나라 지명을 중국식으로 바꿈

 8) 국학 명칭 변경 – 태학감

 cf) 녹읍은 귀족, 정전농민에게 지급

 

(7) 혜공왕

 1) 태후의 섭정 - 만월부인

 2) 오묘제 정리 - 무열, 문무, 미추, 경덕, 성덕왕

 3) 96각간의 난 (768) - 귀족난

 4) 난 - 김융, 김은거, 김지정, 염상·정문

 5) 혜공왕 피살 - 김양상(선덕왕), 김경신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남북국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아이건노이라그이요,

(8) 신라 중대 성격

 1) 귀족 세력의 약화

 2) 6두품 세력의 부각

   a. 왕과 결탁

   b. 집사부 시랑직에 진출하여 왕의 정치적 조언자로활동

 3) 전제 왕권의 동요

   a. 경덕왕부터 흔들림

   b. 결과 : 녹읍부활, 사원의 면세전이 늘어나 재정 압박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시대] 8. 삼국의 통치 조직 (고구려 통치체제, 백제 통체체제, 신라 통치체제, 제가회의, 정사암 회의, 화백회의, 14관등, 5부 5방, 6좌평, 22담로, 17관등, 5주 2소경, 촌주)  (0) 2019.01.21
[남북국시대] 5. 발해의 대외관계와 발해 멸망  (0) 2019.01.20
[남북국시대] 4. 발해의 발전 (무왕, 대무예, 문왕, 대흠무, 선왕, 대인수, 애왕, 대인선)  (0) 2019.01.20
[남북국시대] 3. 발해의 건국 (대조영, 고왕)  (0) 2019.01.19
[남북국시대] 2. 신라 말기 (선덕왕, 원성왕, 애장왕, 헌덕왕, 흥덕왕, 민애왕, 신무왕, 문성왕, 경문왕, 진성여왕, 효공왕, 경순왕, 김헌창의 난, 김범문의 난, 호족, 6두품)  (0) 2019.01.05
[삼국시대] 7. 삼국의 통일 (백제 멸망, 고구려 멸망, 복신, 도침, 주류성, 임존성, 흑지상지, 검모잠, 안승, 매소성 전투, 기벌포 전투, 백제고구려 부흥운동)  (0) 2018.12.23
[삼국시대] 6. 삼국의 대외관계 (수당전쟁, 살수대첩, 을지문덕, 오언시, 여당전쟁, 여수전쟁, 안시성싸움, 천리장성)  (0) 2018.12.22
[삼국시대] 5. 신라 (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 내물, 눌지, 소지, 지증왕, 법흥왕, 이사부, 진흥왕 진평왕, 선덕여왕, 진덕여왕, 사택지적비, 임신서기석, 남산산성비, 영천청제비, 분황사..  (0) 2018.12.13
[삼국시대] 4. 백제 (고이왕, 근초고왕, 칠지도, 침류왕, 비유왕, 개로왕, 문주왕, 동성왕, 무령왕, 22담로, 성황, 무왕, 의자왕)  (0) 2018.12.12
[삼국시대] 3. 고구려 (태조왕, 고국천왕, 동천왕, 미천왕, 고국원왕, 소수림왕, 광개토대왕, 장수왕, 문자왕, 안원왕, 양원왕, 평원왕, 영야왕, 광개토대왕릉비, 중원고구려비)  (0) 2018.12.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