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항일 의병 전쟁 (을미의병, 을사의병, 활빈당, 정미의병,)

by 소이나는 2009. 11. 6.
반응형

 

항일 의병 전쟁의 전개

  cf) 일진왜란 의병 - 정문부, 휴정, 유정, 정인홍, 김천일, 김덕령, 고경명, 조헌, 곽재우

  cf) 정유재란 - 정봉수, 이립


Ⅰ. 항일 의병 투쟁의 시작

    을미의병(1895) → 을사의병 (1905) → 정미의병(1907, 전쟁화)


 1. 을미 의병 (1895 - 의병의 발단)

  (1) 배경 - 일본의 침략, 적극적 저항

  (2) 계기 - 을미사변, 단발령

  (3) 유생이 주도 (위정척사파) - ‘창의토왜’란 깃발을 들고 봉기, 농민도 참여

  (4) 의병장

    1) 문석봉(유성,보은) / 2) 유인석, 이춘영, 안숭우, 홍사구, 김백선, 서상열 (충주, 제천) /

    3) 이소응(춘천) / 4) 허위(선산) / 5) 곽종석(산청)  /  6) 기우만 (장성) /

    7) 홍주 - 안병찬, 김복한, 이설, 이세영, 이근주  / 8) 민용호(강릉) / 9) 이강년(문경)

  (5) 종식

   1) 친일 정권 붕괴 - 아관파천

   2) 단발령 철회

   3) 국왕의 해산령


 2. 활빈당 (1900~1905)

  (1) 충청, 경기 지역 - 물건을 빼앗아 빈민에게 줌

  (2) 대한 사민 논설 - 경제 침탈, 반외세

    1) 선왕의 복제 본      2) 방곡 실시        3) 흥인을 꾀함    4) 시장에 외국상인 출입 금지

    5) 금광채굴 엄벌       6) 곡가 낮춰 안정   7) 소 도살 엄금   8) 악형 혁파

    9) 다른 나라에 철도 부설권 금지   10) 균전법 시행    11) 요순의 법 시행   12) 징세폐해 제거

 


 3. 러일전쟁과 을사조약

<러일전쟁>

 

1. 러

  (1) 만주지배 - 로젠·니시협정(1898)

  (2) 용암포 조차 기도 (1903)

 

2. 일 - 영미지원

 

3. 대한제국 - 중립선포 (1904. 1. 21.)

 

4. 일본 → 러시아 기습 (1904. 2. 8.) : 여순항, 인천항 → 선전포고 (1904. 2.10.)

 

5. 한일의정서 체결 (2. 23) - 경부선, 경의선, 마산 철도 부설 강행

 

6. 한일협약서 (제1차 한일협약 8. 22)

 

7. 일본 승기 - 여순항 전투, 봉천성 전투, 대한해협전

 

8. 가쓰라·태프트 밀약 (1905. 7. 27) - 미국은 필리핀, 일본은 한국의 독점적 지배권을 상호 인정

 

9. 제2차 영일동맹 (1905. 8. 12)

 

10. 포츠머스 조약 (1905. 9. 5)

 1) 미국 중재, 한국의 일본 지배권 인정

 2) 여순조차권, 장춘 이남의 철도 부설권 할양

 3) 남사할린 할양

 4) 러시아령 연안의 어업권을 일본에 양도

 

11. 을사 조약 (제2차 한일협약) - 1905. 11. 17

 


Ⅱ. 의병 항전의 확대

 

 1. 을사조약, 민족의 저항

  (1) 을사 조약 (1905) - 일본의 한일의정서 강요, 내정간섭 → 외교권 박탈 → 저항

  (2) 민족의 저항

   1) 상소운동 - 안병찬, 조병세, 이상설, 이상철

   2) 항일 순국 - 민영환, 조병세, 송병선

   3) 5적 암살단 - 나철, 오기호 (을사5적 : 이완용, 이지용, 이근택, 권중현, 박제순)

   4) 항일 언론

    a. 황성신문 - 시일야방성대곡(장지연)

                  “이토가 한국에 옴에 ~ 아프고, 아프도다. 동포여! 동포여!”

    b. 대한 매일 신보 - 고종이 친서로 무효를 선언, 서명하지 않음을 반포

   5) 외교

    a. 워싱턴 특사 - 헐버트

    b. 헤이그 특사 (1907) - 이상설, 이위종, 이준

       → 경과 : 고종퇴위 / 군대해산 / 정미 7조약

  (3) 을사조약 후 민족운동 - 의병의 구국항전, 애국계몽운동


 2. 을사 의병 (1905, 1096 - 재봉기)

  (1) 계기 - 을사조약

  (2) 의병장

   1) 최익현 - 태인, 순창 (동족끼리 죽이지 못 하겠다 → 포로가 됨, 쓰시마로 끌려감)

   2) 신돌석 - 평해, 울진 (평민출신) : 영천 정요기, 이현규와 연계

   3) 민종식 - 홍주성 점령 “일본 토벌, 오적 몰살하여~”

  (3) 기타

   1) 홍범도, 차도선 (삼수, 갑산)  /  2) 이소응 (춘천)  /  3) 이강년 (인제)   /   4) 민긍호 (여주)

   5) 유인석 (제천)   / 6) 기우만 (장성)   /   7) 노응규 (진주)   /   8) 전해산 (나주)


  T) 애국 계몽 운동이 국정 개혁을 위한 헌정 연구에서 국권 회복을 위한 자강 운동으로 전화하게 된 시기는?

     ☞ 을사조약


 3. 정미 의병 (1907 - 전쟁화)

  (1) 계기 - 군대해산, 고종 강제 퇴위 (1907. 7)

      cf) 대한자강회 - 고종 퇴위 반대운동

  (2) 해산 군대의 의병 합류 - 연해주까지 확산

  (3) 확대

   1) 외교 - 독립군임을 내세움

   2) 서울진공작전 (1908)

    a. 13도 창의군 - 총대장 : 이인영 / 군사장 : 허위 → 일본에 막힘

    b. 재차진공 - 임진강 허위부대 + 김수민, 이은찬

   3) 국내진공작전 - 홍범도, 이범윤

  (4) 의사

   1) 장인환, 전명운 (19008) - 외교 고문인 스티븐슨 사살 (샌프란시스코)  (X - LA)

   2) 안중근 (1909) - 이토 히로부미 (하얼빈)  “동양 평화를 어지럽게 하고 ~~”

   3) 이재명(1909) - 이완용 중상

  (5) 전환

   1) 위축 = 일본의 남한 대토벌작전 (교반작전 : 방화, 살상, 약탈)

   2) 무력 족립 전쟁으로 전환 - 국외 이주

   3) 마지막 의병장 - 채응언

  (6) 의장 - 민긍호, 이강년, 김수민, 연기우, 차도선


Ⅲ. 항일 의병 전쟁의 의의

 

 1. 한계성

  (1) 무력적 열세

  (2) 유생, 전통질서를 고집

  (3) 외교권 상실 - 국제적 고립


 2. 의의

  (1) 대표적 민족 구국운동

  (2) 항일 무장 독립 투쟁의 기반

  (3) 반 제국주의적 민족운동

 


을미의병

1895

1) 을미사변, 단발령 2) 문석봉, 유인석, 이소응

3) 유생주도, 농민, 동학이 참여 4) 단발령 철회, 국왕해산권고

을사의병

1904

1) 을사조약 2) 민종식, 최익현, 신돌석 3) 평민의장 등장

4) 외교권박탈, 통감부 설치

정미의병

1907

1) 고종퇴위, 군대해산 2) 민긍호, 이강년, 홍범도, 차도선, 이인영, 허위, 이범윤

3) 해산 군인 합류 4) 학산, 서울진공작전, 국내진공작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