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 남북국] 20. 삼국의 도교, 풍수지리설 (백제 금동 대향로, 백제 산수무늬벽돌, 현무도)
* 도교의 발달 1. 성격 (1) 재래의 민간 신앙과 산천 숭배, 하늘 숭배 (민족의식 고양에 기여), 신선술 바탕 + 도가의 음양 오행 이론, 노장사상, 수련 도교적 성격이 강함 (2) 불로장생, 현세 이익의 추구 목적 2. 고구려 (1) 주몽의 조천 (2) 오두미교 수용 (7c초) - 남조로부터 들어옴 (3) 사신도 : 강서 대묘 (현무도 : 사신도의 하나로 북쪽 방위) (4) 연개소문의 장려 1) 명산대천에 도교식 제천을 행 - 애국심 진작 2) 불교 억압 a. 보덕은 백제로가 열반종 개창(불로장생에 반발) b. 도현은 일본 대안사의 주지가 되 반 고구려의 일본세기 저술 (5) 을지문덕의 오언시(여수장우문중시 - ‘지족’이란 표현) : 도덕경 반영 “신묘한 계책은 천문을 꿰뚫고, 기묘한 계책은 ~”..
2012. 5. 1.
[삼국, 남북국] 19. 삼국의 불교 (발해의 불교, 선종, 원효, 의상, 원측, 혜초, 혜자, 계율종, 열반종, 9산, 진표, 김교각, 이차돈 순교비)
사상의 발달 Ⅰ. 원시 종교 1. 삼국의 민간 신앙 : 천신, 일월신, 산신, 해신, 샤머니즘, 점술 2. 삼국 지배층의 시조 신앙 : 시조신 (1) 고구려 : 고등신(주몽), 부여신(주몽의 어머니) (2) 백제 : 동명신, 온조신, 구이신(고이왕) (3) 신라 : 박혁거세신, 나을 신궁 건립 (김씨 시조 모심 - 지증왕 때부터 제사) Ⅱ. 삼국의 불교 1. 전래 시기 : 4세기 2. 수용 배경 (1) 초부족적인 사상 통일 (2) 지배 질서 강화 : 왕즉불사상, 윤회설 3. 전래 과정 (1) 고구려 : 소수림왕 (372) : 전진의 순도 (아불란사, 성문사) (2) 백제 : 침류왕 (384) : 동진의 마라난타 (3) 신라 : 전래 눌지왕(457), 고구려 묵호자 (귀족세력의 공인 반대) ➝ 공인 법흥왕..
2012. 4. 30.
[삼국] 17. 삼국의 경제, 삼국의 수취제도 (고구려 백제 신라의 경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수취제도, 삼국의 농업, 수공업, 상업, 경무법, 두락제, 결부법)
Ⅰ. 삼국의 경제 정책 1. 농업 중심의 경제생활 - 왕토 사상 : 모든 국토는 왕토(토지국유제론) → 관료에게는 수조권만, 백성은 경작권만 cf) 백성 토지가 없는 것은 아님 : 자영토지(민전), (토지사유제론) (→ 전 시대에 존재) (1) 토지 소유 - 호민 계층의 대토지 소유 : 하호가 공급 * 하호 - 신분상 양인이나 호민에 예속된 존재 (2) 토지 종류 1) 녹읍 - 수조권 + 노동력 징발권 2) 식읍(식봉) - 수조권 + 노동력 징발권 → 고려 O → 조선 X 2. 정복 전쟁과 수탈 3. 지배 정책의 변화 4. 수취 제도 (1) 종류 1) 조세 - 재산의 정도 → 호 → 곡물, 포 2) 공부 - 지역 특산 3) 역 - 노동력, 징발 a. 신역 - 특정 인신을 정기적으로 역부과 b. 요역 - ..
2012. 4. 30.
[삼국] 16. 삼국시대 사회의 모습, 생활 (화랑도, 골품제도, 화백제도, 양직공도, 세속오계, 6두품, 백제 사신도)
삼국 사회의 모습 Ⅰ. 고구려 1. 씩씩한 기풍 “절할 때도 한 쪽은 펴 일으키기 쉬운 자세를 취하였고, 걸음을 걸을 때도 뛰는 듯 행동을 빨리 하였다.” 2. 법률 : 엄격 → [절도 : 12배 속형] 화형, 사형, 연좌제 3. 사회 (1) 지배층 : 왕족인 고씨, 5부 출신의 귀족 ☞ 계루부(고), 절노부(연), 관노부(진), 순노부(사), 소노부(해) (2) 일반 백성 (3) 천민, 노비 : 피정복민, 몰락한 평민 (4) 혼인 풍습 : 지배층에서 형사취수제, 서옥제 (5) 진대법 Ⅱ. 백제 1. 특징 : 언어·풍속·의복이 고구려와 비슷, 말타기 활쏘기를 좋아함(상무적 기풍), 세련된 모습, 가부장적 사회 2. 법률 : 엄격 (절도 - 귀양과 2배 / 뇌물·횡령 = 3배, 금고 / 사형 = 살인, 반..
2012. 4. 30.
[삼국] 14. 삼국의 군사제도 (고구려 백제 신라의 군사제도, 5부 5방)
삼국의 군사 제도 (1) 특징 : 일원적 조직, 주민통치 (2) 고구려 1) 중앙 : 대모달(= 막하라수지, 대당주), 말객 (= 말약, 군두 - 1천 지휘) 등 군관이 지휘 2) 지방 : 욕살, 처려근지, 말객 (3) 백제 1) 중앙 - 5부(각 500) - 달솔이 지휘 2) 지방 - 방 = 방령이 지휘 / 군 = 군장 (ex. 풍달군장, 흑지상지) / 군병은 일반민으로 충원 (4) 신라 1) 왕도군사조직 - 군주가 주 단위로 정을 거느림, 서당이란 군대도 있다. a. 법흥왕 → 경여갑 → 사설당 - 노당(쇠뇌), 운제당(성 공격), 충당(성 공격), 석투당(투석) b. 진흥왕 - 6귀정 (대당, 귀당, 남당, 삼천당 등) c. 진평왕 - 서당, 보기당, 사천당, 급당 2) 지방 a. 법흥왕 - 소경여..
2012. 4. 29.
[삼국] 13. 신라의 통치체제 (신라 중앙 관제, 신라 지방 조직)
신라 1. 중앙 관제 (1) 6부 - 사량부, 본피부, 한기부, 습비부, 정량부 1) 내물 이후 2) 양부 - 국왕배출 (2) 법흥왕 : 17관등제, 병부 (3) 진흥왕 - 사정부(관리규찰), 품주 (국가재정) (4) 진평왕 : 위화부·조부·예부 (5) 진덕 여왕 : 집사부, 창부(재정) (6) 관청 1) 4단계 체계 - 장관 (令) / 차관 (卿) / 실무 (대사) / 잡무 (史) 2) 1관직 복수관등군 3) 국왕 근시기구 - 사인 (법흥왕) / 이내객 (진흥왕) 4) 왕실 업무 a. 초기 - 대궁, 양궁, 사량궁 별로 운영 b. 진평왕 - ‘내성’설치 (장관 : 사신) cf) 신라의 관등 명칭에는 간, 마루 등 족장적 의미를 지닌 것이 많았다. 2. 지방 조직 (1) 수도 : 6부 / 지방 : 5주 ..
2012. 4. 29.
[삼국] 12. 백제의 통치체제 (백제 중앙관제, 백제 지방조직, 6좌평, 22담로)
백제 1. 중앙 관제 (1) 초기 - 한성시대 1) 5부 (고이왕) - 동·서·남·북·중부 2) 좌장 설치 - 군사 일원화 3) 좌평, 귀족제 (정사암회의) a. 좌보, 우보, 좌평 설치 b. 5좌평 체계 - 사비천도 전까지 4) 솔계, 덕계 관등 - 신지·읍차에게 (2) 관등제 정비 : 수상[상좌평], 6좌평 이하 16관등 1) 6좌평 : 천관, 지관, 춘관, 하관, 추관, 동관에서 비롯 ➝ 「주례」의 6관 ☞ 내신(왕명출납), 내법(의례), 조정(형벌), 내두(재정), 병관(국방), 위사(숙위, 경비) 2) 특징 : 고구려, 신라 보다 정비됨 *16관등 (삼국사기, 주서) (cf. 솔덕 - 중국식) 관등 관복 허리띠 장식 1 좌평 자주색 은화관식 (모자장식) 2 달솔 3 은솔 4 덕솔 5 한솔 6 나..
2012. 4. 29.
[삼국] 9. 신라의 삼국통일과 부흥운동 (백제의 멸망, 고구려의 멸망, 백제 부흥운동, 고구려 부흥운동, 검모잠, 흑지상지, 복신, 도침, 고연무, 기벌포전투, 매소성전투)
삼국통일 Ⅰ.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1. 삼국의 세력 관계 변화 (1) 신라의 삼국 간의 항쟁 주도 : 신흥 귀족인 김춘추가 김유신과 제휴 권력 장악 cf) 삼국사기 - 김춘추가 연개소문을 만남 “연개소문이 죽령은 본디 우리 땅이다. ~~~ ” (2) 나당 연합군 결성 (648) 2. 백제의 멸망 (1) 내부 문란, 지배층의 향락 (2) 신라의 공격 - 황산벌에서 패함 : 김유신 vs 계백 (5천 결사대) (3) 당의 공격 : 소정방 ➝ 금강의 입구 백장을 통해 진격 (4) 멸망 (660) (5) 당 - 5도독부 설치 3. 고구려의 멸망 (1) 지배층의 권력 쟁탈전, 내분 - 연개소문 사망 → 연남생 - 태막리지 → 연남건, 연남산이 남생을 축출 → 남생은 당에 투항 (2) 신라의 김인문, 당의 이세적이..
2012. 4. 28.
[삼국] 5. 백제 (초고왕, 고이왕, 근초고왕, 침류왕, 비유왕, 개로왕, 문주왕, 동성왕, 무령왕, 성왕, 의자왕, 칠지도)
백제의 발전 1. 초기의 백제 (1) 백제의 건국 : 마한 지역 위례성(기원전 18년) “위례와 미주홀(인천)에 가서 살게 되었다.” - 삼국사기 (2) 부여, 고구려계 이주민 1) 백제 왕적의 성이 부여씨 2) 비류와 온조가 주몽의 아들 - 고씨 3) 초기 백제 무덤은 고구려식 (3) 초고왕 - 하남 위례성 이동 (4) 고이왕 (3세기 중반) 1) 국가 체제 정비 - 중앙집권국가 토대 a. 6좌평, 16관등제(자·비·청색), 관복 정비 b. 율령반포(가장 먼저) c. 남당(정사를 보는 관청), 좌당(군사일원화) d. 5부체계 (간접통치) e. 왕위세습 (형제세습) 2) 한강 유역 장악 3) 목지국 정벌 2. 백제의 성쇠 (1) 비류왕 (2) 근초고왕 (4세기 후반) 1) 영토확장 : 전라도 장악 (마한..
2012. 4. 27.
[삼국] 4. 고구려 (태조왕, 유리왕, 신대왕, 고국천왕, 미천왕, 동천왕, 고국원왕, 소수림왕, 광개토 대왕, 장수왕, 안원왕, 양원왕, 보장왕, 중원고구려비, 광개토대왕릉비)
고구려의 발전 1. 초기의 고구려 (1) 건국 초기의 성격 : 유이민, 토착민 결합 (2) 고구려 건국 : 졸본성 ➝ 후 국내성 (3) 태조왕 (1세기 후반 ~ 2세기 초) 1) 국가 체제 정비 : 왕위가 연노부(소노부)에서 계루부로 옮겨지며 확립 ➝ 중앙 집권 국가 기틀 2) 옥저 복속, 낭랑 공, 요동진출 3) 책구루 설치 - 중국 군현과의 교섭권을 중앙에 귀속 4) 왕위세습 5) 5부체제로 발전 (4) 유리왕 - 국내성 천도 2. 체제의 정비 - 2세기 3. 고구려의 발전 (1) 신대왕 (165 ~ 179) - 국상제도 처음 설치 (2) 고국천왕 (2세기 후반) 1) 5부의 성격 변화 ➝ 5부제로 개편 2) 왕위 계승 : 형제상속에서 부자 상속으로 3) 왕권 강화 4) 춘대 추납 제도 실시 : 진대..
2012. 4.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