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 농민 운동
Ⅰ. 개항 이후 국내외의 상황
1. 열강의 침략 경쟁 격화
(1) 청일의 대립
(2) 러시아의 확대
1) 친러
2) 조러 통상조약 (1884) - 베베르 (청 견제)
3) 조러 비밀협정(1886) 추진 - 러시아 군대 파견 → 청의 반대로 폐지
= 청은 대원군을 귀국시키고 묄렌도르프를 ‘데니’로 교체
4) 데니 ‘청한론’ - 청국의 고종 폐위 음모 고발
5) 조러 육로 통상 조약 (1888) - 경흥 개방, 두만강 운항권
cf) 러일 협상 1) 베베르·고무라 각서 - 친러정부 인정, 일본의 을미사변 책임인정 2) 로마노프·야마카타협정 - 38선으로 나누자 = 로마노프의 거부 3) 로젠·니시 협정 - 대한의 주건, 독립 확인, 내정 불간섭 약속
cf) 러시아 견제 1) 나선정벌(청) 2) 병인박해 이전 프랑스를 이용하려 함 3) 원산 개방 (일본) 4) 조선책략 5) 조미수호통상 (청이 알선) 6) 대원국 귀국 7) 거문도 사건 8) 1차 영일 동맹 (1902) |
(3) 영국 - 거문도 점령사건 (1885) → 해밀턴 항 이라고 명 (러시아 견제 구실)
(4) 중립론 대두 - 부들러(독일), 유길준
* 유길준 1) 중립국 “우리나라가 아시아의 중립국이 되는 것은 러시아를 막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며, 또한 아시아의 여러 대국들이 서로 균형을 이루는 정략도 될 것이다. ~ 오직 중립 한 가지만이 우리나라를 지키는 방책이다.” 2) 서유견문을 지음 |
2. 일본의 경제적 침략과 대처
(1) 임오군란, 갑신정변이 배경
(2) 일에 수출 미국 30% → 입도선매, 고리대 → 대응 = 방곡령
Ⅱ. 동학 농민군의 봉기
1. 교조 신원 운동
(1) 1차 - 삼례 집회 (1892) = 전라 감사의 거부로 실패
(2) 2차 - 서울 복합 상소 (1893) - 국왕에 상소 = 실패
(3) 3차 - 보은 집회 (1893)
1) 종교 운동 - 농민운동 전환
2) 정치적 구호 - 일본 축출, 탐관오리 처벌
(4) 금구집회 - 전봉준
2. 배경
(1) 정부의 대책 미비
(2) 농촌 파탄 - 농민 불안, 불만
(3) 확산 - 3남 중심, 농민 요구에 부합, 조직정비 (포접제 조직)
(4) ‘청’이 강세인 시기
3. 전개
* 1894년 1月 고부민란 (만석보)→ 안핵사 파견 → 3月 1차 봉기 (남접), 강령 → 황토현 전투 승리 → 4月 전주 점령 → 5月 전주화약체결, 집강소 설치 → 6月 1日 일본측 내정개혁안 제시 → 6月11日 교정청설치 → 6月21日 경복궁 침입, 대원군 정권 수립 →6月23日 청일전쟁(수원풍도) → 6月25日 군국기무처설치(갑오개혁) → 9月 2차 봉기 (재봉기, 남·북접) →11月10日 우금치 전투 패배 → 12月12日 홍범14조 발표 → 1895. 4. 시모노세키조약 → 1895. 10. 을미사변 |
(1) 제1기 - 고부 민란 시기 (1894. 1.)
1) 원인 - 고부 군수로 부임한 ‘조병갑’이 불필요한 ‘만석보’를 다시 쌓게 하여 수세를 강제 → 항거
2) 10여일 후 해산 - 안핵사 파견
(2) 제2기 - 절정기 (1차 봉기, 반봉건적, 남접 - 녹두장군)
1) 원인 - 안핵사 ‘이용태’의 마을 약탈
2) 무장봉기 - 보국안민, 제폭구민 = 전봉준, 손화중, 김개남, 오지영
→ 사발통문을 사방에 보냄 “우리의 의를 들어 여기에 이르렀음 ~ 탐관 베고, 밖으로 강적 무리 쫓아 ~”
3) 백산 봉기 - 전봉준의 격문, 4대 강령 발표
a. 사람 죽이지 말고, 가축 잡아먹지 말라
b. 충효, 백성 편안
c. 왜놈을 몰아내자.
d. 권세가와 귀족을 없애라
4) 탐관오리 제거, 조세 수탈 시정, 균전사 없애라고 주장
* 균전사 - 고을 개간을 위해 파견한 관리
5) 황토현 전투(최초 관군 격퇴 - 전라 감영군을 격파) - 정읍, 고창, 함평, 장성, ‘황룡촌’전투(홍계훈 부대에 승리)
→ 전주 점령
6) 전주 화약 (1894. 5. 8)
(3) 제3기 - 폐정개혁안을 실천
1) 집강소 설치 (1894. 6)
a. 전라 53개 군에 설치한 민정 기관 → 농민군 내정 개혁 목적
b. 총본부 - 전주에 집강소 총 본부인 ‘대도소’설치
c. 민정 체결 = 1인 - 집강 + 서기, 성찰, 동몽
d. 기능 - 행정적, 의결기관(의사원), 호위군 설치
e. 한계- 정부의 실천 의지 미약
2) 교정청 설치 - 자주적 개혁 추진
3) 청일 전쟁 - 청에 파병을 요청하자 일본은 톈진 조약을 빙자 군대를 보냄 → 시모노세키 조약
* 시모노세키 조약 (1895. 4. 17)
- 조선은 자주국이다. / 청은 일본에 대만, 요동, 팽호도를 할양한다. / 배상금 2억냥
(4) 제4기 - 재봉기 (2차 봉기, 반외세적, 남접, 북접)
1) 개혁부진, 일제 침탈
2) 남접 = 전봉준 / 북접 = 손병희 / 최시형
3) 논산 → 공주 이인 전투 승리 → 공주 우금치 전투 (일본군에 패배) → 정봉준 체포
* 폐정 개혁안 12조 (1) 서정 합의 - 왕조자체를 타파하려 하진 않았다. (2) 봉건타파*지배층) - 탐관오리, 유리·양반 징벌 (3) 봉건 신분제 폐지 - 노비문서 소각, 천인차별 개선, 개가 허용 (4) 잡세 폐지 - 봉건 수탈 반대 (5) 인재등용 - 관리등용개선 (6) 반외세적 - 왜 엄징 (7) 공사채 무효 - 부채 탕감으로 농민 생활 안정 (8) 토지 균분 - 지주제 혁파 (9) 정부와 원환을 씻고 서정 협력 (10) 평량갓 없앤다. |
Ⅲ. 동학 농민 운동의 의의
1. 성격 - 반봉건, 반침략
2. 영향 - 갑오개혁, 구국의병투쟁 활성화 (영학당, 활빈당)
* 영학당 항쟁(1899) - 고부, 고창, 보국안민, 척 왜양
cf) 반봉건 농민 민란 - 방성칠의 난 1898 / 이재수의 난 1901 - 제주 : 관군과 천주교인 공격
3. 한계
(1) 근대 건설 방안 미비
(2) 무력기반 열세
(3) 신분간 갈등 - 양반은 민보군을 조직해 농민군을 진압
☞ “우리가 의를 들어 이에 이름은 그 본의가 다른 데 있지 아니하고 창생을 도탄에서 건지고 국가를 반석 위에
두고자 함이다. 안으로는 탐학한 관리의 머리를 베고, 밖으로는 횡포한 강적의 무리를 몰아내고자 함이다.
양반과 부호 앞에서 고통을 받는 민중들과, 방백 및 수령의 밑에서 굴욕을 받는 소리들은 우리와 같은 원한이
깊은 자이다. 조금도 주저치 말고 이 시각으로 일어서라. 만일 기회를 잃으면 후회해도 미치지 못하리라.”
동학 |
개화 |
위정척사 |
잔반, 농민 |
진보양반, 중인 |
보수 유생 |
반외세적 |
외세 의존 |
반외세적 |
지주제 부정 |
지주제 긍정 | |
반봉건적 |
봉건적 | |
주기론 |
주기론, 사회 진화론 |
주리론, 화이론 |
최시형, 전봉준 |
김홍집, 김윤식,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
이항로, 기정진 최익현, 이만손 |
청일전쟁, 갑오개혁 |
개화정책, 갑신정변, 애국계몽운동 |
항일 의병운동 |
|
갑신정변(14개조) |
동학(12조) |
갑오개혁(14조) |
관민공동회(6조) |
문벌폐지 |
폐지 |
노비소각 |
신분·노비제 폐지 |
X |
관리등용개선 |
능력 |
인재 |
과거 폐지 | |
세제개선 |
지조법 |
잡 세폐지 |
납세법률 |
예산·결산 공포 |
재정 일원화 |
호조 |
X |
탁지아문 |
탁지부 |
과부개가 |
X |
O |
X | |
국왕 전재권 제한 |
의정부 의결 |
X |
민·형법제정 | |
경찰제 |
순사 |
경무청 | ||
관리부정방지 |
부정관리 치죄 |
탐관오리 |
X | |
행정기구 개편 |
의정부, 6조 |
X |
왕실, 국정분리 | |
토지 개혁 |
X |
평균분작 |
X |
갑신정변 갑오개혁 |
동학 |
독립협회 |
조세개혁 / 평등사회 구현 |
동학 |
X |
신분제 폐지 / 관리 등용개선 | |
X |
독립협회 |
재정의 일원화 | |
X |
X |
행정기구 개편 / 경찰제 실시 / 국왕의 전제권 제한 |
T) 다음과 관련된 것은?
(1) 청과의 의례적 사대관계 폐지, 문벌폐지, 지조법 개혁, 혜상공국 혁파? ☞ 갑신정변
(2) ‘건양’연호사용, 단발령, 태양력, 종두법 ☞ 을미개혁
(3) 탐관오리 엄징, 노비문서 소각, 과부의 재가 허용, 토지의 평균분장? ☞ 동학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한말 경제 침탈, 경제 구국 운동 (0) | 2009.11.07 |
---|---|
애국 계몽 운동 (0) | 2009.11.07 |
항일 의병 전쟁 (을미의병, 을사의병, 활빈당, 정미의병,) (2) | 2009.11.06 |
아관파천, 독립협회, 대한제국 (주권 수호 운동) (0) | 2009.11.06 |
갑오개혁, 을미사변, 을미개혁 (0) | 2009.11.05 |
개화당의 개혁운동 (갑신정변) (0) | 2009.11.04 |
개화, 위정척사 운동, 임오군란 (0) | 2009.11.04 |
개항과 개화운동 (강호도조약) (0) | 2009.11.03 |
개화와 자주 운동 (흥선대원군) (0) | 2009.11.03 |
근대사회 연표 (개항) (3) | 2009.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