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7. 조선 후기 향촌 질서의 변화 (부농층, 요호부민, 사족 양반, 향전, 동족부락, 사우, 임노동자, 조선 후기 농민, 자리짜기 김홍도)
향촌 질서의 변화 Ⅰ. 부농층의 동향 1. 부농 계층의 대두 - 정부의 부세 제도 운영에 적극 참여 2. 향촌의 변화 (1) 부농층(요호부민)의 도전(신향의 대두) 1) 수령과 이서·향임층 중심의 향촌 지배가 짜여짐에 따라 일부가 거기에 참여하여 중간 수탈층을 형성 2) 각종 수탈이 이들에게 집중 3) 지속적 성장이 어려워지자, 때로는 체제 변혁을 시도하여 농민 항쟁의 주도층으로 등장. (2) 관권의 강화 (3) 농민에 대한 수탈 - 공동납제(총액제)가 강화 → 향촌질서 동요 → 사족들의 향촌에 대한 지배권을 약화 * 공동납제 1) 군현 단위로 총액을 부담자 수의 증감과 관계없이 부담 2) 전세에 비총제와 군역에서의 군총제, 환곡에서의 환총제 등 (4) 향전이 발생 1) 신분 상승 운종으로 양반호가 증가..
2012. 5. 24.
[조선] 6. 조선 후기 사회 구조의 변동 (조선 후기 신분제, 중인, 연조귀감, 소청운동, 이진홍, 노비종모법, 친영제도, 호적, 율곡선생 남매 분재기, 신행 김홍도 )
사회 구조의 변동 Ⅰ. 신분제의 동요 1. 신분제의 분화 (1) 조선 전기 신분제의 특징 1) 법제적 - 양인과 천민으로 구분하는 양천제 표방 2) 실제적 - 반상제로 양반, 중인, 상민, 천민 네 계층으로 분화 (2) 조선 후기 신분제 경향 - 양반수 증가, 상민·농민은 감소 (면천, 납속, 족보 위조) 2. 양반층의 동요 (1) 붕당 정치가 변질 (2) 분화 1) 벌열 양반 2) 몰락 양반의 향반·잔반화 Ⅱ. 중간 계층 1. 역할 증대 - 서얼과 중인 등 중간 계층의 역할이 커짐 2. 사회적 제약 - 서얼(문과 응시 금지, 승진제한), 기술직 중인(고급 관료로 진출제한) 3. 신분 상승 노력 (1) 서얼 1) 왜란 이후부터 차별이 완화 : 납속책, 공명첩을 통해 관직 진출 a. 납속에 의한 양인화는 ..
2012. 5. 23.
[조선] 5. 조선 후기 대외 관계 (청, 백두산정계비, 간도협약, 통신사, 기유약조, 독도의 역사, 울릉도와 독도 문제, 리앙쿠르 암초, 독도, 독도 근거 자료, 통신사 행렬도, 팔도총도)
대외 관계의 변화 Ⅰ. 청 1. 호란 이후 (1) 표면적 관계 - 활발한 교역 (2) 북벌 정책의 추진 (서인) 1) 정권 유지 수단 2) 국방력 강화 3) 북학론의 대두 - 천리경, 자명종, 화포, 만국지도, 천주실의 문물 소개 (3) 북학론 대두 2. 청과 국경 문제 (1) 백두산정계비의 건립 (1712) - 숙종 [西爲鴨綠, 東爲土門, 故於分水嶺, 勒石爲記] 1) 압록강, 토문강 경계 2) 토문강의 위치에 대한 해석상 차이 - 간도 귀속 문제 발생 (東爲土門) (2) 간도 협약 (1909) - 외교권을 상실한 상태에서 청의 영토로 귀속 * 대명 의리론에 의한 상징물 1) 대보단 (숙종) - 명의 신종추모 2) 만동묘 (숙종) - 명의 사당 3) 조종암 (숙종) - 명 보은하는 뜻의 바위 4) 존주휘..
2012. 5. 23.
[조선] 4. 조선 후기 세도 정치 (세도 시기, 정순 왕후 수렴청정기, 안동 김씨, 김조순, 붕당의 변질, 순조, 헌종, 철종)
정치 질서의 변화 Ⅰ. 세도 정치 1. 배경 (1) 탕평 정치의 한계 (T. 분당 사이의 대립적인 구조가 사라졌다.) (2) 지배 체제의 분열 2. 성격 - 붕당의 파탄 3. 세도 정치 (1) 세도가 - 안동 김, 풍양 조, 대구 서, 연안 이, 풍산 홍, 반남 박 (2) 순조 1) 정순 왕후의 수렴청정기 - 순조가 11세로 즉위하자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하며 노론 벽파가 정국주도 ➝ 신유박해 (1801)를 이용 장용영을 혁파하고 훈련도감을 정상화 2) 안동 김씨 일파의 세도 정치기 - 정순 왕후가 죽자 김조순은 반남 박씨와 풍양 조씨의 협력으로 정국 주도 3) 순조 말년 - 효명 세자가 대리청청으로 세도가를 견제 하였으나 갑자기 죽음 ➝ 김조순(왕비의 아버지) 가문이 중심으로 재정립 4) 사건 a. 로..
2012. 5. 23.
[조선] 3-2. 조선 정조 (정조의 치적, 정조의 업적, 정조의 탕평책, 준론 탕평, 장용영, 규장각, 금난정권 철폐, 신해통공, 문체반정, 금등사건, 홍국영, 초계문신제, 만천명월주이옹, 무예도보통..
[조선] 3-2. 조선 정조 (정조의 치적, 정조의 업적, 정조의 탕평책, 준론 탕평, 장용영, 규장각, 금난정권 철폐, 신해통공, 문체반정, 금등사건, 홍국영, 초계문신제, 만천명월주이옹, 무예도보통지, 추관지, 동문휘고, 탕탕평평실, 화성 건설, 홍재전서, 현릉원, 진산사건, 시흥환어행렬도, 규장각도 김홍도) 1. 적극적인 탕평책 (1) 준론 탕평 시행 1) 당파의 옳고 그름을 명백히 가리는 적극적인 탕평 2) “‘탕탕평평실’ 평액을 달았다. ~ 백성에게 직접 의견을 ~” 3) 영조의 탕평책을 계승하였지만 비판하기도 함 (2) 척신(김귀주, 홍인한, 정후겸)·환관 제거 (3) 노론 청명당, 청남, 소론 준론 등용 (공용파의 집권) - 주로 남인 계열(청류)의 시파가 중용 * 채제공 - 남인 학자 보호..
2012. 5. 22.
[조선] 3-1. 조선 영조 (영조의 치적, 영조의 탕평책, 이인좌의 난, 임오화변, 사도세자, 청계천 준설, 균역법, 완론탕평, 기유대처분)
1. 초기 탕평책과 한계 (1) 영조 초기 - 탕평의 교서를 발표 (2) 을사처분 (1724) - 영조 즉위, 신임사화 진상규명하며 소론 타격 (3) 정미환국 (1727) - 신임옥사로 노론 파면, 유배된 소론 정권 참여 (4) 이인좌의 난 (1728) 1) 경종의 사인에 대한 의혹도 원인 중 하나 2) 소론과 남인의 일부가 영조가 정통성을 부인 했다며 난을 일으킴 3) 양반, 중인, 상민 등이 함께 참여 4) 중소상인을 규합해 청주성을 함락 5) 결과 : 소론, 남인 계 급진파는 완전히 몰락, 탕평책 추진에 명분 제공 2. 왕권 강화와 붕당의 기반 약화 (1) 탕평파 육성 (완론 탕평) 1) 기유대처분 (1729) - 완론 탕평화 : 당파간 의리를 가리지 않고 인재를 쓰겠다. 2) 탕평채 - 영조 “어..
2012. 5. 22.
[조선] 2. 조선 후기 통치 체제의 개편 (비변사 기능 강화, 조선 후기 군사제도, 조선 후기 중앙군, 5군영, 영장체제, 어영청, 수어청, 훈련도감)
통치 체제의 개편 Ⅰ. 지배 체제의 모순 1. 조선 왕조의 통치 질서의 모순 (1) 신분 제도의 모순 1) 계층 간 이동의 불허 2) 소수 양반층의 특권 독점 3) 피지배층의 처지 개선 미흡 4) 양반들의 권위 강화 (2) 토지 제도의 모순 1) 토지 소유의 편중 - 양반 지주 중심 2) 지주 전호제의 강화 3) 농촌 사회의 분화 (3) 부세 제도의 모순 2. 체제 모순의 결과 - 농민의 토지 이탈, 위정자들의 위기 의식 대두 Ⅱ. 통치 체제의 변화 1. 통치 기구 개편의 배경 - 집권 양반 계층은 지배 체제 유지 (비변사, 5군영, 수취체제 개편) 2. 비변사의 기능 강화 (1) 임시회의 기구 - 삼포 왜란을 계기로 설치 (중종) - (2) 상설 기구화 - 16세기 중엽 명종 (1555) 을묘왜변을 계..
2012. 5. 22.
[조선] 22. 조선 전기 문학, 조선 전기 예술 (동문선, 설화문학, 조선 전기 건축, 남이시, 경복궁, 창덕궁, 분청사기, 백자, 청화백자, 평양 보통문, 분청사기 박지연화문편병, 분청사기 조화박지..
[조선] 22. 조선 전기 문학, 조선 전기 예술 (동문선, 설화문학, 조선 전기 건축, 남이시, 경복궁, 창덕궁, 분청사기, 백자, 청화백자, 평양 보통문, 분청사기 박지연화문편병, 분청사기 조화박지모란문 장군, 분청사기 삼강모란무호, 분청사기 철화 어문병, 순백자 병, 옥산서원, 악학궤범, 서울의 성문, 몽유도원도, 모견도, 원각사지10층석탑, 고사관수도, 신사임당 조충도, 송하보월도, 이정 묵죽도) 문학과 예술 Ⅰ. 문학 1. 전기 문학의 경향 (1) 초기 - 격식, 질서, 조화 (2) 중기 - 사림 문학, 흥취, 정신 2. 한문학 (1) 동문선 (15세기, 성종) 1) 서거정- 역대 시 산문 뽑아 편찬 2) 자주적 의식 “우리나라의 글은 송·원의 글도 아니고, ~~ 바로 우리의 글인 것입니다.” ..
2012. 5. 21.
[조선] 20. 조선 전기 종교 (조선 불교, 조선 도교, 조선 민간신앙, 도참사상, 소격서, 원구단, 종묘, 사직, 석보상절, 참성단)
불교와 민간 신앙 Ⅰ. 불교의 정비 1. 목적 (1) 사회적 - 유교주의적 국가 기초 확립 (2) 경제적 - 국가 재정을 확보 2. 불교 (1) 태조 - 도첩제(허가증) 실시 - 지나친 건립을 금지 * 도첩제 - 포를 낸 사람만 승려 허가 (출가제한) (2) 태종 - 억불책 - 사원 정리, 몰수 (3) 세종 - 선·교 양종으로 통합, 전국에 36개절만을 인정, 내불당 (4) 성종 - 강력한 억불책 - 도첩제 폐지 (출가 자체를 금지) - 산간 불교 (5) 세조 - 숭불 (6) 중종 - 승과를 폐지 (조광조), 승인호패법 실시 (7) 명종 - 승과 부활 (→ 문정왕후 사후 완전 폐지) 3. 명맥 유지 (1) 배경 1) 민간 신앙으로 정착 2) 호국적 - 왕실의 안녕 명복 기원 3) 사회 통합 - 포용·융합..
2012. 5. 21.
[조선] 19. 조선시대 성리학의 발달
성리학의 발달 Ⅰ. 성리학의 정착 [조선] 19-1. 조선시대 성리학의 정착 (관학파, 사학파, 훈구파, 사림파) - 보기 클릭 Ⅱ. 성리학의 융성 [조선] 19-2. 조선시대 성리학의 융성 (화담 서경덕, 남명 조식, 회재 이언적, 주리론, 주기론, 이기론, 퇴계 이황, 율곡 이이, 이기 이원론, 성학십도, 이통기국론, 일원론적 이기 이원론, 이기호.. - 보기 클릭 Ⅲ. 학파의 형성과 대립 [조선] 19-3. 조선시대 성리학 학파의 형성 (영남학파, 기호학파, 낙론, 호론, 호락논쟁, 남인, 북인, 서인, 노론, 소론, 최한기, 주자성리학, 사단칠정, 인물성동론) - 보기 클릭 1. 어느 파의 내용인가? (1) 서해안의 간척 사업과 토지 매입 등을 통해 농장을 확대하였다? ☞ 훈구 (2) 주나라의 제..
2012. 5. 20.
[조선] 19-3. 조선시대 성리학 학파의 형성 (영남학파, 기호학파, 낙론, 호론, 호락논쟁, 남인, 북인, 서인, 노론, 소론, 최한기, 주자성리학, 사단칠정, 인물성동론)
1. 학파, 정파의 형성 (1) 학파 - 16세기 중반, 서원 중심 (2) 정파의 형성 - 동인, 서인 2. 영남학파, 기호학파 영남학파 기호학파 학설 주리설 (이기 이원론) 주기설 (일원론적 이기 이원론) 붕당 동인 (선조 때 집권) 서인 (인조반정 이후 집권) 정여립 모반사건으로 분열 정책 수립, 상대 붕당 탄압 과정에서 보수와 혁신 남인 (유성룡) - 처음 북인 (이발) - 광해군 노론 (송시열) 소론(윤증) 학통 이황 계승 서경덕, 조식 계승 이이 계승 성혼 계승 학파 퇴계 학파 화담·남영 학파 율곡 학파 우계 학파 경향 서원·향촌에 영향력 수취체제 완화 자영농 육성 왕권강화 (갑인예송, 기사환국) 절의 중시 정인홍·곽재우 의병장 배출 중립정치 정통 성리학자 자처 조선 후기 정치 주도 대의명분, ..
2012. 5. 20.
[조선] 19-2. 조선시대 성리학의 융성 (화담 서경덕, 남명 조식, 회재 이언적, 주리론, 주기론, 이기론, 퇴계 이황, 율곡 이이, 이기 이원론, 성학십도, 이통기국론, 일원론적 이기 이원론, 이기호..
1. 성리 철학의 발달 배경 - 대외적 평화 분위기 - 도덕성과 수신을 중시, 신흥사대부 계층의 이익을 옹호하는 사상 (soy한국사) 2. 이기론의 선구자 (1) 화담 서경덕 1) 이와 기를 일원적으로 보는 기일원론 - 이보다는 기를 중심 (북인) 2) 불교와 노장사상에 대해 개방적(유불경합) 3) 우주는 미세한 입자인 기로 구성, 기는 영원 불멸하면서 사물현상을 낳는다. 4) “理도 氣 가운데의 ~ 物이다.” (2) 남명 조식 1) 노장사상에 포용적, 학문의 실천성을 특히 강조 2) 내수한 경을 실천하는 의를 강조 (북인) 3) 남명학파 (정인효, 김효원, 정구, 최영경) 4) 절의, 기개 (3) 회재 이언적 1) 선종 불교적 요소 비판, 기보다 이를 중심 - 이황 등 2) 주리론 선구자 3. 이기론의..
2012. 5. 20.
[조선] 19-1. 조선시대 성리학의 정착 (관학파, 사학파, 훈구파, 사림파)
1. 성리학 1) 송대에 주희에 의해 완성된 철학적 유학, 우주 만물의 근원과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는 학문 2) 고려말 전래, 보급 3) 성리학의 보급으로 불교 배척의 기운이 조성 4) 조선 후기 성리학의 이념적 대립이 붕당을 격화시켰다. 2. 관학파, 사학파 훈구파 (관학파) 사림파 (사학파) 연 원 급진개혁파 (정도전, 조준, 권근) (정인지, 한명회, 신숙주) 온건 개혁파 (정몽주, 길재, 이색 → 조광조) 집권기 15세기 16세기 이후 정치적 입장 적극적인 역성혁명, 유교 국가 운영에 학문적 이론 제공 소극적이며 고려 왕조에 충성 표시 의리와 명분 출 신 성균관, 집현전 사학, 사원 학 문 사장적 성향 (문물정비) 경학적 성향 사상 정책 타 사상도 수용 - 불교, 도교 성리학 중시 정치 이상 중앙..
2012. 5. 20.
[조선] 18. 조선 전기 문화의 융성 (한글 창제, 훈민정음, 조선 지리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조선방역지도, 팔도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해동제국기, 훈민정음 해례본, 팔도..
민족 문화의 융성 Ⅰ. 조선 초기 민족 문화 발달 배경 1. 민족적, 실용적인 성격의 학문 2. 한글창제 3. 성리학 이외 학문, 사상 중시 4. 유교 이념에 토대를 둔 국왕의 장려 Ⅱ. 교육제도, 과거제도 [조선] 18-1. 조선시대 교육제도, 과거제도 (서당, 향교, 성균관, 진사, 생원, 상피제, 백패, 홍패, 증광사, 알성시, 서경제도, 한품서용제, 대가제) - 보기 클릭 Ⅲ. 한글 창제 1. 배경 (1) 한자의 불편 (2) 피지배층의 도덕적 교화 - 양반 중심 사회를 유지 (3) 농민의 사회적 지위 상승 2. 창제, 반포 - 정음청을 설치 훈민정음 반포 (1446, 세종) 1) 초성자 - 발음기관 상형, 가획원리도 관련, 28자 T) 훈민정음의 초성 글자들은 음성기관의 상형을 기본으로 삼아 만들..
2012. 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