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과 기술의 발달
Ⅰ. 한자의 보급과 교육
1. 한자의 전래
(1) 철기시대부터
(2) 유교, 불교, 도교 서적
cf) 구결, 토 - 중국식 한자를 읽을 때, 문법적 특징을 알려주는 글자
2. 삼국시대
(1) 한문의 토착화
1) 한자를 그대로 사용 ➝ 이두와 향찰 사용
cf. 이두
☞ 고구려에서 처음 사용
☞ <쇠뿔한>을 소리로 표기하여 <서발한(舒發翰)>이다. 뜻을 따<각간(角干)>으로 표기
2) 한문의 토착화, 한문학 보급
(2) 고구려의 학문
1) 교육 기관
a. 소수림왕 = 수도에 태학 (관학, 귀족, 한학, 문·무 유교, 무예)
b. 장수왕 = 지방에 경당 (사학, 평민, 무술, 한학 - 평양 천도 후)
2) 한학 발달 : 광개토 대왕비, 중원고구려비, 모두루묘지, 동수묘지, 관구검기공비
(3) 백제의 학문
1) 요육기관 : 5경박사, 역박사, 의박사
2) 한학 발달 : 사택지적비 비문 = 불당을 세운 내력 기록
“사택지적은 해가 쉬이 감을 슬퍼하고 달리 어렵사리 돌아옴이 서러워 금을 캐 귀중한 당을 짓고~”
3) 개로왕이 북위에 보낸 국서 - 한문문장
(4) 신라의 학문
1) 화랑도
2) 진흥왕 때 단양 적성비, 순수비
3) 임신서기석 (경전공부) - 한문을 지을 때 우리말 순서대로 배열
3. 남북국 시대
(1) 통일신라
1) 국학 (‘예부’에 속)
a. 신문왕 : 국학 ➝ 경덕왕 : 태학
b. 논어, 효경, 유교 경전 가르침
c. 충효 일치의 윤리 강조
d. 1과 (예기, 주역), 2과(좌전, 모시), 3과 (문선, 상서), 필수과목(논어, 효경)
e. 입학자격 (15세~30세 귀족자제), 수업 연한 (9년), 교수 (경학 박사, 조교)
2) 독서삼품과 (독서출신과)
a. 실기 실시 (원성왕 때 - 하대)
b. 응시 과목
ㄱ. 상품 : 좌전, 문선, 예기, 논어, 효경 - 이해하는 자
ㄴ. 중품 : 곡례, 논어, 효경 - 읽은 자
ㄷ. 하품 : 곡례, 효경 - 읽은 자
ㄹ. 특채 : 5경, 3사, 제자백가서에 능통한자 순서 넘어 등용
c. 유학 보급에 이바지
d. 골품 제도 때문에 힘을 못 씀 - 실패
☞ 독서삼품과 (삼국유사)
“춘추좌씨전, 예기, 문선을 읽어 그 뜻을 능통하고 겸하여 논어, 효경에도 밝은 자를 성종으로 하고,
곡례, 논어, 효경을 읽은 자를 중명(中命)으로 하고, 곡례, 효경을 읽은 자를 하품으로 한다.
또 오경과 삼사와 제자백가의 책을 능히 두루 통하는 자가 있으면 특채해서 등용한다.”
(2) 발해 : 주자감
* 정혜·정효 공주 묘지 - 4·6변려체 발견
Ⅱ. 역사편찬, 유학보급
1. 역사서의 편찬
(1) 삼국 시대
1) 중앙 집권 체제 정비 ➝ 와실의 권위
|
역사서 |
편찬자 |
편찬 시기 |
비 고 |
고구려 |
유기, 100권 |
미상 |
전하지 않음 | |
신집, 5권 |
이문진 (태학박사) |
영양왕 | ||
백 제 |
서기 |
고 홍 (박사) |
근초고왕 | |
신 라 |
국사 |
거칠부 (아찬) |
진흥왕 |
(2) 통일 신라
1) 김대문(진골) : 화랑세기, 고승전, 한산기, 계림잡전
2) 신라의 문화를 주체적으로 인식하는 경향, 자주적
2. 유학의 보급
(1) 신라 중대
1) 6두품 출신 많음, 도덕적 합리주의
2) 강수 : 외교 문서 문장가, ‘답설인귀서’, ‘청방인문서’, 유교도덕을 출세보다 중시,
일부다처제·골품제·불교 비판(불교는 ‘세외교’)
3) 설총 : 이두정리, 경전에 조예,
‘화왕계’ “어떤 이가 화왕(모란)에게 말하였다~~~ 화왕이 대답, 내 잘못했느라” (꽃을 통해 왕 도덕 강조)
(2) 신라 하대
1) 도당(당에가 공부) 유학생의 증가 : 김운경, 최치원
2) 최치원
a. 6두품
b. 시무 10조 건의 - 왕권강화 → 진골 반대
c. ‘계원필경’ = 현존 최고 문집 (중국 모방작) /
‘토황소격문’(“너는 본래 먼 시골 구석의 백성으로 억센 도적이 되어~” /
‘제왕연대력’ /
‘중산복궤집’
d. 4산 비명 : 쌍계사 진감선사비 / 성주사 낭혜화상비 / 숭복사비 / 봉암사 지증대사비
- 4·6변려체, 불교 유교 노장 지리도참까지 포함 ➝ 신라 하대 사상계의 경향을 보여줌
e. '당‘ 빈공과 급제
f. “처지를 한탄하며 다시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 ”
3) 김대문
cf) 당 ‘빈공과’ - 최초 합격 : 김운경 → 그 외 - 최신지, 박인범, 최승우(효본집)
cf) 숙위 학생 - 당에서 당의 문물을 읽히고 가교 역할 → 하대 : 순수 유학적 (정치성 퇴색)
[복합적 사상] 1) 4산 비명 (최치원) 2) 훈요십조 (태조) 3) 세속 오계 (원광) 5) 금오신화 6) 동학 |
(3) 발해
1) 학문발달 : 당의 빈공과 급제 : 이거정
2) 외교 문서, 공식 기록은 한문 사용 (단, 압자와라는 독자적 문자가 있었음)
|
고구려 |
백 제 |
신 라 |
통일 신라 |
발 해 |
교육기관 |
중앙 (태학, 관학), 지방 (경당, 사학) |
5경·의·역 박사 |
유교 경전 교육, 화랑도 |
국학(➝태학) |
주자감 |
한학·유학 |
광개토왕릉비 중원 고구려비 |
북위에 보낸 국서 사택지적비 |
임신서기석 진흥왕 순수비문 |
강수·설총·김대문 계원필경 |
도당 유학생 (빈공과 합격) |
역사편찬 |
‘신집’ 5권(이문진) |
‘서기’(고흥) |
‘국사’(거칠부) |
‘계림잡전’, ‘화랑세기’ (김대문) |
|
Ⅲ. 과학, 기술학
1. 천문학과 수학
(1) 과학·기술학의 발달 : 청동검, 청동제 잔무늬 거울
(2) 천문학
1) 고구려 : 천문도, 장천1호분, 덕화리 1·2호분, 각저총, 고분 벽화
2) 신라 : 7세기 선덕 여왕 = 첨성대
3) 통일 신라 : 김암
4) 기록 : ‘삼국사기’
5) 천문학 관측 목적
(3) 수학
1) 삼국 시대 : 백제 정림사지 5층석탑, 신라의 황룡사 9층 목탑
2) 통일 신라 : 석굴암의 석굴 구조, 불국사 3층 석탑(석가탑), 다보탑
2. 목판 인쇄술과 제지술의 발달
(1) 무구 정광 대다라니경 : 불국사 3층 석탑(석가탑)에서 발견 - 8세기 초엽,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술
(2) 제지술의 발달
1) 무구 정광 대다라니경 : 닥나무
2) 구례 화엄사의 석탑 : 두루마리 불경
3. 금속 기술의 발달
(1) 고구려 : 철 생산
(2) 백제 : 칠지도, 백제 금동 대향로
(3) 신라 : 금세공
(4) 통일신라 : 성덕 대왕 신종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정치 구조의 정비 (태조, 혜종, 정종, 광종, 경종, 성종, 중앙, 지방, 군사조직) (3) | 2009.10.12 |
---|---|
중세의 세계로의 전환 (후삼국시대, 고려의 성립) (2) | 2009.10.12 |
고려시대 연표 (5) | 2009.10.11 |
고대 문화의 일본 전파 (2) | 2009.10.11 |
삼국의 예술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 발해의 예술) (0) | 2009.10.11 |
외세의 경제침략, 국민 경제의 모색 (개항 경제) (0) | 2009.10.10 |
고대문화의 성격 (삼국문화의 성격, 삼국의 사상, 삼국의 불교, 도교, 풍수지리설 - 고구려, 백제, 신라, 발해, 통일신라) (1) | 2009.10.09 |
삼국의 경제생활 (발해, 통일신라, 고구려, 백제, 신라의 경제 생활) (1) | 2009.10.09 |
삼국의 사회, 삼국의 생활 (고구려, 백제, 발해, 통일신라, 신라의 생활) (2) | 2009.10.08 |
삼국의 통치 체제, 군사제도 (고구려, 백제, 신라, 발해) (8) | 2009.10.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