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 11. 삼국간섭, 을미사변, 을미개혁 (고종)
* 삼국간섭 (1895) 1. 독, 러, 프 2. 시모노세키 조약의 내용인 요동 반도의 일본 영유에 대한 반대 ☞ “랴오둥 반도를 일본이 소유하면 청국 수도를 위태롭게 한다. 뿐만 아니라 조선국 독립까지도 유명무실하게 만들고, 동아시아의 영구적인 평화를 가로막을 것이다. 이에 일본 정부에게 랴오둥 반도를 차지하는 것을 포기하기를 권고한다.” 3. 조선은 러시아와 연결하여 일본을 견제하려 함. * 을미사변, 을미개혁 1. 을미사변 (1) 3국 간섭 (프, 러, 독 - 1895) 1)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요동을 일본에 할양 - 러. 프, 독이 반환을 요구 2) 조선 - 친러정부 (2) 제3차 김홍집 내각 - 친러 = 명성황후는 이범진, 이완용 등 친러파와 연결하여 일본 세력의 제거를 시도 (3)..
2012. 6. 1.
[개화기] 12. 아관 파천, 독립협회 (춘생문 사건, 헌의 6조, 독렵협회 3대 사상, 자주국권, 자유민권, 자강개혁, 익명서사건, 관민공동회, 독립문)
Ⅰ. 아관 파천, 독립협회 1. 춘생문 사건 1) 이범진 2) 국왕 미 공사관에 이어 → 친일 타도 → 실패 2. 아관파천 (1896) : 고종이 러 공사관으로 (1) 배경 - 1) 반일정서 2) 개혁 불만 3) 을미사변 - 신변위협 4) 러시아의 세력 만회 (2) 결과 - 1) 친러내각 2) 개화파 정부 와해 3) 열강의 침탈 강화 4) 고문파견 - 알렉세프 3. 독립협회의 창립, 구성 (1) 창립 (1894) - 서재필, 독립신문(신문을 먼저 창간후 협회 설립, 순한글) (2) 서재필, 윤치호, 이상재 (개화파) / 남궁억, 정교 (유학자 - 황성신문계열), 이완용, 안경수 cf) 공식기관지는 ‘대조선독립협회회보’ - 독립신문은 비공식 일간신문 (3) 도시 시민층, 광범위한 사회층 지지, 서양의 자유..
2012. 6. 1.
[개화기] 9. 동학 농민군의 봉기 (교조 신원 운동, 삼례집회, 서울 복합 상소, 보은 집회, 금구 집회, 사발통문, 고부민란, 우금치 전투, 황토현 전투, 녹두장군, 전봉준, 북접, 남접 송병희, 사발..
* 동학 농민군의 봉기 1. 교조 신원 운동 (1) 1차 - 삼례 집회 (1892) = 전라 감사의 거부로 실패 (2) 2차 - 서울 복합 상소 (교조 신원 복합상소) (1893) - 국왕에 상소 = 실패 (3) 3차 - 보은 집회 (1893) 1) 종교 운동 - 농민운동 전환 2) 정치적 구호 - 일본 축출, 탐관오리 처벌 (4) 전라도 금구집회 - 전봉준 (척왜창의) 2. 배경 (1) 정부의 대책 미비 (2) 농촌 파탄 - 농민 불안, 불만 (3) 확산 - 3남 중심, 농민 요구에 부합, 조직정비 (포접제 조직) (4) ‘청’이 강세인 시기 3. 전개 1894. 1月 고부민란 (만석보)→ 안핵사 파견 3月 1차 봉기 (남접), 강령 3月~4月 황토현 전투 승리 4月 전주 점령 5月 전주화약체결, 집강..
2012. 5. 31.
[개화기] 8. 개항 이후 국내외의 상황 (열강의 침략, 러일 협상, 베베르 고무라 각서, 로마노프 야마카타 협정, 로젠 니시 협정, 거문도 점령 사건, 중립론, 유길준)
개항 이후 국내외의 상황 1. 열강의 침략 경쟁 격화 (1) 청일의 대립 (2) 러시아의 확대 1) 친러 2) 조러 통상조약 (1884) - 베베르 (청 견제) 3) 조러 비밀협정(1886) 추진 - 러시아 군대 파견 → 청의 반대로 폐지 = 청은 대원군을 귀국시키고 묄렌도르프를 ‘데니’로 교체 4) 데니 ‘청한론’ - 청국의 고종 폐위 음모 고발 5) 조러 육로 통상 조약 (1888) - 경흥 개방, 두만강 운항권 cf) 러일 협상 1) 베베르·고무라 각서 - 친러정부 인정, 일본의 을미사변 책임인정 2) 로마노프·야마카타협정 - 38선으로 나누자 = 로마노프의 거부 3) 로젠·니시 협정 - 대한의 주건, 독립 확인, 내정 불간섭 약속 cf) 러시아 견제 1) 나선정벌(청) 2) 병인박해 이전 프랑스를..
2012. 5. 31.
[개화기] 7. 개화당의 개혁운동, 갑신정변 (개화당, 온건 개화파, 급진 개화파, 우정국사건, 한성조약, 톈진조약)
개화당의 개혁운동 Ⅰ. 개화당 1. 형성 (1) 정치 - 박규수, 유홍기 → 김옥균, 박영효, 유길준 (2) 온건 개화파 1) 양무운동에 영향 받음 (중세처용) 2) 김홍집, 김윤식, 어윤중 3) 동도 서기론 - 윤선학, 곽기락 “바꾸려는 것은 기이지 도가 아닙니다.” 4) 청, 사대당, 수구당 5) 민씨에 참여 6) 기술만 수용 (3) 급진 개화파 1) 메이지 유신에 영향 받음 (문명개화론) 2) 김옥균, 박영호, 홍영식, 서광범, 서재필 3) 개화당, 독립당 4) 갑신정변 5) 사상, 제도까지 수용 (soy한국사) cf) 홍영식 - 보빙사, 우정총관, 병조참판 ☞ “우리는 돈 없이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지금 빈손으로 돌아가면 집권 사대당이 나를 비판하며 궁지에 몰아넣을 것이다. 어쨌든 우리 당)..
2012. 5. 31.
[개화기] 6. 임오군란 (위안스카이, 묄렌도르프, 상민수륙무역장정, 제물포 조약, 별기군)
임오군란 (1882 6. 9) 1. 원인 - 구식 군대 차별 (신식군 - 별기군, 교련병대) [별기군] T) 정부는 개화 시책으로 일본에 산업 시찰단을 파견하였고, 근대 교육 기관을 설립하여 근대적 학문을 가르쳤지만, 일본의 간섭으로 군제 개혁은 없었다? (X) ☞ 별기군 2. 경과 (1) 구식군대에 빈민도 가담 (미곡이 일본에 유출되 쌀값 폭등으로 경제적 압박) (2) 일본 공사관 습격, 대원군에 도움을 청함, 선혜청 창고인 도봉소 습격 (3) 민씨를 축출함 (청에 도움 요청) (4) 대원군 재집권 → 통리기무아문 폐지, 5군영 부활 (5) 청이 군대를 파견 → 대원군 압송 (soy 한국사) ☞ 「영의정 홍순목이 아뢰기를, “~ 일전에 훈련도감 출신 군졸들이 응당 받아야 할 곡식을 섬을 완전히 채우지 ..
2012. 5. 31.
[개화기] 5. 위정척사 운동 (이항로, 기정진, 유인석, 최익현, 왜양일체론, 개화반대, 이만손, 홍재학, 영남만인소)
위정척사 운동 1. 취지, 내용 (1) 전통적 유고질서와 의식을 존중하여 옛날 성현의 정치를 본받기를 주장 (2) 내수외양 주장 (3) 인륜기준 (4) 경제에도 관심 (5) 조선, 중국이 理, 왜와 양은 氣 - 서양만이 아닌 일본도 배척 2. 이항로, 기정진 → 유인석, 최익현 = 보수적 유생층, 성리학의 주리론에 기초, 반외세 자주운동, 봉건질서 유지, 기득권 3. 전개 과정 (1) 1기 = 1860년 - 병인양요, 통상반대운동, 척화 주전론(이항로, 기정진) “사학의 무리를 잡아 베고, 바다 건너 온 적을 정벌 ~~” (2) 2기 = 1870년대 1) 운요호 사건, 강화도 조약 2) 개항반대운동 - 왜양일체론 (최익현- 5불가론, 유인석) (3) 3기 = 1880년대 - 개화반대 1) ‘조선책략’유포..
2012. 5. 30.
[개화기] 4. 개화 정책 (개화 사상, 통상 개화론, 온건 개화파, 급진 개화파, 수신사 파견, 조사 시찰단, 영선사, 보빙사, 신사유람단, 조선책략)
개화 정책 1. 개화사상 * 통상 개화론 1) 북학파 실학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2) 통상개화론 (박규수) - 양무운동(오경석), 문명 개화론 (후쿠자와 유키치)에게 영향을 받음 3) 온건개화파, 급진 개화파 a. 온건 개화파 - 개화정책 (김홍집, 어윤중, 김윤석) ➝ 양무운동 (민씨 정권과 대체로 연결) b. 급진 개화파 - 갑신정변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 메이지 유신 4) 근대적 개화 운동, 외세 의존적, 민중의 지지 미약, 일부 개화 지식인 5) 애국 계몽운동으로 연결 (X- 서방의 천부인권) T) 홍재학은 통상 개화론을 주장하였다? (X) ☞ 홍재학 : 척화 상소문, 개화 반대 T) 개화사상은 안으로는 실학사상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밖으로는 청의 양무운동과 일본의 문명 개화론의..
2012. 5. 30.
[개화기] 3-1. 강화도 조약 (조일수호조규, 병자수호조약, 운요호 사건, 최초 근대 조약, 조일 통상 장정, 조일 수호 조규 부록)
1. 개항(강화도조약)의 배경 (1) 대원군 하야 → 민씨 정권 성립 : 청과의 전통적 종속관계를 인정하고 봉건 특권을 보존하며 외국 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 1) 만동묘, 서원 복설 2) 강화도 조약 체결 (2) 통상 개화론 성장 1) 배경 가. 오경석 - 역관으로 중국 왕래 많은 책을 들여옴 ➝ ‘영환지략’, ‘해국도지’, 박물신편, 월비기략, 북요휘편, 중서견문록 a. 영환지략 : 중국 청나라의 복건순무 서계여가 지은 세계지리책 조선 말기의 역관 오경석이 청나라를 오가며 구입하고 친구인 유대치에게 읽게 하여, 조선의 개화사상이 고양되는 데 이바지한 서적, b. 해국도지 - 영국 중심으로 서양과학기술, 선거제도 소개 세계 각국의 지리, 역사, 국방, 병기 전술 설명 나. 이동인 (승려) - 개화사상 2..
2012. 5. 30.
[개화기] 2. 흥선 대원군 (이하응, 호포법, 동포제, 로드 암허스트호, 척화비, 오페르트 도굴, 병인양요, 신미양요, 병인박해, 당백전, 경복궁, 어재연 장군, 외규장각, 어재연 장군기)
흥선 대원군 (이하응 1863~1873) 1. 대내 정책 (1) 왕권강화 1) 세도정치 타파 2) 비변사 약화 - 의정부, 삼군부 강화 3) 법전 - 대전회통(가장 완성된 법전), 육전조례 4) 경복궁 a. 원납전 (징수) / 당백전 (공사비) → 물가 폭등 (X- 폭락) → 원납전과 당백전이 화폐제를 개혁한 것은 아니다. b. 청전 c. 묘지림 벌목, 부역동원 d. 4대문 통행세 징수 e. 심도포량미 - 1결마다 1두씩 특별세 5) 서원 정리 - 47개만 남김 a. 만동묘 철폐 b. 민생안정, 재정 확충 ☞ "백성을 해치는 자는 가만 두지 않겠다. 서원이 도둑의 소굴이 되어 버렸으니 ~“ ☞ “공자가 다시 살아나도 용서 못한다.” ☞「매천야록」 - 노론을 억압하고 남인을 천거하겠다는 의사를 표현한 것...
2012. 5. 29.
[개화기] 1. 개화기 연표, 근대 사회의 전개
근대 사회의 전개 1801 ~ 세도정치 (3정 문란, 홍경래의 난, 임술 봉기) 1832 - 통상요구 로드 암스트호 (영국) 1863 ~ 1873 흥선대원군 - 왕권강화, 통상거부 1866 - 병인박해, 병인양요 1868 - 오페르트 도굴 1870 년대 - 최익현 1871 - 신미양요 1875 - 운요호사건 1876 - 강화도 조약, 수신사 파견, 종일 통상장정, 개항 1879 - 지석영, 종두법 1881 - 영선사, 조사시찰단, 영남만인소(이만손), 별기군 (초기 개화) 1882 - 조미수호 1882 - 임오군란 1882 - 제물포 조약, 상민수륙무역장정, 영독 등과 통상 조약 1883 - 한성순보(박문국), 전환국(당오전), 태극기, 원산학사(최초 근대 사립), 기기창 (김윤식) 1884 - 우정국,..
2012. 5. 29.
[역사] 한국의 세계 유산, 세계문화유산, 기록유산, 무형유산, 자연유산 (석굴암, 불국사, 경주, 제주도, 종묘, 종묘제례악, 종묘 제례, 수원 화성, 창덕궁 돈화문, 창덕궁, 창덕궁 비원, 경복궁, ..
[역사] 한국의 세계 유산, 세계문화유산, 기록유산, 무형유산, 자연유산 (석굴암, 불국사, 경주, 제주도, 종묘, 종묘제례악, 종묘 제례, 수원 화성, 창덕궁 돈화문, 창덕궁, 창덕궁 비원, 경복궁, 조선왕조 의궤, 영조정순후 가례도감 의궤, 의소세손예장도감 의궤, 화성 의궤, 판소리, 강화도 고인돌, 고구려 무덤, 광개토대왕릉, 강릉 단오제, 승정원일기, 해인사 장경판전, 조선왕조실록, 직지심체요절, 훈민정음 해례본) 한국의 세계 유산 1. 석굴암 1) 경덕왕 ~ 혜공왕 2) 조선 후기 「산중일기」에 ‘석굴암’ 명칭이 등장 (처음에는 석불사) 3) 총 39체 불상조각 4)「대당서역기」의 인도 보드가야 대각사 불상을 그대로 재현 - 석가모니여래좌상 5) 화엄 사상의 ‘다라니’를 건축기법으로 표현 2. ..
2012. 5. 29.
[조선] 15. 조선 후기 문학, 조선 후기 예술 (홍길동전, 청화백자 철사진사국화문병, 달항아리, 청화백자 송죽문호 송치명, 청화백자 죽문각병, 청화백자 매죽문호, 청화백자)
문학, 예술 Ⅰ. 서민 문화의 발달 1. 서민 문학의 등장 1) 조선 후기, 상공업 발달, 서당교육 보급, 신분 향상 2) 중인, 서민이 주도 2. 문학과 예술 작품의 변화 양상 (1) 조선 전기 - 성리학 강조 (2) 조선 후기 - 사회의 부정과 비리에 대한 고발정신 조선 전기 조선 후기 창작 주체 양반중심 중인, 상민의 활동 활발 내용, 성격 성리학 윤리관 양반의 교양 여가 인간 감정의 적나라한 묘사 부정과 비리에 대한 고발 문학의 주인공 영웅적 존재 서민적 인물 문학의 배경 비현실적 세계 현실적 인간 세계 3. 서민 문학의 특징 (1) 전기 - 정적 소극적 → 후기 - 감적을 적나라하게 표현 (2) 양반들의 위선적 모습 비판 4. 서민 문화의 발달 (1) 한글소설 (2) 판소리 탈춤 (3) 풍속화,..
2012. 5. 28.
[조선] 15-1. 조선 후기 그림 (진경산수화, 인왕제색도, 금강전도, 정선, 풍속화, 김홍도, 신윤복, 강세황, 영통골 입구도, 김정희, 무동, 세한도, 민화, 까치와 호랑이, 조선 후기 예술, 신선도, 단..
* 이전의 대표 그림 (1) 고려 : 전기 - 예성강도 ➝ 후기 - 천산 대렵도 (2) 15c - 진취적 성향이 강한 인물·산수화 유행 1) 안견 - 몽유도원도 (독자적 경지) 2) 강희안 - 고사관수도 (시적 정서) (3) 16c - 자연 속의 서정적인 아름다움 추구 1) 이상좌 - 송하보월도 2) 이암 - 모견도 3) 이정 - 묵죽도 3) 황집중 - 포도 4) 신사임당 - 조충도 1. 유행배경 -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높아짐 2. 17세기 후반, 18세기 전반 (진경산수화) (1) 특징 - 중국 남종과 북종 화법을 수용 고유한 화법으로 창안 (2) 정선 1) 서울 근교와 강원도의 명승지 사실적으로 그림, 바위산은 선으로 묘사, 흙산은 묵으로 묘사하는 기법 사용 2) 인왕제색도, 금강전도 [금강전..
2012.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