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개화, 위정척사 운동, 임오군란

by 소이나는 2009. 11. 4.
반응형



 

개화 정책           (개화 - 위정척사 - 임오군란)


Ⅰ. 개화 정책

 

 1. 개화사상

  * 통상 개화론

   1) 북학파 실학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2) 통상개화론 (박규수) - 양무운동(오경석), 문명 개화론 (후쿠자와 유키치)에게 영향을 받음

   3) 온건개화파, 급진 개화파

     a. 온건 개화파 - 개화정책 (김홍집, 어윤중, 김윤석)

     b. 급진 개화파 - 갑신정변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4) 근대적 개화 운동, 외세 의존적, 민중의 지지 미약, 일부 개화 지식인

   5) 애국 계몽운동으로 연결


   T) 홍재학은 통상 개화론을 주장하였다?  (X) ☞ 홍재학 : 척화 상소문, 개화 반대


   T) 개화사상은 안으로는 실학사상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밖으로는 청의 양무운동과 일본의 문명 개화론의 영향을

      받은 사상이었다. 밑줄 친 부분과 관계 깊은 것을 고르면?

      1) 정약용의 ‘여유당전서’

      2) 홍대용의 ‘임하경륜’

      ☞ 2번


 2. 과정 (활동)


  (1) 수신사 파견

   1) 1차 (1876) - 김기수일동기유

   2) 2차 (1880) - 김홍집 - 조선책략을 가져옴

   * 조선책략

    1) 러시아 방지책 (친청, 결일, 연미)

    2) 서양 기술 도입 : 개화 자극 (통리기무아문 설치) /

    3) 성현모독(예수=주자) → 위정척사 강화

 

  (2) 제도 개편

   1) 관제 - 의정부 →[통리기무아문 (개화 전담) - 12사] → 6조

             * 12사 - 사대사 / 교린사 / 군무사 / 변정사 / 군물사 / 기계사 /

                       선함사 / 기연사 / 어학사 / 전선사 / 이용사 / 통상사 /

             * 통리기무아문 - 청의 관제를 모방한 것 / 1880년대 개화 정책의 추진을 위해 설치된 기구

   2) 군제 - [2영] → [무위영 / 장어영], 별기군(신식군)  

             cf) 5군영에서 2영으로 바뀜


  (3) 사절

   1) 조사 사찰단 = 사유람단 (1881) → 일본 - 산업 시찰 (이동인 주선) = 박정양, 어윤중, 홍영식

   2) 영선사 (1881) - = 자연과학, 무기 → 김윤식 → ‘기기창(무기)’ 설치

   3) 보잉사 (1883) - 미국 = 민영식 (‘푸트’파견에 대한 답례)


Ⅱ. 위정척사 운동

 

 1. 이항로, 기정진 → 유인석, 최익현

   = 보수적 유생층, 성리학의 주리론에 기초, 반외세 자주운동, 봉건질서 유지, 기득권


 2. 전개 과정

  (1) 1860년 - 병인양요, 통상반대운동, 척화 주전론(이항로, 기정진) = 洋弟侵犯 非戰則和 主和賣國

                “사학의 무리를 잡아 베고, 바다 건너 온 적을 정벌 ~~”

  (2) 1870년

   1) 운요호 사건, 강화도 조약

   2) 개항반대운동 - 왜양일체론 (최익현, 유인석)

  (3) 1880년대  - 개화반대

   1) ‘조선책략’유포

   2) 이만손 - 영남 만인소  “김홍집이 가져와 유포한 황쑨센의 ~~”

   3) 홍재학 - 만언 척사소  “대개 서양의 학문은 천리를 어지럽히고~~”  (- 가장 강하게 주장)

   4) 고종폐위 음모 실패 (1881. 8) - 이재선을 추대했으나 실패

  (4) 1890년대

   1) 명성황후 시해, 단발령

   2) 항일 의병운동 - 유인석, 문석봉, 이소응  “원통함, 국모의 원수 ~”


 3. 의의

  (1) 긍정적 - 반침략, 반외세, 자주

  (2) 한계 - 전통을 유지하려 함

  (3) 변모 - 동도 서기론 (온건 개화에 참여)  - 중체서용론(중국), 화혼양쟁론(일본)과 비슷


   ☞ 「화서집」이항로

    “교역하는 일이 끊어지면 저들의 기이함과 교묘함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며, 기이함과 교묘함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저들이 기필코 할 일이 없어져 오지 않을 것입니다.”


   ☞ 조선 책략 - 견제 국을 러시아라고 소개, 영남 만인소 운동을 불러일으키기도 함

    “조선의 땅덩어리는 실로 아시아의 요충을 차지하고 있어, 형세가 반드시 다투게 마련이며, 조선이 위태로우면

     중동의 형세도 날로 위급해질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가 강토를 공략하면 할진대 반드시 조선으로부터 시작할 것이다.

     그렇다면 오늘날 조선의 책략은 러시아를 막는 일보다 더 급한 것이 없을 것이다. 러시아를 막는 책략은 어떠한가?

     중국과 친하고, 일본과 맺고, 미국과 이어짐으로써 자강을 도모할 따름이다.”


   ☞ 조선책략 유포 → 영남만인소

    “장체 세계에는 미국과 일본 같은 나라가 헤아릴 수 없이 많습니다. 만일 그들이 각자 삐뚤어진 생각을 갖고

     일본이 하는 것처럼 각자 이익을 추구하고 토지와 재화를 요구하여 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 그 목적하는 바가 침공함에 있다면 전하는 만리 밖에서 오는 원병을 기다리면서 이를 막아낼 수 있겠습니까?”


   ☞ 영남만인소

    “미국은 우리가 본래 모르던 나라입니다. ~ 일본은 우리에게 매어있던 나라입니다. ~

     러시아는 본래 우리와 협의가 없는 나라입니다.”


동학

외세저항 봉건타파

지주제 부정

주기론

농민. 잔반

청일전쟁, 갑오개혁

개화

외세의존 봉건타파

지주제 긍정

주기론, 사회진화론

중인, 진보양반

갑신정변, 개화, 계몽

위정척사

외세저항 봉건유지

지주제 긍정

주리론, 화이론

보수유생

항일의병운동

 cf) 온건 개화파가 더 많이 등용되었음



Ⅲ. 임오군란 (1882 6. 9)

 

 1. 원인 - 구식 군대 차별 (신식군 - 별기군)

  

 2. 경과

  (1) 일본 공사관 습격, 대원군에 도움을 청함, 선혜청 창고인 도봉소 습격

  (2) 민씨를 축출함 (청에 도움 요청)

  (3) 대원군 재집권 → 통리기무아문 폐지, 5군영 부활

  (4) 청이 군대를 파견 → 대원군 압송


 3. 영향


  (1) 일본

   1) 사죄, 배상금, 수호 조교 규약

   2) 제물포 조약 (1882) - 공사관에 경비병 배치 (최초 일본 군대 주둔) = 박영효, 김옥균이 태극기 사용

      cf. 국기로 한 것 - 1883

   3) 수호 조규 속약 (조일) - 50리

   4) 3차 수신사 파견 (1882. 83) - 박영효 - ‘사화기략’저술 / 김옥균 - 차관 교섭


  (2)

   1) 군대 - 위안스카이(원세개)가 군대 훈련

   2) 고문 파견 - 마젠창, 묄렌도르프

   3)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 (1882. 7) - 특권(양화진 무역허가, 치외법권, 대신과 조선국왕은 대등하다.)


  (3) 조선 - 민시 재집권 - 친청 정책 → 개화는 후퇴


  T) 정부는 개화 시책으로 일본에 산업 시찰단을 파견하였고, 근대 교육 기관을 설립하여 근대적 학문을

     가르쳤지만, 일본의 간섭으로 군제 개혁은 없었다?  (X)  ☞ 별기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