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2. 근세 사회의 성립, 전개 (고려의 멸망, 조선 건국, 신진사대부, 위화도 회군, 급진개혁파, 온건개혁파, 단심가, 하여가, 원천석, 과전법)
근세 사회의 성립, 전개 Ⅰ. 신진 사대부의 성장 1. 특징 (1) 진취적 (2) 성리학 (3) 과거로 진출 2. 신흥 무인 세력과 제휴 - 이성계 중심 권문세족 신진 사대부 중앙 고관 지방 향리 음서 과거 대농장 재향 중소 지주 비유학 성리학 불교 배불론자 친원 친명파 최영, 이인임 정도전, 조준 Ⅱ. 고려의 멸망 1. 고려 사회의 모순 (1) 권문세족의 발호 - 중앙 집권 약화, 왕권 쇠퇴 (2) 공민왕의 개혁 정치 실패 - 원의 압력, 군문세족의 반발 (3) 사대부의 분열 1) 사원 경제의 폐단과 토지 소유 등 개혁의 방향을 놓고 의견이 다름 2) 온건 개혁파 - 이색, 정몽주 - 고려 왕조의 틀 안 점진적 개혁 급진 개혁파 (혁명파) 온건 개혁파 (온건파) 왕조 자체 개혁 왕조 내 점진적 개혁 정..
2012. 5. 13.
[고려] 22. 고려시대 서예, 고려시대 그림, 고려시대 음악 (고려시대 예술, 천산대렵도, 관음보살도, 부석사 조사당 벽화, 탄연 글씨)
서예, 그림, 음악 1. 서예 (1) 전기 1) 왕희지체, 구양순체 (장단설) 2) 신품 4현 = 유신, 탄연, 최우, (신라시대의 김생) 3) 잡과에 ‘서업’을 둘 정도로 중시 (2) 후기 1) 조맹부의 송설체 (원 간섭기) 2) 이암 (cf. 이암 - 농상집요 소개) [탄연의 글씨 - 문수원 중수기] 2. 그림 (1) 전기 - 이령 「예성강도」, 이광필 - 그림이 전해지지는 않음 (2) 후기 1) 「천산대렵도」 - 원대 북화가 영향 2) 문인화발달, 사군자 [천산대렵도] (3) 불화 1) 지상보살도, 관음보살도 2) 혜허 - 관음보살도(양류관음상) (후기) [관음보살도] (4) 사경화 - 불교 경정을 필사하거나 인쇄할 때 그림으로 설명 (5) 사찰 벽화 -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사천왕상, 보살상 [부..
2012. 5. 13.
[고려] 21. 고려 청자, 고려 공예, 고려 종(범종) - (수원 용주사 종, 삼강청자, 은입사, 청자 전사 연화문 표주박 모양 주자, 청자 상감 운학문 매병, 나전 국당초문 염주 함, 청동제 은입사 포류..
청자, 공예 1. 공예 발전 2. 자기 공예 (1) 순수 비색 청자 - 11세기, 중국에서 극찬 (2) 고려도경 - 송나라 사신 서긍이 전한 견문록 (인종1123) - 이자겸, 김부식, 벽란도, 고려자기, 고려 모시 소개 (3) 삼강 청자 (12세기 후반 - 이자겸의 난 시기) 1) 신라말 햇무리굽 청자 제작 기술을 토대로 송의 자기 기술을 받아 들여 독창적 기법 개척 2) 삼강법 - 나전칠기, 은입사 공예에서 응용 ➝ 표면을 파낸 자리에 백토·흑토·적토 등 초벌구이를 한 후에 청자유를 입혀 재벌구이 하는 방법 3) 청자 산지 - 전라 강진, 부안 4) 원 간섭기 - 북방 가마의 기술이 도입되며 빛깔도 퇴조 ➝ 분청사기로 바뀜 cf) 조선 - 경기 광주 사옹원 분원 cf) 순수 청자 ➝ 양각·음각 ➝ 삼..
2012. 5. 12.
[고려] 20. 고려시대 건축, 고려시대 조각, 고려 불상, 고려 석탑, 고려 승탑 (갑사 승탑, 개성 만월대, 경천사 10층 석탑, 고달사지 승탑, 고려 불상, 고려 석탑, 고려 승탑, 고려시대 건축, 고려시..
건축, 조각 1. 예술의 특성 - 귀족, 불교 2. 건축 (1) 전기 1) 궁궐 - 개성 만월대의 궁궐터 2) 사원 - 현화사, 흥왕사 3) 강릉 객사문 - 가장 오래된 최고의 문, 주심포식, 맞배지붕형식 (2) 후기 1) 주심포식 건물 (공포가 기둥 위에만) - 전기에 주로 유행 - 안동 봉정사 극락전(가장 오래)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8작지경, 단층, 배흘림기둥) / 예산 수덕사 대웅전 (배흘림양식, 맞배지붕형식) / 2) 다포식 건물 (기둥사이에도 공포가 있음) - 후기 원의 영향 - 성불사 응진전, / 석왕사 응진전 / 심원사 보광전 / [개성 만월대] [주심포 양식] [다포 양식] [안동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 대웅전] [성불사 응진전] 3. 석탑 (1) 특징 - 다양..
2012. 5. 12.
[고려] 19. 고려시대 문학 (향가, 한문학, 패관문학, 가전체문학, 경기체가)
문학의 성장 1. 고려 전기의 문학 (1) 향가 1) 초기 : 광종 때 균여가 지은 보현십원가 11수가 「균여전」에 전해짐 2) 보현십원가 - 불경을 향가로 풀이 3) 중기 - 예종 때 현화사의 낙성식에서 향가를 짓게 함, 하지만 향가는 한시에 밀리기 시작 (2) 한문학 1) 성종이후 성행 ➝ 박인량, 정지상, 김황원, 정습영 2) 독자적 모습 2. 중기의 문학 - 당·송의 한문학 숭상 경향 = 사대성, 보수성 3. 무신 집권기 (1) 초기 수필 형식 저술 1) 낭만적, 현실 도피적 경향 2) 이인로 - 파한집 (한가로움을 깨뜨리는 뜻) 3) 임춘 - 국순전 = 술을 의인화 “출렁대고 넘실거림이 만경창파와 같아 맑게 해도 맑지 않고, ~” (2) 최씨 무신 집권기 1) 현실을 제대로 표현 2) 이규보, ..
2012. 5. 12.
[고려] 18. 고려시대 과학기술 (고려 천문학, 사천대, 태의감, 직지심체요절, 상정고금예문, 화통도감, 고려 인쇄술, 고려 무기 제도, 개성 첨성대, 신기전, 고려 누전선, 고려 배)
과학 기술 Ⅰ. 천문학과 의학 1. 과학 기술의 발달 배경 (1) 국자감에서 잡학 교육 - 율학, 서학, 산학 (2) 과거에서 잡과 실시 (3) 과학 기술 수용 - 중국, 이슬람 2. 천문학·역법, 의학 (1) 천문, 역법 1) 관청 : 사천대(서운관) - 개성 만월대 서쪽의 첨성대에서 관측 (cf. 조선 : 관상감) 2) 고려 초기 : 당의 선명력 사용 3) 고려 후기 : 원의 수시력 (충선왕) ➝ 명의 대통력 (공민왕) [개성 첨성대] (2) 의학 1) 태의감 (cf 조선 - 전의감) 2) 약국 개설 3) 중기 : 독자적 처방 - 향약방 4) 후기 : 「향약구급방」(1236) (cf. 조선 - 향약집성방) ➝ 최고의 의학 서적, 우리 실정에 맞는 자주적 의학서, 독자적 연구의 계기 마련 5) 기타 의..
2012. 5. 12.
[고려] 17. 고려시대 종교, 고려 불교 (승록사, 천태종, 제관, 의천, 대장경, 교관겸수, 초조대장경, 재조대장경, 속장경, 팔만대장경, 영통사 대각국사비, 의천 초상화), 고려 풍수지리설, 고려 ..
불교 사상과 신앙 Ⅰ. 불교 정책 1. 불교의 성격 (1) 현세 구복적 : 비보사찰, 원탑의 건립 (2) 호국적 : 연등회, 팔관회, 대장경 조판 T) 사원은 왕실이나 권무네족의 후원 하에 막대한 농장을 소유하였다. 2. 당대의 신앙관 (1) 귀족 (2) 일반인 : 기복 신앙, 향도(토속, 불교, 풍수지리설 융합) 3. 태조의 숭불 정책 (1) 사원 건립 : 불교 적극 지원 (2) 불교에 대한 국가의 지침 제시 : 훈요십조, 팔관회 (3) 법왕사, 왕륜사, 개태사 4. 광종의 정책 (1) 승과 제도 : 교승 - 수좌, 승통까지 / 선승 - 선사, 대선사 까지 (2) 국사(혜거)·왕사(탄문) 제도 (3) 교종 우대 - 화엄종(균여), 귀법사(성상융회사상) (4) 승록사 설치 - 승계 임명, 승정 담당 (5..
2012. 5. 11.
[고려] 17-1. 고려시대 불교의 결사 운동, 조계종 (지눌, 혜심, 충지, 요세, 백련결사, 수선사, 정혜쌍수, 돈오점수, 보우, 지공, 혜근, 백련사, 지눌 초상화)
* 결사운동 - 지방민의 적극적 호응 1. 무신집권기(중기)의 불교 (1) 지눌 (보조국사) 1) 수선사 결사 제창 (순천 송광사) a. 명리에 집착하는 타락상 비판 “선은 부처의 마음이요, 교는 부처의 말씀이다.”- 분리 될 수 없다. b. 수선사 결사운동, 독경과 선 수행, “부처는 한마음을 깨달았다.” (승려 본연의 자세) 2) 조계종의 성립 a. 정혜쌍수 : 선과 교학이 근본에 있어 둘이 아니라는 사상 체계, 선정과 지혜를 같이 닦아야 한다. b. 돈오점수 : 내가 곧 부처라는 깨달음, 꾸준한 수행으로 깨달음 확인을 강조 「수심결」 c. 성리학을 받아들일 수 있는 사상적 터전 마련 3) 선종을 중심으로 교종을 포용 - 선교 일치 사상을 완성 4) 화엄론절요 5) 간화선의 주창 soy한국사 ☞ 보조..
2012. 5. 11.
[고려] 16. 고려시대 유학의 발달, 고려시대 역사서 편찬 (고려 유학, 고려 성리학, 삼국사기, 삼국유사, 동명왕편, 제왕운기, 개성 성균관, 국자감, 7재, 양현고, 9재학당, 안향, 고려 과거제도, ..
유학의 발달과 역사서의 편찬 Ⅰ. 유학의 발달 1. 고려 문화의 특징 (1) 유교 : 치국의 도 (2) 불교 : 수신의 본 (3) 유·불 함께 발전 2. 유학의 진흥책 (1) 태조 : 최언위, 최응, 최지몽 (2) 광종 : 과거 제도, 당태종의 「정관정요」 - 통치 지침서 (3) 성종 : 유교 정치사상 (국자감), 원구례·적전례 시작 (유교의 예제) 3. 고려 초기의 유학 (1) 최승로 : 시무 28조 (2) 김심언 : 봉사 2조 (3) 자주적, 주체적 4. 고려 중기의 유학 (1) 최충 : 해동공자 (2) 김부식 : 삼국사기, 보수적, 현실적 성격 (3) 귀족 취향, 보수적 (문벌귀족 - 시문을 중시) (4) 훈고학 : 경전의 자구 해석에 치중 (5) 주례 강조 (6) 북송 성리학 수용 (7) 귀족적 ..
2012. 5. 11.
[고려] 15. 고려시대 경제 활동 (고려 화폐, 고려 고리대, 건경직파법, 시비법, 이앙법, 고려 농업, 고려 수공업, 관청 수공업, 경시서, 소금전매제, 장생고, 고려 교통로, 고려 강화도 개간, 활구,..
경제 활동 Ⅰ. 귀족의 경제생활 1. 귀족의 경제 기반 : 과전, 녹봉 2. 과전과 사전의 수입 (1) 과전 : 사망시 반납(공음, 공신전)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토지의 일부분이라도 물려받을 수 있었다. - 조 1/10 (2) 사전 - 조 1/2 3. 녹봉 (문종때) - 현직 실직주의 / 지급목록 - 미·속·맥 4. 토지확대 5. 귀족의 사치 생활 (1) 누각·별장 소유 (2) 말·차 이용 (3) 비단·고운 모시 (4) 부가 집중되어 고리대 성행 Ⅱ. 농민의 경제생활 1. 경제 기반 (1) 민전 경장, 소작 (2) 품팔이 등 2. 생활 개선 노력 (1) 소득 향상 노력 (2) 개간 사업 (3) 강화도 간척 (4) 수리 시설 개선 : 김제의 벽골제, 밀양 수산제 개축 (5) 진전이나 황무지를 개간하면 일정..
2012. 5. 11.
[고려] 13. 고려시대 백성들의 생활 (향도, 자모정식법, 흑창, 의창, 상평창, 제위보, 혜민국, 동서대비원, 구급도감, 고려 여성지위, 고려시대 상속)
백성들의 생활 Ⅰ. 고려시대 농민의 공동 조직과 사회 시책 1. 향도 (1) 불교의 신앙 조직인 공동체 조직 (cf. 신라의 화랑도에서 한 연원을 찾을 수 있다.) (향촌 사회 지배층이 조직을 주도하기도 하였다.) (2) 향도 : 매향 활동 하는 무리 * 매향 : 미륵을 만나 구원 받고자 하는 염원에서 향나무를 땅에 묻는 활동 * 사천 매향비 : 내세의 행운과 국태민안을 기원하는 세력 (3) 초기 : 불상·석탑의 제작도 (4) 후기 : 농민 조직으로 발달, 지역적 기반이 축소되는 모습을 보임 (5) 후에 촌민이 한데 모여 음주·가무를 즐기고 상장, 혼례를 서로 도왔다. cf) 향음주례(1136) - 유생`노인에게 술잔치 (어진 사람 존중) 2. 농민 보호책과 권농 정책 (1) 보호책 1) 잡역 금지 2)..
2012. 5. 10.
[고려] 12. 중세의 사회, 고려의 사회 (고려 신분제도, 문벌귀족, 신진사대부, 호적제도, 남반, 고려 백정, 권문세족, 천자수모법, 일천즉천, 조인규, 솔거노비)
중세의 사회 Ⅰ. 고려의 신분제도 1. 고려 사회의 특징 (1) 왕자, 부마 등 왕족 - 공·후·백 등 세 등급의 작위가 수여 (2) 문벌 귀족 사회 (음서, 공음전) (3) 개방적 사회 : 새로운 지배층으로 등장하게 되어 전 시대보다 개방적 (4) 계층 간의 이동 가능 (5) 대가족 중심의 사회 : 귀족에서 양민까지 (X-천민) T) 귀족에서 천민에 이르기까지 모두 대가족 단위로 편제되었다? (X) ☞ 귀족 ~ 평민 (6) 본관사용 (7) 평민도 각자 성(姓)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8) 봉작제가 존재했으나 작위 유무가 귀족 신분과 하층 신분을 나누는 기준이 되지는 않았다. 2. 사회 신분 (1) 분류 1) 양천제 - 법제적 - 양민 & 천민 2) 사회 관념상 - 귀족, 중류층, 양인, 천민 (2) ..
2012. 5. 9.
[고려] 11.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홍건적의 난, 왜구의 침입, 최영, 최무선, 정지, 이성계, 박위, 이방실)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Ⅰ. 원의 내정 간섭 [고려] 11-1. 원의 내정 간섭 (정동행성, 쌍성총관부, 탐라총관부, 동녕부, 부마국, 도평의사사, 심양왕제도, 독로화제도, 순마소, 만호부, 밀직사, 다루가치, 만권당 , 고려양, 몽골풍, 응방, 결혼.. - 보기 클릭 Ⅱ. 원 간섭기 개혁정치 [고려] 11-2. 고려의 원 간섭기 개혁정치 (충렬왕, 충선왕, 충목왕, 충혜왕, 공민왕, 정치도감, 전민변정도감, 쌍성총관부 회복) - 보기 클릭 Ⅲ.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 1. 홍건적 격퇴 (1) 홍건적 : 원 말기 백련교도 중심 한족의 농민 반란군 → 왕이 복주(안동)까지 피난 (2) 제1차 침입 (공민왕 8년, 1359) : 모거경 침입 ➝ 이승경, 이방실이 격퇴 (2) 제2차 침입 (공민왕 10년, 13..
2012.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