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삼국의 사회, 삼국의 생활 (고구려, 백제, 발해, 통일신라, 신라의 생활)

by 소이나는 2009. 10. 8.
반응형
 


 

삼국 사회의 모습


Ⅰ. 고구려

 

 1. 씩씩한 기풍

    “절할 때도 한 쪽은 펴 일으키기 쉬운 자세를 취하였고, 걸음을 걸을 때도 뛰는 듯 행동을 빨리 하였다.”


 2. 법률 :  엄격 → [절도 : 12배 속형]

                    화형, 사형, 연좌제

  

 3. 사회

  (1) 지배층 : 왕족인 고씨, 5부 출신의 귀족

      ☞ 계루부(고), 절노부(연), 관노부(진), 순노부(사), 소노부(해)

  (2) 일반 백성

  (3) 천민, 노비 : 피정복민, 몰락한 평민

  (4) 혼인 풍습 : 지배층에서 형사취수제, 서옥제

  (5) 진대법

 

Ⅱ. 백제

 

 1. 특징 : 언어·풍속·의복이 고구려와 비슷, 말타기 활쏘기를 좋아함(상무적 기풍), 세련된 모습, 가부장적 사회


 2. 법률 : 엄격 (절도 - 귀양과 2배 /  뇌물·횡령 = 3배, 금고)

  

 3. 사회 :  지배층 (부여씨). 8성의 귀족 (국, 목, 백, 사, 연, 진 해, 협)

  

 

Ⅲ. 신라 (화백, 화랑도)

 

 1. 씨족 사회의 전통유지: 화백, 화랑

  

 2. 화백제도

  (1) 사로 6촌의 부족 회의인 남당에서 유래, 귀족(대등)과 의장(상대등)으로 구성

  (2) 만장일치제도

  (3) 장소 : 4영지 (청송산, 오지암, 피전, 금강산)

  (4) 집단의 부정 방지, 집단의 단결 강화, 왕권과 귀족의 권력을 조절하는 기능

  cf) 진지왕을 폐위 시키기도 함

 

 3. 화랑도

  (1) 청소년 집단에서 비롯

  (2) 공인 : 진흥왕

  (3) 진골 출신 화랑 + 6두품 이하 평민의 낭도

  (4) 교육 내용 : 전통적 사회규범, 협동 단결, 심신 연마

  (5) 기능 : 계급 간 갈등조절, 수양적·사교적·군사적·종교적 기능

  (6) 화랑 정신

   1) 임신서기석 (진평왕) : 유교 경전 학습과 충성심 (시경, 서경, 예기, 춘추 등 공부 맹세)  (주역은 X)

   2) 세속 5계 (원광법사 - 진평왕)  

    a. 유교와 불교 교리 가르치고 행동, 마음 제시

    b. 유교 도덕이 사회 윤리로 권장

    c. 불교 승려가 화랑도 조직을 이끄는데 중요한 역할

    d. 살생유택의 계율은 불교의 자비 정신 변형

    e. 귀산과 추항에게 전한 다섯 가지 항목

    f. 유·불·선 3교를 융합하여 표현, 세속 오계의 내용이 유교와 불교의 일치를 주장한 것은 아님

    g. 사군이충, 사친이효, 교우이신(유교), 임전무퇴(도교), 살생유택(불교)

   

    cf) 유불일치설 : 최치원의 진감선사 대공탑비의 내용, 고려 무신 집권기 혜심의 글 등

    cf) 3국의 청소년 제도 - 고구려 (先人), 백제 (수사), 신라 (화랑)


 4. 골품 제도

  (1)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 과정 : 골제(왕족) + 두품제(일반 귀족)

  (2) 내용 - 족장 통합

   1) 성골 : 왕 자격 (진덕여왕이 마지막 성골)

   2) 진골 : 시중, 영, 요직, 대아찬인 5관등 이상 독점

      ☞ 금관가야 김유신계, 고구려 안승을 받아들임(자색까지) - 민족 융합정책

   3) 6두품 : 학문, 종교 / 6관 아찬(비색)까지 승진 / 대족장 출신 / 득난 이라고도 함

      ☞ 중대 : 왕권강화, 정치적 조언 → 말기 - 당유학, 개혁, 반신라적

   4) 5두품 : 10관등인 대나마까지 (청색)

   5) 4두품 : 12관등인 대사까지 (황색)

  (3) 성격

   1) 정치적 제한, 사회적 제한, 친족의 등급표시, 원칙 상승불가

   2) 관등에 따른 복색의 구별(진골은 모든 색을 입을 수 있다.)  (X - 골품에 따라)           

  (4) 王京人과 小京人으로만 구성 - 지방민, 노예는 제외

  (5) 불만을 ‘중위제’로 보완 - 비진골 롼료에게 특진의 기회

      ☞ 아찬에 4등급, 대나마 9등급, 나마 7등급의 중위 설치

  

  T) 민족융합, 화합 - 무천, 화랑도, 9주 5소경, 9서당에 백제 유민으로 청금서당 만듦

     (X - 외사정 파견 : 중앙집권을 위한 것)


  cf) 상대등과 시중은 모두 진골만이 임명될 수 있었다.


 5. 신라인 생활

  (1) 설, 한가위(추석, 중추절 - 길쌈 경쟁 : 진 팀이 ‘희소곡’을 부름), 탑돌놀이

  (2) 불교의 영향으로 화장도 유행




 남북국 시대의 사회


Ⅰ. 통일 신라 사회

 

 1. 단일한 사회와 문화 : 유사한 풍습과 언어

  

 2. 민족 통합 노력 : 관직지급, 9서당 편성

  

 3. 신라 중대 사회의 변화

  (1) 왕권의 전제화 : 사회 안정, 국왕 강화, 귀족 일부 숙청(김흠돌의 난), 상대등 약화, 시중 강화

  (2) 진골 귀족 : 장관직 독점, 중대사 결정

  (3) 6두품 출신 : 국왕 보좌 , 신분적 한계(지방 장관 불가, 중앙 우두머리 불가)

  (4) ‘향, 부곡’의 성립

    1) 피정복민, 반역죄 집단 거주지 또는 현으로 편입되기에 규모가 작은 지역

    2) 신분적 양민, 역은 천한 신량역천 계층


Ⅱ. 통일 신라 생활

 

 1. 도시의 발달

  (1) 금성(경주) : 중심지, 호화생활

  (2) 5소경 : 지방 문화의 중심


 2. 귀족의 생활

  (1) 호화생활, 사치 선호(아라비아 향료, 동남아 거북딱지, 에메랄드, 저택) ➝ 흥덕왕의 사치 금지령

     cf) 금입택 (쇠드리댁, 금드리댁), 사절유택(사계절 노는 집)

  (2) 대토지 목장에서 수입, 불교후원

  → 호족등장


 3. 평민의 생활 : 빈곤, 노비로 전락

    cf) 고달산 농민의 난 (825)

 

Ⅲ. 발해의 사회

 

 1. 사회 구조

  (1) 지배층 : 대씨, 고구려계 (고, 장, 오, 양, 두, 이씨 등)

  (2) 피지배층 : 말갈인


 2. 사회 성격

  (1) 상층 사회 중심 : 당의 제도 문화 받아들임

  (2) 하층 촌락민 : 고구려, 말갈의 전통 유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