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국문학사] 삼국의 시가 (고대시가, 향가)

by 소이나는 2012. 9. 24.
반응형


 

삼국의 시가


<1> 고대 시가


Ⅰ. 현전가요

 1. 구전되다 한역시 형태로 기록

 2. 집단적 → 개인적

 3. 작품 - 공무도하가, 구지가, 해가, 황조가, 정읍사


  (1) 공무도하가

   1) 현전 최고의 시가

   2) 작가 : 백수 광부의 아내 - 물에 빠져 죽은 남편 애도

   3) 출전 : 해동역사, 고금주


  (2) 구지가

   1) 현전 최고의 무가, 주술가

   2) 수로왕의 강림을 기원 (=영신군가)

   3) 출전 - 삼국유사

   4) 집단 가요, 서사적

   

  (3) 황조가

   1) 작가 - 유리왕

   2) 문헌상 최고의 고구려가요

   3) 출전 - 삼국사기

   3) 임과 이별의 슬픔


  (4) 해가

   1) 주술적 노래, 구지가의 아류

   2) 출전 - 삼국유사

 

  (5) 정읍사

   1) 현전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

   2) 행상 나간 남편 근심

   3) 출전 - 악학궤범

   4) 한글 중 가장 오래된 가요

   5) “어귀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cf) 한자로 번역되고 배경 설화가 있는 것 : 공무도하가, 구지가, 황조가, 해가

cf) 망부석 노래 - 치술령곡, 선운산가, 정읍사, 국경의 밤


Ⅱ. 부전가요


 1. 신라

  (1) 도솔가 - 신라 향가의 모태

  (2) 회소곡

  (3) 치술령곡 - 박제상의 아내 (정읍사와 연결)

  (4) 목주가 - 효심노래 (사모곡과 연결)


 2. 백제 - 방등산가  /  지리산가  /  무등산가  /  선운산가


Ⅲ. 주요 한문학

 (1) 여수장우중문시 - 을지문덕 (현존 최고의 한시)

 (2) 계원 필경 - 최치원 - 최초의 개인 문집


<2> 향가


Ⅰ. 특성

 (1) 우리나라의 노래

 (2) 명칭

  1) 시내가, 사내악, 도솔가

  2) 사뇌가 - 완성형인 10구체 향가

 (3) 현전 향가 - 삼국유사 14수, 균여전 11수 = 총 25수

 (4) 삼대목 - 오늘날은 전해지지 않는다.






Ⅱ. 형식

 1. 4구체 -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2. 8구체 - 모죽지랑가, 처용가

 3. 10구체 (사뇌가) - 혜성가, 제망매가, 찬기파랑가, 안민가, 원가, 천수대비가, 보현십원가


Ⅲ. 최초의 향가 - 도솔가

 

Ⅳ. 의의

 1. 최고의 정형화된 서정시

 2. 기록 문학의 효시


Ⅴ. 현전 문학


 1. 서동요

  1) 현전 최고의 향가

  2) 선화 공주를 얻기 위해 부름


 2. 혜성가

  1) 최초의 10구체 향가

  2) 혜성을 물리치기 위해


 3. 풍요 - 유일한 노동요

  

 4. 원왕생가 - 광덕의 불교적 신앙심


 5. 모죽지랑가 (득오) - 추모, 만가의 성격

  

 6. 헌화가 - 수로 부인에게 꽃을 바치며 부른 노래, 연민


 7. 원가 (신충)

  1) 주술적

  2) 효성왕이 약속을 지키지 않자, 원망의 노래


 8. 도솔가 (월명사)

  1) 주술적

  2) 해가 두 개 나와서 부름


 9. 제망매가 (월명사) - 죽은 누이의 추도

  

 10. 안민가 (충담사)

  1) 유일한 유교적 향가

  2) 치국 안민


 11. 찬기파랑가 (충담사) - 인품 추모


 12. 도천수관음가 (희명) - 눈 먼 자식 위해, 기도의 노래 = 천수대비가, 도천수대비가


 13. 우적가 (영재) - 도적 무리를 회개시킨 설도


 14. 처용가 (처용) - 아내를 범한 역신을 굴복시키기 위한 주술적 무가 (주술)


 15. 보현십원가 (균여 대사)

  1) 최후의 향가

  2) 불교의 대중화를 위해 지은 노래

  3) 예경제불가, 칭찬여래가, 광수공덕가, 참회업장가, 수희공덕가, 청전법륜가, 청불주세가, 상수불학가

     항순중생가, 보개회향가, 총결무진가


* 주술요 - 도솔가, 처용가, 혜성가, 원가

* 문학성 - 찬기파랑가, 제망매가


반응형

댓글